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나라사랑 키우는 청주의 '송상현 충렬사'

등록|2013.05.07 18:00 수정|2013.05.07 18:00
문명의 발달이 지구촌을 이웃으로 만들며 국가 간의 경제, 국방, 정보에 대한 경쟁이 더 치열해졌다. 더구나 핵으로 무장한 북한이 경거망동을 일삼아 나라사랑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우리나라는 반도국가라 외침이 잦았다. 그럴 때마다 초개같이 목숨을 버리며 나라를 구한 충신들이 많았기에 그런 사람들을 기리며 제사지내는 충렬사(忠烈祠)를 전국 곳곳에서 만난다.

경부고속도로를 달려 청주IC로 나오면 36번 국도 도로변에 플라타너스 나무들이 늘어서있다. 이곳이 청주 최고의 명물이자 우리나라 10대 아름다운 길로 꼽히는 가로수길이다. 가로수길이 청주 방향으로 막 시작되는 청주시 흥덕구 수의동 강촌마을에 동래부사 송상현을 모신 충렬사가 있다.

▲ 입구의 정려각과 이승만 전 대통령의 기념식수 느티나무 ⓒ 변종만


'송상현 충렬사'를 알리는 안내판을 따라가면 마을 입구에 정려각이 보인다. 정려각 앞 잔디밭에 1953년 이승만 전 대통령이 충북을 방문했을 때 기념으로 심은 느티나무가 서 있다. 정려각 옆길을 따라가면 가까운 곳에 충렬사가 있다.

▲ 충렬사 ⓒ 변종만


▲ 송상현의 영정 ⓒ 변종만


▲ 충렬묘(옛 사당) ⓒ 변종만


충렬사(충북기념물 제16호)는 임진왜란 때 부산의 동래성에서 일본군과 맞서 싸운 동래부사 송상현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선조 28년(1595년) 동래에 있던 송상현의 묘소를 고향이자 후손들이 정착한 청주로 이장하고 광해군 2년(1610년)에 충렬사를 세웠다.

송상현(1551-1592)의 호는 천곡, 시호는 충렬공이다. 1576년(선조 9년) 문과에 급제한 후 여러 관직을 거쳐 임진왜란 중이던 1592년 동래부사로 의롭게 순절했다. 동래성이 함락될 위기에 처했을 때 고향에 계신 부친께 '임금과 신하 사이의 의리가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은혜보다 중요하다'는 '군신의중 부자은경(君臣義重 父子恩輕)'을 부채에 혈서로 남겼다.

충렬사는 시민들이 역사와 함께 호흡하는 공간이다. 주위를 멋진 나무와 예쁜 꽃들로 잘 가꿨다. 사당에 오를 때는 오른쪽, 나올 때는 왼쪽 계단을 이용해야 한다. 영정 사진에서 지조와 위엄이 넘친다. 옛 사당 충렬묘(忠烈廟)는 조금 아래편에 있다.

▲ 천곡기념관 ⓒ 변종만


▲ 조형물 ⓒ 변종만


천곡기념관에 부친께 올린 혈선을 후대에 그대로 그린 혈선도, 의정부좌찬성 추증 교지, 충렬공 시호 추증 교지, 천곡수필집, 묘소를 동래에서 청주로 옮길 때 혼백과 신주(神主)를 모시고 돌아온 작은 가마 요여, 동래성의 전투 상황을 잘 아는 노인의 말을 토대로 그림 동래부순절도 등 110여점의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군신의중 부자은경(君臣義重 父子恩輕)'을 새긴 조형물이 기념관과 마주하고 있다.

▲ 부모산 둘레길 ⓒ 변종만


안내소 밖에 걸린 도표에서 임진왜란 9충신의 단제사와 사제사에 대해서도 공부할 수 있다. 순조가 말했듯 전후 8년 동안의 난리에 충절을 다해 몸을 바친 사람의 수효를 어찌 한정하겠는가마는 '송상현, 조헌, 고경명, 이순신, 이항복, 윤두수, 정곤수, 유성룡, 권율'이 임진왜란 9충신으로 단제사와 사제사 제향 인물이다. 답사 후 충렬사와 연결되는 부모산 둘레길을 걸으며 자연과 교감하는 것도 좋다.
덧붙이는 글 이기사는 제 블로그 '추억과 낭만 찾기'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