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5·16은 군사정변" 국정원은 이게 그렇게 어렵나

'5·16 군사혁명' 표기 논란... '군사혁명' 빼고 성격 규정없이 '5·16'으로만 표기

등록|2012.08.23 12:12 수정|2012.08.23 18:29
[기사 보강: 23일 오후 6시 25분]

▲ 국정원 홈페이지의 변화 모습. '5·16 군사혁명' 표현이 논란이 되자(상단) 군사혁명을 떼고 '5·16'으로만 표시했다. ⓒ 국정원


국가정보원(국정원)이 '5·16 군사정변'을 군사정변으로 인정하지 않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국정원은 홈페이지에 '5·16 군사혁명'이라고 표현해 비판이 제기되자, 23일 '군사혁명'을 삭제해 '5·16'이라고 고쳤다.

국가정보원은 홈페이지 '주요업무' 코너의 안보수사-국내 안보위해세력 항목에서 1960년대 상황을 설명하는 가운데 "4·19 혁명 후 '혁신정당' 건설 등 통일전선체 구성을 주도하다 5·16 군사혁명 이후 지하로 잠복하여 학원가를 중심으로 '통일혁명당'과 같은 대규모 지하당 건설에 주력"이라며 5·16을 '군사혁명'으로 표기했다.

우리 교과서나 대부분 언론은 '5·16 군사정변'이나 '5·16 군사쿠데타'로 표기하고 있다.

이에 대한 성격 규정이나 역사 인식은 박정희 전 대통령의 딸인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후보의 발언으로 논란이 돼 왔다. 그는 지난 7월 16일 신문방송편집인협회 초청 토론회에서 5·16을 "아버지로서 불가피하게 최선의 선택을 한 것"이라고 했고, 앞서 1989년 방송 출연 때와 2007년 대선 과정에서는 "구국의 혁명"이라고 표현했다.

그의 이 같은 평가에 대해서는 야당은 물론 당내 대선경선 경쟁자들이었던 김문수 경기지사나 김태호 의원으로부터도 거센 비판이 제기된 바 있다.

논란이 일자 국정원 측은 "지난 해 6월에 홈페이지를 업그레이드하면서 (5·16을 혁명으로 배운) 나이가 꽤 있는 직원이 별 생각 없이 그렇게 올려놓았는데, 수정하기 위한 내부 논의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이어 이날 오후 '군사혁명'을 빼고 '5·16'이라고만 표현했다. 국정원 관계자는 이에 대해 "애초 문제가 된 대목은 5월 16일이라는 단순한 시점을 말하려고 한 것이기 때문에 논란이 없는 '5·16'이라는 표현으로 바꾼 것"이라고 설명했다.

"논란 없는 표현 쓰겠다는 것"...정청래 "헌법 부정하는 것이냐"

이 관계자는 "국정원은 5·16을 군사정변이라고 보지 않는 것이냐"는 질문에 "과도한 해석"이라면서 "성격규정을 하지 않는, 논란이 없는 표현을 쓰겠다는 것"이라고 답했다.

국정원의 전신인 중앙정보부가 '5·16 군사정변'의 핵심인 박정희 전 대통령과 김종필 전 국무총리가 만든 기관이라는 점에서 창설자들을 비판하지 않는 쉬운 길을 택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국회 정보위원회의 민주통합당 간사인 정청래 의원은 <오마이뉴스>와 한 통화에서 "국정원이 아직도 정신을 못 차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정 의원은 "우리 헌법 전문은 '불의에 항거한 4·19민주이념을 계승'한다고 돼 있는데, 5·16은 4·19 의거를 정면으로 뒤집은 것"이라면서 "결국 국정원은 5·16을 군사정변으로 보는 헌법을 부정하겠다는 것이냐"고 말했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