뱃속에서 배운 춤까지 거리로 나오다
[인터뷰] 세계 춤의 날 행사 총예술감독 정귀인에게 '춤'을 묻다
▲ 세계 춤의 날, 세상의 모든 춤이 모인다 ⓒ 세계무용연맹 한국본부
"처음부터 나는 삶을 춤추었을 따름이다. 아이 적에 나는 자라나는 것들의 자발적인 기쁨을 춤췄다. 어른이 되어서는 삶의 비극적 저류에 대한 최초의 깨달음, 즉 삶의 가혹한 잔혹성과 파멸 직전에 대해 이해하면서 기쁜 마음으로 춤췄다." (이사도라 던컨 <자서전> 서문 중)
춤이란 뭘까. 한마디로 춤을 정의하기 어려울 정도로 세상의 춤의 종류는 숱하게 많다. 인류의 역사와 함께 호흡해 온 춤. 춤은 기쁠 때나 슬플 때나 찾게 되는 벗과 같다 하겠다. 그러나 춤(무용)을 너무 어렵다고 생각하는 대중들도 의외로 많다.
'춤이란 나와 무관한 문화예술'이라는 개념에 갇혀 현대인들은 흥겨운 춤을 잊고 각박하게 살아간다. 대중에게 춤은 특정인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태아가 뱃속에서 움직이는 것도 춤이요, 살아 숨쉬는 것도 춤이다. 누구에게나 춤을 출 권리가 있다. 춤치라 불리는 수많은 대중을 위해, 춤의 천국과 같은 춤판을 만들기 위해 대중들을 손짓하는 춤행사가 있다.
세상의 모든 춤(운동화에서 토슈즈까지)이 거리에서 춤으로 하나가 된다. 4월 29일 세계 춤의 날을 맞아, 서울 예술의 전당 신세계 스퀘어 야외무대(4월 29일 오후 3시)와 부산(4월 28일 오후 6시 30분)의 부산대학교 정문 앞 야외무대에 오면 누구나 춤을 출 수 있다. 인종, 국가, 나이, 신분 관계없이 모두 모여 한바탕 흥겨운 춤을 출 수 있는 춤마당이 준비돼 있다.
매년 4월 29일은 유네스코에서 정한 '세계 춤의 날'. 세계 춤의 날의 기원은, 춤계의 '세익스피어'로 불리우는 장 조지 노베르(Jean Georges Noverre, 1727~1810)의 탄생일(4월 29일)을 기념하는 날이기도 하다. 장 조지 노베르는 클래식 발레의 큰별이자 사상가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위대한 사상가 볼테르는 장 조지 노베르의 춤을 찬양한 바 있다. 장 조지 노베르는 1727년 4월 29일 파리에서 태어났다. 스위스계의 혈통인 노베르의 아버지는 직업 군인이었다. 그의 아버지는 노베르가 군인의 길을 걷게 하고자 교육시켰으나, 그는 아버지의 뜻과 전혀 다른 춤의 길을 선택했다고 전해진다.
노베르의 출세작은 <중국의 축제>. 이 작품은 춤과 디자인에 있어서 위대한 성공을 거뒀다. 이런 그의 이름은 춤 팬들에게도 결코 낯설지 않다. 한국이 낳은 발레리나 강수진이 받은 '브누아 드 라 당스'상, 역시 1991년 발레 발전의 위대한 공로자인 장 조지 노베르를 기리기 위해 국제무용협회 러시아 본부에서 제정한 상이다.
노베르는 "발레는 말이 없는 연극이 돼야 한다" "순전히 기교를 과시하기 위한 공허한 춤 대신 표현적인 춤을 통해 액션이 발전해야 된다"고 주장했다. 그의 탄생 기념일에 맞춰 그동안 우리나라에서도 세계 춤의 날 행사가 개최된 바 있다.
▲ 운동화에서 토슈즈까지, 거리에서 춤으로 하나되다 ⓒ 세계무용연맹 한국본부
그러나 대중과 함께 본격적으로 세계 춤의 날 기획 공연을 가진 것은 올해로 3번째. 세계무용연맹 한국본부에서는 2010년부터 세계 춤의 날 행사를 개최했다. 올해 세계 기획행사는 여느해 행사와는 다르다. 무대와 관객석의 경계를 허문다는 콘셉트로 진행되기 때문이다.
행사를 기획한 세계무용연맹 한국본부는 춤을 좋아하는 대중과 함께 어우러지는 행사를 펼칠 계획이다. 전문 무용가 및 대중들이 함께 한마당 멋진 춤출 권리를 행사하는 춤 행사를 개최하고자 하는 것. 이번 공연의 테마는 '세상의 모든 춤이 다 모인다... 다 함께 춤을!'이다. 춤으로 모든 이들이 마음의 벽을 허물고 하나가 돼 융합한다는 취지다. 이 행사의 입장료는 무료. 총 19개의 국내 순수 무용가와 무용단, 열정적인 댄스 그룹들이 아름다운 선과 세계의 춤들을 선보일 예정이다.
세계 춤의 날 행사의 총예술감독역을 맡아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일정을 보내고 있는 정귀인씨를 지난 26일 세계무용연맹 한국본부 임시사무실(부산대학교 앞)에서 만났다.
▲ 2012 세계춤의 날, 총예술감독 정귀인 ⓒ 정귀인 현대무용단
"대개 춤을 어렵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 같아요. 그러나 춤은 인간의 본성에 가까운 몸짓이라고 하겠습니다.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표현의 기본이라고 봅니다. 태아의 움직임을 춤이라고 보는 학자도 있습니다. 그러니까 어머니 뱃속에서 부터 움직여지는 몸짓을 춤이라 볼 때, 춤은 숨쉬기에 다름이 아니지요. 그렇기 때문에 인간의 본능에 가장 가까운 몸에서 흘러나온 언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를 보기 좋게 만들어가는 것을 예술이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세계 춤의 날 행사도 이와 같이 가장 인간의 본질적인 몸짓, 근본적인 몸짓, 잠재된 욕구 등을 한 자리에 발산해 보자는 의의가 있습니다. 그러니까 사람과 사람의 소통하는 자리를 제대로 만들어보고 싶다는 취지겠습니다. 세계무용연맹의 근본 취지도 가장 본질적인 춤의 실천에 있습니다."
- 세계 춤의 날 행사 총예술감독을 맡으시면서 어려운 점은 없으셨나요?
"(웃음) 어려운 점은 없습니다. 많은 분들이 호응해주면 좋겠다는 바람뿐입니다. 세계 춤의 날의 본격적인 행사는 올해로 3번째가 됐습니다. 이전에는 세계 춤의 날을 기념하자는 뜻의 행사가 있어 왔습니다.
지난해에는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 전문 무용수, 순수 무용수, 대중 무용 등 모두 참가해서 행사했습니다. 그때 느낀 점을 이번 행사를 통해 보완하고 싶었습니다. 보다 유네스코 취지에 맞는 춤 행사를 기획해야 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인종과 나이, 세대 등을 초월해 춤을 통해 제대로 소통해 보자는 취지에 열린 공연이 될 것이라 봅니다.
세계무용연맹 한국본부가 주관하는 본 공연은 누구에게나 "춤 출 권리가 있다"와 "세상에 모든 춤이 모인다"라는 콘셉트로 진행됩니다. 장르, 성별, 나이를 떠나 몸짓으로 하나 될 수 있는 자리를 만들고자 합니다. 기존의 정형화된 무대에서 일방적인 보여줌으로 진행되는 공연이 아니라, 춤추는 사람과 보는 이의 경계를 거리에서 터 보고자 합니다.
부산에서 활동하는 댄서들과 무용단, 200여 명이 참여해 진행되며, 관객들과 함께 춤을 추는 시간도 마련됩니다. DJ무대를 비롯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춤들이 함께 어우러지는 자리가 되길 바랍니다. 그렇게 되면 다양한 춤들이 한 곳에서 펼쳐지는 장관이 연출될 것입니다.
거리에서 한국전통무용, 발레, 스트리트 댄서들이 함께 어우러지고, 이들은 삶에 기초한 일상적 몸짓으로 일상의 단조로움과 개인과 집단의 문제를 해소하는 가장 원초적인 삶의 방편으로서의 춤의 기능을 제시하는 공연이 될 것입니다.
순수무용을 전공한 무용수들이 거리로 나왔다는 점, 그리고 대중무용을 하는 친구들과 함께 공연을 한다는 점에서 특별하다면 특별하겠습니다. 이러한 방식의 공연은 흔치 않을뿐더러 관객의 참여까지 이끌어내는 점에서 참여해볼 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어떻게 하면 춤을 보다 생활 속에서 가까이 할 수 있을까요?
"사실 한국사회에서 춤 문화를 보면 전문적인 하는 관객을 위해 보여주는 춤이 춤이라고 생각하는 이들이 주류이지요. 그러나 사실 생활 춤이 많이 보급돼 있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는 제2의 춤의 르네상스시대라고 생각합니다.
남녀노소할 것 없이 노래를 좋아하면 절로 춤을 출 수 있다고 하겠습니다. 춤을 어디서 배워야 하고 고심할 것도 없이 텔레비젼에서도 춤이 흘러나옵니다. 눈을 크게 뜨면 가까운 문화센터에서 춤 교실이 많습니다.
대중의 춤 보급이 정말 많이 확산돼 있습니다. 어떻게 이렇게까지 춤이 많이 나와 있을까 싶습니다. 옛날에 우리 선조들이 덩실덩실 삼삼오오 장구를 치는 것도 춤입니다. 예술적인 주제를 가지고 심오하게 추는 춤만 춤이 아니란 말이지요. 이번 행사를 통해 춤의 본질적인 것을 찾고자 공연 행사를 준비했습니다. 부디 많은 분들이 참여해 주시길 당부드립니다.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 세상의 모든 춤이여, 다 모여라 ⓒ 세계무용연맹 한국본부
덧붙이는 글
세계춤의 날 행사는, 4월 28일 오후 6시 30분 부산대 야외공연장에서 먼저 열리고, 29일 오후 3시에는 서울 서초동 예술의전당의 야외무대인 신세계스퀘어에서 같은 프로그램으로 공연할 예정이다. 모든 공연은 무료다. 공연문의는 전화 051-510-2951, 이메일 wdcseoul@korea.com로 하면 된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