"촛불시위 때문에 지원관실 만들어졌다"
임태희 전 실장, 지난 4일 인터넷 정치웹진 '투포' 논객과의 간담회에서 밝혀
임태희 전 대통령실장이 "지원관실이 초기에 규정에 없는 업무를 했다"며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의 활동에 문제가 있었음을 인정했다. 특히 임 전 실장은 지원관실의 설립이 지난 2008년 촛불시위와 관련이 있다고 말해 눈길을 끈다.
이명박 대통령의 핵심 참모이자 청와대 고위직을 지낸 인사가 지원관실의 설립이 촛불시위와 관련이 있고, 이들의 감찰활동에 일부 불법성이 있었다고 인정한 것은 처음이다.
민간인 사찰사건 터지자 MB "전환기 때 생긴 문제... 법대로 처리"
이러한 임 전 실장의 발언은 지난 4일 인터넷 정치웹진 '투포' 논객들과 함께한 간담회에서 나왔다.
임 전 실장은 "노동부 출신들이 사찰을 주도한 계기에 대해 들은 바는 이렇다"며 말문을 연 뒤, "노무현 정부 시절 총리실에 감찰팀(조사심의관실)이 있었으나 2008년 MB정부 출범 이후 이 팀을 없앴는데 2008년 5월부터 미국산 쇠고기 광우병 사태가 터졌다"며 "그때 촛불시위에 가장 조직적으로 동원했던 조직이 공기업 노조라는 소리가 있었다"고 설명해 나갔다.
임 전 실장은 "그러자 공기업 사장들은 뭐 하냐는 얘기가 나온 것 같다"며 "당시 공기업 사장들은 모두 지난 정부 때 임명된 사람들이었는데 이영호(전 청와대 고용노사비서관)은 이를 잡고자 총리실에 공기업 사장들에 대한 감찰을 생각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임 전 실장은 "감찰팀은 없어진 상황이었고, 총리실 비서실에 노동부에서 파견된 인원이 있어서 이영호가 여기다 상황파악을 하라고 지시를 한 것 같다"며 "이들은 자주 회의를 했는데 거기서 공기업 사장들이 공기업 구조조정을 조직적으로 방해하고자 촛불시위에 인원을 동원한다는 분석이 나왔다고 한다"고 전했다.
임 전 실장은 "이영호는 행정을 잘 모르는 사람이라 이를 분쇄하겠다며 강하게 밀어부쳤다"며 "그러나 총리실에서는 조직이 없어 못한다고 하고, 이 과정에서 (지원관실 설립) 초기에 규정에 없는 업무가 있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이영호 전 비서관의 주도로 촛불시위에 나선 공기업의 노조 등을 통제하기 위해 폐지한 지 5개월 만에 '암행감찰팀'(공직윤리지원관실)을 부활시켰다는 설명이다. 임 전 실장은 "(지원관실) 규정을 만들기 전까지 촛불시위 정국에서 어설프게 일을 한 게 있었지만 그 후에는 규정에 의해 한 일이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임 전 실장은 "이후 총리실 담당자가 정식으로 기구를 만들어야 한다고 건의해서 대통령 훈령으로 감찰팀을 만들었고, 감찰팀이 생기자 자연스럽게 이영호팀이 주도하게 된 것"이라며 "(게다가) 이영호는 자신이 데리고 있던 진경락(전 지원관실 기획총괄과장)을 총리실로 보냈고 (이렇게 해서) 노동부 출신들이 사찰을 주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임 전 실장은 "진경락은 청와대에 있다가 총리실로 가서 신세를 망친 것이어서 이영호 입장에서는 케어(보호)를 안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임 전 실장은 "(2010년) 이 사건(민간인 불법사찰 의혹)이 터지고 대통령께서 '무슨 일이냐'고 내게 물었다"며 "그래서 말씀 드렸더니 '전환기 때 생긴 문제구먼, 처벌받을 사람은 처벌받고 법대로 처리하라고 그래'라고 말씀하셨다"고 전했다.
임태희 "이영호가 MB에게 독대보고한 적 없다"
또한 임 전 실장은 이영호 전 비서관의 '비선보고' 의혹과 관련해 "근무시기만 봐도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부인했다. 그는 "이영호는 (2010년) 7월 12일자로 청와대에서 나왔고, 나는 17일에 들어갔다"며 "그 뒤로는 전화로라도 보고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는데 이를 비선보고라고 하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주장했다.
임 전 실장은 "지원관실의 청와대 보고와 관련해서는 규정상 민정수석에게 보고하게 돼 있다"며 "그래서 보고를 한 것이고, 그 중 특별한 몇가지 문제는 비선라인을 통해 보고된 것이 아니냐는 것이 쟁점인데 이건을 보고받은 사람이 없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임 전 실장은 "이 문제를 내가 대통령께 안 여쭤 보겠는가?"라며 "이영호는 (대통령과) 독대한 적도 없고 할 수도 없는 상황이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청와대에서는 대통령실장만 독대를 하는데 간혹 가다가 민정수석은 친인척 관리를 하니까 독대보고를 한다"며 "나머지는 단 둘이 보고하는 일은 없다"고 거듭 '독대보고' 의혹을 일축했다.
임 전 실장은 "한번은 이영호가 노동법 개정내용을 알고 싶다며 배석시켜 달라고 해서 딱 한 번 배석시켜 준 일이 있다"며 "그 정도로 대통령 뵙기가 어렵고 신청을 해도 의전비서관실에서 승인을 안해주는데 이영호가 독대보고를 할 수는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임 전 실장은 이동걸 고용노동부 장관 정책보좌관이 장진수 전 주무관에게 전달된 4000만 원의 출처를 해명했다. 그는 "4000만 원건은 신문을 보고 알았다"며 "관련인사 8명이 500만 원씩 십시일반으로 돈을 걷어 4000만 원을 마련해 변호사 비용으로 쓰라고 건넨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장 전 주무관에게 돈을 건넨 것이 제3노총(일명 '국민노총') 움직임과 관련이 있다는 주장도 내놓았다. '이영호-이동걸'으로 이어지는 '제3노총 배후세력'이 변호사 비용으로 4000만 원을 마련했다는 것이다.
임 전 실장은 "(대선이 끝나고) 내가 정책위의장을 할 때 이동걸은 노동부의 정책보좌관으로 갔다는 소식을 들었는데 이영호가 넣어준 것 같다"며 "이후 노동부 장관으로 가면서 이동걸을 다시 봤다"고 말했다.
임 전실장은 "당시 이동걸에게는 노동계와 소통을 책임지게 했다"며 "아주 충직한 사람이다, 그런 면에서 측근이라고 할 수도 있겠으나 내가 청와대에 온 후에 이 문제(장 전 주무관에게 돈을 건넨 문제)와는 관련이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임 전 실장은 "그때는 알지 못했지만 이동걸은 이영호와 교류가 많았던 것 같다"며 "나중에 들은 소문으로는 이동걸은 이영호를 통해서 (이명박 후보) 캠프에 합류했고, 노동부 정책보좌관으로 가서도 이영호의 도움을 받았다"고 전했다.
임 전 실장은 "한국노총이나 민주노총에 속하지 않은 KT노조위원장출신이다 보니 서울메트로 정연수 위원장이 주도하던 제3노총의 설립 움직임을 알 수 있어 계속 교류가 있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임 전 실장은 "나중에 들은 얘긴데 그래서 그 모임이 몇번 있었던 것 같다"며 "거기서 변호사 비용을 좀 도와주자는 얘기가 나왔던 것으로 전해 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8명이 모여 4000만 원을 만들기로 했는데 그 모임의 좌장이 이동걸에게 공무원이 무슨 돈이 있냐며 빠지라고 해서 자신이 이동걸 몫을 내주겠다고 했다"며 "그래서 이동걸은 돈을 안 내는 대신 심부름을 한 것 같다"고 주장했다.
"노동부는 노동부끼리, 총리실은 총리실끼리 도와준 것 같다"
이어 임 전 실장은 "이 돈은 이동걸의 행정을 봐주는 여직원 계좌로 받았다"며 "그 중에 두 사람이 돈을 늦게 내서 이동걸이 꿔서 냈다는데 빌린 내역도 통장에 다 나와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 제기되는 '청와대 자금출처설' 등을 일축한 것이다.
임 전 실장은 "이처럼 노동부 출신들이 구속된 사람들의 가족이 어렵다고 해서 서로 도와준 것 같다"며 "다면 장진수는 노동계출신이 아니라 5000만 원건은 어떻게 전달되었는지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임 전 실장은 "언론에는 총리실 유충렬(전 공직복무관리관)이 갖다 줬다고 나오는데 노동부는 노동부끼리 챙기고 총리실은 총리실끼리 챙긴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주장했다.
또한 임 전 실장이 지난 2010년 9월께 진경락 전 과장 등에게 금일봉을 전달한 것과 관련해서는 "입막음용 금일봉이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임 전 실장은 "공직을 수행하다 그런 것이니 그 자리에 있던 사람들이야 어쩔 수 없이 감당해야 할 일이지만 가족들은 용기를 잃지 않고 이겨내야 하지 않겠냐는 생각이 들어 신경이 쓰였다"며 "그래서 지갑에 있던 돈을 천원짜리 빼고는 다 최종석(전 청와대 행정관)에게 주며 가족들에게 고기라고 좀 사서 주라고 했다"고 해명했다.
임 전 실장은 "국회의원 할 때는 지갑에 20만 원 정도 넣고 다녔는데 대통령 실장으로 와서는 평소 축의금이나 부의금 등 현금을 쓸 일이 많아 비상금까지 합쳐 현금 100만 원 정도 가지고 다녔다"며 "그때 세어보지는 않았지만 대략 100만 원 좀 넘는 돈이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임 전 실장은 "그 100만 원을 최종석이 누구에게 나눠줬는지는 모르지만 대략 서너 가족 되는 것 같은데 그걸 입막음용 금일봉이라고 하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고 언론보도에 불만을 터뜨렸다.
이명박 대통령의 핵심 참모이자 청와대 고위직을 지낸 인사가 지원관실의 설립이 촛불시위와 관련이 있고, 이들의 감찰활동에 일부 불법성이 있었다고 인정한 것은 처음이다.
▲ 임태희 전 대통령실장(자료사진). ⓒ 남소연
임 전 실장은 "노동부 출신들이 사찰을 주도한 계기에 대해 들은 바는 이렇다"며 말문을 연 뒤, "노무현 정부 시절 총리실에 감찰팀(조사심의관실)이 있었으나 2008년 MB정부 출범 이후 이 팀을 없앴는데 2008년 5월부터 미국산 쇠고기 광우병 사태가 터졌다"며 "그때 촛불시위에 가장 조직적으로 동원했던 조직이 공기업 노조라는 소리가 있었다"고 설명해 나갔다.
임 전 실장은 "그러자 공기업 사장들은 뭐 하냐는 얘기가 나온 것 같다"며 "당시 공기업 사장들은 모두 지난 정부 때 임명된 사람들이었는데 이영호(전 청와대 고용노사비서관)은 이를 잡고자 총리실에 공기업 사장들에 대한 감찰을 생각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임 전 실장은 "감찰팀은 없어진 상황이었고, 총리실 비서실에 노동부에서 파견된 인원이 있어서 이영호가 여기다 상황파악을 하라고 지시를 한 것 같다"며 "이들은 자주 회의를 했는데 거기서 공기업 사장들이 공기업 구조조정을 조직적으로 방해하고자 촛불시위에 인원을 동원한다는 분석이 나왔다고 한다"고 전했다.
임 전 실장은 "이영호는 행정을 잘 모르는 사람이라 이를 분쇄하겠다며 강하게 밀어부쳤다"며 "그러나 총리실에서는 조직이 없어 못한다고 하고, 이 과정에서 (지원관실 설립) 초기에 규정에 없는 업무가 있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이영호 전 비서관의 주도로 촛불시위에 나선 공기업의 노조 등을 통제하기 위해 폐지한 지 5개월 만에 '암행감찰팀'(공직윤리지원관실)을 부활시켰다는 설명이다. 임 전 실장은 "(지원관실) 규정을 만들기 전까지 촛불시위 정국에서 어설프게 일을 한 게 있었지만 그 후에는 규정에 의해 한 일이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임 전 실장은 "이후 총리실 담당자가 정식으로 기구를 만들어야 한다고 건의해서 대통령 훈령으로 감찰팀을 만들었고, 감찰팀이 생기자 자연스럽게 이영호팀이 주도하게 된 것"이라며 "(게다가) 이영호는 자신이 데리고 있던 진경락(전 지원관실 기획총괄과장)을 총리실로 보냈고 (이렇게 해서) 노동부 출신들이 사찰을 주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임 전 실장은 "진경락은 청와대에 있다가 총리실로 가서 신세를 망친 것이어서 이영호 입장에서는 케어(보호)를 안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임 전 실장은 "(2010년) 이 사건(민간인 불법사찰 의혹)이 터지고 대통령께서 '무슨 일이냐'고 내게 물었다"며 "그래서 말씀 드렸더니 '전환기 때 생긴 문제구먼, 처벌받을 사람은 처벌받고 법대로 처리하라고 그래'라고 말씀하셨다"고 전했다.
임태희 "이영호가 MB에게 독대보고한 적 없다"
▲ 민간인 불법 사찰의 '몸통'이라고 자처했던 이영호 전 청와대 고용노사비서관이 지난 3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영장실질심사를 받기 위해 들어서고 있다. ⓒ 유성호
임 전 실장은 "지원관실의 청와대 보고와 관련해서는 규정상 민정수석에게 보고하게 돼 있다"며 "그래서 보고를 한 것이고, 그 중 특별한 몇가지 문제는 비선라인을 통해 보고된 것이 아니냐는 것이 쟁점인데 이건을 보고받은 사람이 없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임 전 실장은 "이 문제를 내가 대통령께 안 여쭤 보겠는가?"라며 "이영호는 (대통령과) 독대한 적도 없고 할 수도 없는 상황이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청와대에서는 대통령실장만 독대를 하는데 간혹 가다가 민정수석은 친인척 관리를 하니까 독대보고를 한다"며 "나머지는 단 둘이 보고하는 일은 없다"고 거듭 '독대보고' 의혹을 일축했다.
임 전 실장은 "한번은 이영호가 노동법 개정내용을 알고 싶다며 배석시켜 달라고 해서 딱 한 번 배석시켜 준 일이 있다"며 "그 정도로 대통령 뵙기가 어렵고 신청을 해도 의전비서관실에서 승인을 안해주는데 이영호가 독대보고를 할 수는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임 전 실장은 이동걸 고용노동부 장관 정책보좌관이 장진수 전 주무관에게 전달된 4000만 원의 출처를 해명했다. 그는 "4000만 원건은 신문을 보고 알았다"며 "관련인사 8명이 500만 원씩 십시일반으로 돈을 걷어 4000만 원을 마련해 변호사 비용으로 쓰라고 건넨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장 전 주무관에게 돈을 건넨 것이 제3노총(일명 '국민노총') 움직임과 관련이 있다는 주장도 내놓았다. '이영호-이동걸'으로 이어지는 '제3노총 배후세력'이 변호사 비용으로 4000만 원을 마련했다는 것이다.
임 전 실장은 "(대선이 끝나고) 내가 정책위의장을 할 때 이동걸은 노동부의 정책보좌관으로 갔다는 소식을 들었는데 이영호가 넣어준 것 같다"며 "이후 노동부 장관으로 가면서 이동걸을 다시 봤다"고 말했다.
임 전실장은 "당시 이동걸에게는 노동계와 소통을 책임지게 했다"며 "아주 충직한 사람이다, 그런 면에서 측근이라고 할 수도 있겠으나 내가 청와대에 온 후에 이 문제(장 전 주무관에게 돈을 건넨 문제)와는 관련이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임 전 실장은 "그때는 알지 못했지만 이동걸은 이영호와 교류가 많았던 것 같다"며 "나중에 들은 소문으로는 이동걸은 이영호를 통해서 (이명박 후보) 캠프에 합류했고, 노동부 정책보좌관으로 가서도 이영호의 도움을 받았다"고 전했다.
임 전 실장은 "한국노총이나 민주노총에 속하지 않은 KT노조위원장출신이다 보니 서울메트로 정연수 위원장이 주도하던 제3노총의 설립 움직임을 알 수 있어 계속 교류가 있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임 전 실장은 "나중에 들은 얘긴데 그래서 그 모임이 몇번 있었던 것 같다"며 "거기서 변호사 비용을 좀 도와주자는 얘기가 나왔던 것으로 전해 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8명이 모여 4000만 원을 만들기로 했는데 그 모임의 좌장이 이동걸에게 공무원이 무슨 돈이 있냐며 빠지라고 해서 자신이 이동걸 몫을 내주겠다고 했다"며 "그래서 이동걸은 돈을 안 내는 대신 심부름을 한 것 같다"고 주장했다.
"노동부는 노동부끼리, 총리실은 총리실끼리 도와준 것 같다"
▲ 청와대 전경 ⓒ 권우성
이어 임 전 실장은 "이 돈은 이동걸의 행정을 봐주는 여직원 계좌로 받았다"며 "그 중에 두 사람이 돈을 늦게 내서 이동걸이 꿔서 냈다는데 빌린 내역도 통장에 다 나와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 제기되는 '청와대 자금출처설' 등을 일축한 것이다.
임 전 실장은 "이처럼 노동부 출신들이 구속된 사람들의 가족이 어렵다고 해서 서로 도와준 것 같다"며 "다면 장진수는 노동계출신이 아니라 5000만 원건은 어떻게 전달되었는지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임 전 실장은 "언론에는 총리실 유충렬(전 공직복무관리관)이 갖다 줬다고 나오는데 노동부는 노동부끼리 챙기고 총리실은 총리실끼리 챙긴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주장했다.
또한 임 전 실장이 지난 2010년 9월께 진경락 전 과장 등에게 금일봉을 전달한 것과 관련해서는 "입막음용 금일봉이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임 전 실장은 "공직을 수행하다 그런 것이니 그 자리에 있던 사람들이야 어쩔 수 없이 감당해야 할 일이지만 가족들은 용기를 잃지 않고 이겨내야 하지 않겠냐는 생각이 들어 신경이 쓰였다"며 "그래서 지갑에 있던 돈을 천원짜리 빼고는 다 최종석(전 청와대 행정관)에게 주며 가족들에게 고기라고 좀 사서 주라고 했다"고 해명했다.
임 전 실장은 "국회의원 할 때는 지갑에 20만 원 정도 넣고 다녔는데 대통령 실장으로 와서는 평소 축의금이나 부의금 등 현금을 쓸 일이 많아 비상금까지 합쳐 현금 100만 원 정도 가지고 다녔다"며 "그때 세어보지는 않았지만 대략 100만 원 좀 넘는 돈이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임 전 실장은 "그 100만 원을 최종석이 누구에게 나눠줬는지는 모르지만 대략 서너 가족 되는 것 같은데 그걸 입막음용 금일봉이라고 하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고 언론보도에 불만을 터뜨렸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