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비슷비슷해진 대선후보들... 이렇게 검증하자

[이털남 146회] 진중권-김성식 '전방위 토크'

등록|2012.07.27 15:26 수정|2012.07.27 15:26
18대 대선이 5개월 앞으로 다가오면서 각 정당의 모든 대선 후보들이 출마 의사를 밝히고 당내 경선을 눈앞에 두고 있다. 이번 대선의 뜨거운 이슈 중의 하나인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의 출마 여부 역시, 자신의 국정에 대한 철학을 담은 대담집 <안철수의 생각> 출간으로 어느 정도 윤곽이 드러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이명박 정권의 지지율이 정권 말기 들어 끝없는 하락세를 보이면서 대선 후보들은 여야 할 것 없이 나름의 개혁 의지를 담은 슬로건과 정책들을 내놓고 있다. 내수 경제에서의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글로벌 경제 위기로 국외가 소란스러운 상황에서 시대정신이라는 이름 하에 이번 대선에서의 민심이 일정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는 것이다.

☞ 아이튠스에서 <이털남> 듣기
☞ 오마이TV에서 <이털남> 듣기

오마이뉴스 팟캐스트 방송 <이슈 털어주는 남자>(이털남)은 김성식 전 의원과 진중권 동양대 교수와 함께 27일 '전방위 토크' 코너를 '대선과 시대정신'이라는 주제로 꾸몄다. 이번 대선의 시대정신이 무엇이냐고 묻는 말에 김 전 의원은 "시민권의 시대를 여는 것"이라고 말했고, 진 교수는 "안 원장이 짚은 정의·복지·평화의 키워드"라고 답했다.

"시대정신만 논할 게 아냐... 난관 헤칠 방법에 주목"

▲ 진중권 교수는 <이털남> '전방위 토크'서 "모든 정당들이 비슷한 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 같다"며 "예를 들어 지난해 서울시장 선거에서, 무상급식이라는 공약 단 하나로 돌풍을 일으켰던 것을 통해 이를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사진은 지난 9월 20일 서울 성북구 숭덕초등학교에서 박원순 당시 서울시장 보궐선거 예비후보. ⓒ 권우성


김 전 의원은 '시민권의 시대'란 "정치가 시혜나 선정의 관점에서 벗어나 유권자들의 주권의식으로 확장·복원돼 공동체를 구성하는 사회적 권리로서 정착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요컨대 복지·교육 등 시민들의 자기실현을 위한 사회적 권리가 중요해진다는 것이다.

진 교수는 "모든 정당들이 비슷한 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 같다"며 "예를 들어 지난해 서울시장 선거에서, 무상급식이라는 공약 단 하나로 돌풍을 일으켰던 것을 통해 이를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정의나 복지 등의 화두가 현재 하나의 컨센서스(의견 일치)를 이루고 있다는 것.

하지만 어느 정도 의견의 일치가 이뤄진 게 있다고 해도 시대정신의 구체적인 구현 요건은 정치인마다 다를 수밖에 없다. 김 전 의원은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다운 그레이드(신용 강등), 디폴트(채무 불이행)이 벌어지고 있는 3D 글로벌 경제 상황에서 과연 어떤 방식을 통해 국가운영을 할 것인지가 중요한 과제"라고 지적했다. 다시 말해 시대정신만을 논할 것이 아니라, 어떠한 국정 운영의 틀을 통해서 난관을 헤쳐나갈 것인지에 대한 후보들의 문제의식을 확인해야 한다는 뜻이다.

한편 진 교수는 "적어도 오랜만에 컨센서스가 이뤄진 것 아니냐"며 "그 원인은 새누리당의 좌클릭"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무상 급식 시리즈 같은 옛 민주노동당의 공약을 민주당이 받게 되고, 그에 대한 시대적 요구가 새누리당까지 이어지게 됐다는 것. 다만 진 교수는 "문제는 이게 선거용 구호에 그칠 수 있다는 것"이라며 "(정치권은) 늘 정책적 논쟁이 아니라 정략적 논쟁을 벌여왔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행정수도 문제, 새만금 사업 문제, 한미FTA 문제 등을 돌이켜 볼 때 정책은 그대로인데, 여야가 바뀌는 과정에서 정치인들의 잣대가 계속 달라진다는 이야기다.

"후보 간 차이를 어떻게 호소하느냐"... 이게 관건

▲ 지난 6월 1일 오후 서울 마포구 상암동 <오마이뉴스> 팟캐스트 방송 '이슈 털어주는 남자'(이털남) 녹음실에서 김성식 전 의원(왼쪽)과 진중권 교수(오른쪽). ⓒ 권우성


현재의 대선 가도로 볼 때 정책적인 합의가 어느 정도 진행된 상황에서 본격적인 싸움에 들어가게 되면 주자들 간의 선명성 경쟁이 구체적인 각을 세우는 차원으로 넘어가야 한다. 이 때문에 그 재미가 떨어질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이에 진 교수는 "구체적인 차이를 어떻게 호소하느냐가 관건"이라며 "(그 차이를) 살에 와 닿게 이야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똑같은 이야기를 해도 그러한 방식의 차이가 이야기를 잘 짚고 있고, 구체적으로 다가온다는 느낌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 김 전 의원은 "대선 가도에서 선명성 경쟁만으로는 부족하며, 오히려 끌어안고 타협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김 전 의원은 "지금 국민들이 정치 불신이 깊어져 있고, 그렇기 때문에 (안 원장 같은) 새 정치에 대한 기대감이 깊다"며 "소모적인 싸움 대신 통큰 양보를 보여줘야 할 때"라고 말했다.

다시 말해 가치관의 합의가 실제로 실현되려면 정치권의 경쟁심을 걷어내야 하고, 또 그 중심에서 대통령이 제 역할을 하려면 말로서 그치지 않는 포용과 통합을 보여줘야 한다는 뜻이다. 일례로 김 전 의원은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이 '지역주의 극복을 위해 국회에서 선거법 개정을 해주면 권력의 반을 내려놓는 대연정을 하겠다'고 야당에 제안했던 것을 높게 평가했다. 이어 "여야가 그렇게 갈등하기 이전에 노 전 대통령이 권력을 내려놓는 모습을 좀 더 미리 보여줬다면 진일보할 수도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어차피 대선은 국민들의 손에 의해 이뤄지는 것이다. 다만 국민들의 입장에서 5년마다 치르는 것이지만, 그때마다 늘 새로운 특수성을 띄고 의미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 대선의 화두라는 것을 간단히 정의하기란 쉽지 않다.

마지막으로 김 전 의원은 "경쟁하되 함께 정치를 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며 대선 주자의 양보와 대타협의 중요성을 다시 언급했다. 또한 진 교수는 "현재 정치적 민주화가 조금 후퇴한 상황에서 이를 복원시키고 사회적 민주화까지 나가야 할 것"이라며 "또 디지털 시대에 맞는 평등한 커뮤니케이션 구조를 만드는 그러한 새로운 리더십과 팔로워십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