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비정규직 문제, 박근혜 당선인 뜻?... 친박 딜레마

한화 정규직 전환 발표 이후 현대차 울산의 친박 행보 주목

등록|2013.01.28 15:49 수정|2013.01.28 15:49

▲ 2012년 4.11 총선을 일주일 앞둔 3월 25일 울산 북구 화봉시장을 방문해 상인과 인사하고 있는 박근혜 당선인. 박근혜 바람으로 노동자의 도시 울산 북구에서도 새누리당 박대동 후보가 통합진보당 후보를 이겼다 ⓒ 새누리당 울산시당


"한화의 전격적인 2000여 명 정규직화 발표는 말 그대로 충격입니다. 울산에서는 10년을 끌어왔지만 그대로인데..."

울산지역 경제계 인사는 28일 이같이 말했다. 지난 27일 한화그룹이 그룹내 비정규직 2043명을 정규직으로 일괄 전환한다고 발표한 후 노동계는 물론 재계도 놀라는 모습이다. 특히 친박근혜 계열 '정계+경제계'가 주도해 온 울산에서의 당혹감이 더 큰 듯하다. 상당수 언론이 이번 한화의 정규직 전환이 박근혜 당선인의 행보와 무관치 않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는 것이 한 배경이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지난 10일 대통령직인수위원들에게 비정규직 문제에 대해 "어버이의 마음으로 풀어달라"고 당부했고, 당선자 대변인은 철탑 고공 농성과 관련해 "당선인이 누구보다 가슴 아파하고 해결책을 위해 고민하고 있다. 법적, 제도적 장치를 통해 해결 방법을 더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었다.

이어 17일 뒤 한화가 대기업에서는 처음으로 대규모 정규직 전환을 발표했다. 그동안 현대차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여 온 친박근혜 계열이 당혹해하는 이유다.

앞서 지난 24일 현대차 비정규직노조 두 조합원이 100일째 정규직 전환을 요구하며 철탑농성을 벌이자 지역 경제계가 주축인 된 행복도시울산만들기범시민협의회(이하 행울협)는 이를 비난했었다.

행울협은 당시 "최근의 현대차 사내하청 노조는 현대차에 대해 법을 지켜달라고 요구하면서도 정작 법원의 판결도 무시한 채 불법농성을 해제하지 않고 있다"며 "특히 두 차례에 걸친 강제철거 집행에 대해 물리력을 행사하며 법집행마저 방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매우 안타깝다"고 비난한 바 있다.

한화의 정규직 전환, 노동자 도시 울산에 영향 미치나

그동안 울산을 주도해 온 친박근혜 계열은 정계와 재계가 한 몸통이었다. 경제계가 기침하면 정계는 곧바로 몸살을 하는 식이었다. 한 예로, 경제계가 노조를 비난하면 친박근혜계가 주도하는 정계는 야당이 내놓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촉구 결의안'을 부결시키는 등의 행보를 보여온 것 등이 그것이다.

지난 사례에서도 볼 수 있다. 지난 2006년 현대차 정몽구 회장이 회삿돈 수천억 원을 빼돌린 혐의로 구속됐을 때도 행울협은 정몽구 회장 구명운동을 벌였었다. 하지만 비슷한 시기 현대차 정규직 노조가 벌인 한미FTA 반대 파업 등에서는 현대차 울산공장 앞에서 '인간 띠잇기' 등 실력행사로 노조의 파업을 비난했었다. 지금은 그 대상이 정규직 노조에서 비정규직노조로 바뀌었을 뿐이다.

울산의 주도층이 친박근혜 계열인 것도 이유가 있다. 박근혜 당선자는 당 대표로 있던 지난 2004년 총선, 2005년 10·26 보궐선거, 2006년 지자체 선거, 비대위원장으로 있던 지난해 총선 등 선거 때마다 울산에 내려와 지역 새누리당 후보들의 유세 지원을 했고 당선에 기여했다. 그들은 울산의 주도층이 되었다.

이에 보답하듯 울산 주도층은 지난 2007년 한나라당 대선 경선 때 전국적인 이명박 바람에도 박 당선인 지지를 나타냈다. 당시 울산 선거인단 3185표 중 박근혜 후보가 1637표를 획득, 이명박 후보의 1517표에 120표 앞선 것이다. 전국 선거인단 투표에서 박 전 대표가 이 전 시장에게 앞선 표가 432표에 불과했으니, 전체 선거인단 승리표의 30% 가량이 울산에서 나온 셈이다.

하지만 최근 노동문제에서 박근혜 후보가 "비정규직 문제를 어버이 마음으로 풀어달라"고 하자 뒤이어 한화가 전격적인 정규직전환 발표를 하는 등 전국적인 분위기가 급변하는 모습이다.

그동안 현대차 회사측의 입장을 옹호하고 노조를 불법집단으로 비난해 온 울산 주도층이 앞으로 어떻게 행보를 이어갈지 궁금해지는 이유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