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바보 김 반장', 취재하러 가자"

[추모사] 내 친구 김영균 기자를 보내며...

등록|2012.10.03 10:00 수정|2015.02.26 15:21
고 김영균 <오마이뉴스> 기자의 추모식이 10월 3일 오전 5시30분께 서울 상암동 본사 빌딩 앞에서 열렸다. 이날 노제에서 동료 기자인 최경준 기자가 추모사를 낭독했다. 다음은 전문이다. [편집자말]

▲ 3일 오전 서울 상암동에서 <오마이뉴스> 회사장으로 치러진 김영균 기자 노제에서 고인의 마지막 길을 배웅한 전현직 동료들이 흐느끼며 오열하고 있다. ⓒ 남소연


영균아!

무슨 말부터 시작해야 할지 몰라 네 이름을 불러놓고 한참을 담배만 피워댔다. 그리고 다시 네 이름을 부르려니, 가슴이 아파 숨을 쉴 수가 없다. 그래도 다시 네 이름을 불러본다. 부르고 또 불러서 네 이름 가슴에 깊이 깊이 새기려고 한다.

네 흔적이나 볼 수 있을까 해서 블로그를 들어가봤더니, 원래 그랬는지, 아니면 일부러 그랬는지, 분류에는 이런 저런 목록이 있지만 모두 텅 비어 있었다. 대신 하늘을 보며 늠름하게 서 있는 네 사진 밑으로 시 한 구절만이 덩그러이 놓여 있었다.

나는
이 세상에서
가난하고 외롭고
높고 쓸쓸하니 살아가도록
태어났다

네가 평소 좋아하던 백석의 시 <흰 바람벽이 있어>였다. 네 덕분에 나도 백석의 시를 엿보게 됐지. 나는 그 다음 대목이 더 좋더구나.

하눌이 이 세상을 내일 적에 그가 가장 귀해하고 사랑하는 것들은 모두
가난하고 외롭고 높고 쓸쓸하니 그리고 언제나 넘치는 사랑과
슬픔 속에 살도록 만드신 것이다

넌 사랑하는 게 너무도 많았다. 그래서 늘 슬퍼했다. 술 마시면서 입버릇처럼 네가 내게 했던 말이다. 그래서 기자 한다고. 그리고 넌 네 자신보다 사랑하던 후배들을 가슴으로 다그쳤다. 그렇게 하려거든 기자 때려치우라고. 그래서 또 나는 네게 입버릇처럼 말했다. 넌 천상 기자라고. 얼마 전 혼수상태에 빠져 가쁜 숨을 몰아쉬고 있는 네 손을 잡고 내가 그랬지.

"취재하러 가자, 영균아."

그리고 넌 산소마스크를 넘어서도 또렷이 들리도록 "응"이라고 말했다. 그래, 사경을 헤매면서도 넌 취재를 하러 가고 싶었던 게지. 그래서 넌 천상 기자다.

널 위해 만든 '김영균 펀드'... 우리 마음에는 종소리가 울렸다

그리고 넌 <오마이뉴스> 기자다. 12년 전 넌 부산에서, 그리고 난 전주에서 <오마이뉴스> 지역판을 담당하며 함께 <오마이뉴스> 창간에 참여했다. 그리고 1년 뒤 너와 난 나란히 서울로 올라왔고, <오마이뉴스>에 우리의 치열한 30대를 고스란히 바쳤다. 그리고 늘 우리는 함께했다. 네가 사회팀에 있으면 난 정치팀을 했고, 네가 편집부에 있으면 내가 사회팀으로 갔고, 네가 정치팀장을 맡으면 내가 사회팀장을 맡았다. 네가 노조 위원장이 됐을 때, 나에게 노조 사무국장을 맡아달라고 하면서 했던 말 기억하니?

"우리가 젊음을 바친 <오마이뉴스>다. 우리가 열정을 바친 <오마이뉴스>다. 그래서 <오마이뉴스>는 성공해야 한다. 그래서 <오마이뉴스> 노조는 달라야 한다."

<오마이뉴스>에 대한, 그리고 <오마이뉴스> 동료들에 대한 너의 유별난 열정과 사랑 때문에 넌 '김 반장'이라는 별명을 얻었지. 어디선가 누군가에 무슨 일이 생기면 어김없이 그 자리에는, 그 사람 곁에는 네가 있었다. 대신 너를 위한 시간도 없었고, 너를 위한 고민도 없었다. 그래서 난 너를 '바보 김 반장'이라고 놀렸지. '바보 김 반장', 늘 네 곁에는 사람들이 있었고, 나는 그런 네가 너무나 부럽고, 자랑스러웠다.

지금 이 순간에도 네 곁에는 많은 사람들이 있다. 지난 4월 동료들이 십시일반 자금을 모아 병원 침대에 누워 있는 널 위해 '김영균 펀드'를 만들었고, 얼마간의 돈과 편지를 보냈지. 네가 사랑하는 아내는 그날 페이스북에 "마음 속에서 종소리가 울린다"고 썼다.

그 종소리는 그치지 않았다. 기자상을 받은 동료는 기자상 상금을, 특종상을 받은 동료는 특종상 상금을 내놨다. 그리고 그 종소리를 너도 들었다고 했지. 며칠 뒤 네가 동료들에게 감사 인사를 하기 위해 회사 내부게시판에 올린 글을 보면서 우리도 마음 속에서 종소리가 울렸다.

집과 병원을 오가며 1년 넘게 지내는 동안, 몸보다 먼저 부서지는 게 마음이더군요. 참기 어려운 통증은 둘째 치고라도, 끊임없이 계속되는 내일에 대한 걱정, 아이와 가족에 대한 미안함, 별 진전 없이 반복되는 약물치료와 방사선 치료, 몸을 가누지 못할 정도의 대수술…. 한창 힘들 때는 모든 걸 다 놓고, 이젠 제발 몸을 그만 괴롭히고 쉬었으면 하는 생각이 날 때도 있었습니다.

지난해 1월 눈 많이 내린 어느날 네가 갑작스레 쓰러져 병원에 입원했을 때, 개복수술을 하고서야 간암임을 알았을 때, 그 암이 다른 장기와 뼈에도 전이됐다고 했을 때, 그래서 네가 수차례 수술과 수십 차례 방사선 치료를 병행하며 병마와 힘겹게 싸우고 있을 때, 우리도 너와 함께 아팠다. 너무 많이 아파서, 차마 네 얼굴을 볼 용기가 나지 않아 병원 앞까지 왔다가 그냥 발길을 돌린 적도 여러 번이었다. 

병실과 집을 오가는 동안, 늘 그리웠던 자리는 정리 안 된 제 책상이었습니다. 먼지 묵어 오래된 이면지들의 냄새, 컴퓨터 하드 돌아가는 소리의 적막감도 다시 한 번 느껴보고 싶네요. 아직은 많은 시간이 필요하겠죠…. 그러나 꼭 돌아가야 할 자리라고 확신하며 삽니다.

이제 취재하러 가자, 아직 못다 이룬 우리의 세상을 위해서

▲ 3일 오전 서울 상암동에서 <오마이뉴스> 회사장으로 치러진 김영균 기자 노제에서 최경준 기자가 추모사를 하고 있다. ⓒ 남소연

현장으로 돌아오겠다는, 아니 돌아오고 싶다는 네 글을 읽으며 우리도 기도를 시작했다. 그 시간이 얼마가 걸리든, 반드시 네가 너의 그 자리로 돌아올 수 있도록 해달라고 기도했다. 사람을 사랑할 줄 아는 놈이니, 그래서 우리에게 상처주지 않을 거라고 믿었고, 그렇게 기도했다. 취재를 하고 기사를 쓸 때는 차가운 쇳덩이만큼 단단한 놈이었으니, 쉽게 무너지지 않을 거라고 믿었고, 그렇게 기도했다.    

저는 만약 <오마이뉴스>가 좌초한다면, 가장 마지막에 배에서 내리는 사람이 되고 싶었습니다. 다른 선후배들도, 저보다 더 높은 이상과 꺾지 못할 자부심으로 쉼 없이 달려가고 있으리라고 믿습니다.

무엇보다 <오마이뉴스>를 사랑하는 네가 <오마이뉴스>와 끝까지 함께해야 한다고 우리 모두는 믿었고, 간절히 기도했다. 하지만 넌 이렇게 가는구나. 또 다른 길을 가는구나. 어차피 우리 모두 가야 할 길이지만, 급한 성격답게, 넌 그렇게 먼저 가는구나.

그날 밤, 가늘고 거친 숨을 간간이 내쉬고 있는 너에게 그 말을 꼭 해주고 싶었다. 내가 미국 생활을 마치고 올여름 오랜만에 회사에 와서 보니, 새로 온 식구들이 너무 많아서 낯설었다고. 그런데 그들과 눈빛을 마주치고, 손을 마주 잡고, 인사를 건네는데, 나를 알아보더라고. 그리고 네 얘기를 하더라고. 얼굴 한 번 본 적 없는데, 너를 알고 있더라고.

그 말을 듣더니 굳게 닫혀 있던 네 입 주변에 살짝 미소가 지어지더라. 흐뭇했지? 이제 막 들어온 후배들도 <오마이뉴스>와 함께했던 우리의 얘기를 모두 알고 있다는 얘기에 뿌듯하고 행복했지? 그렇게 흐뭇한 미소를 지으며 생명의 마지막 끈을 놓던 순간, 난 알겠더라. 네가 고통 없이 편안한 세상으로 가고 있다는 것을.

어제 오늘 일하기 억수로 좋은 날씨다. 이제 취재하러 가자, 영균아. 예전에도 그랬듯이 난 여기서, 넌 거기서 그렇게 우리 일을 하자. 아직 못다 이룬 우리의 꿈을 위해서, 아직 못다 이룬 우리의 세상을 위해서.      

영균이를 가슴에 묻으며
2012년 10월 3일
친구 경준이가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