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충청권 행·정협의회 모였지만...이게 뭡니까?

불참 인사 많고, 민간단체 제외... 2개월마다 정례모임만 '합의'

등록|2013.05.14 17:12 수정|2013.05.14 17:12

▲ 14일 오후 대전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충청권 현안해결을 위한 4개시도지사 및 양당 시도당위원장 협의회. ⓒ 오마이뉴스 장재완


충청권 현안 해결을 위해 정치권과 자치단체가 머리를 맞댄 '충청권 행·정협의회'가 첫 모임을 했으나 그 결과는 정례모임을 하자는 것만 정했을 뿐 아무런 성과를 얻지 못해 실망을 주고 있다.

충청권 행·정협의회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와 세종시, 청주공항, 내포신도시, 서해안유류피해 등 굵직한 충청권 현안을 여야와 시도를 떠나 함께 힘과 지혜를 모아 해결하자는 취지로 지난 2월 6일 민·관·정 긴급좌담회에서 처음 제안됐다.

이날 좌담회에 참석한 민주당 이상민(대전 유성구) 대전시당위원장은 2월 20일 기자회견을 통해 "충청권 민·관·정협의체를 구성하자는 시민사회의 제안이 있었고, 이미 4개 시도지사들과 정치권 인사들에게 이러한 의견을 전달해 긍정적인 답변을 받았다"면서 공식 제안했다.

하지만 이후 충청권 민·관·정협의체 구성은 순탄치가 않았다. '추진주체가 특정정파다', '정치권보다는 행정에서 주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이 지역출신 국회의장과 부의장이 추진해야 한다'는 등의 공방이 오갔고, 심지어 날짜를 잡았다가 취소하는 일까지 일어났다.

'남 탓 공방'에 '책임회피'가 계속되자 지역여론은 모두를 강하게 질타했고, 여론에 떠밀려 결국 14일 오후 대전시청 대회의실에서 첫 모임을 열게 됐다. 하지만 이러한 우여곡절 끝에 모인 자리인데도 참석자들은 1시간 동안 모임의 정례화만 합의했을 뿐 특별한 성과를 거두지 못해 지켜보는 이들이 실망했다.

더욱이 참석대상이 모두 12명이었는데도 윤진식 새누리당 충북도당위원장과 김고성 새누리당 세종시당위원장, 이춘희 민주당 세종시당위원장 등 3인은 참석하지 않았고, 안희정 충남지사와 이시종 충북지사도 정무부지사를 대신 출석시키고 불참했다.

논의 내용도 이 모임을 정례화하여 얼마 만에 한 번씩 모일 것이냐를 두고 옥신각신하다가 겨우 이에 대한 합의만 한 채 헤어져 과연 이 모임이 충청권 현안해결에 큰 역할을 하기는커녕, 정례적으로 모이기나 할까 하는 의구심을 갖게 했다.

▲ 14일 오후 대전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충청권 현안해결을 위한 4개시도지사 및 양당 시도당위원장 협의회. ⓒ 오마이뉴스 장재완


이 모임 성사를 위해 실무 역할을 한 이상민 의원은 자진해서 사회를 보면서 "박성효 새누리당 대전시당위원장과 사전에 협의를 했다"며 "충청권 시도지사와 시도당위원장, 여야 국회의원, 시민사회단체 등이 모두 참여하는 가장 큰 단위의 모임을 6개월에 한번씩 하고, 지금과 같은 시도지사와 시도당위원장, 민간단체가 참여하는 협의회를 2개월에 한번씩, 그리고 실무협의회를 1개월에 한 번씩 열자"고 제안했다.

그러자 박성효 새누리당 대전시당위원장은 "민간의 개념은 정의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민·관·정으로 가기 어렵다, 또 모이는 규모가 너무 크면 끌고 가기 어렵다"면서 시민단체 제외를 주장했다.

이번에는 유한식 세종시장이 나섰다. 유 시장은 "현실적으로 4개시도지사 협의회도 있는데 이런 모임을 2개월에 한번씩 한다는 것은 어렵다"며 "실무협의회에서 구체적인 논의를 하도록 하고, 거기에서 필요하다고 판단이 되면 국회의원들까지 모이는 모임을 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에 이상민 위원장은 "여러분들의 의견이 그렇다면, 민간단체의 참여는 다시 논의하기로 하고, 우리 모임은 3개월에 한 번 모이는 것은 어떻겠느냐"고 물었다. 이에 홍문표 새누리당 충남도당위원장이 나서서 "3개월에 한번 모여서 무슨 의미가 있겠느냐, 그것은 모여서 사진만 찍는 것과 다를 바 없다"며 "실질적으로 현안을 조율하려면 2개월에 한 번씩 모여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자 이상민 위원장이 "제 뜻이 그 것"이라면서 "그렇다면 2개월에 한 번씩 정례모임을 하고, 그 산하에 실무협의회를 두어 한 달에 한 번씩 모여 구체적인 논의를 하는 것으로 하자"고 다시 제안했다.

이에 모든 참석자들이 동의했고, 이상민 위원장이 "오늘 모임의 성과는 이 모임을 정례적으로 하기로 한 것을 성과로 하고 마치자"고 하면서 회의를 끝마쳤다.

결국, 당초 계획했던 민·관·정협의체 구성이 아닌, 민간분야의 참여가 배제된 행·정협의체로 구성되게 됐고, 참석대상자 절반 가까이가 빠져 어렵사리 모인 자리에서 특별한 논의를 해보지도 못한 채 회의가 끝난 것.

이러한 회의 결과를 두고 취재진과 배석자들 사이에서는 '이게 뭐냐'는 볼멘소리가 터져 나왔고, 일부에서는 '이렇게 해서 다음 모임이나 가능하겠느냐'는 비판도 제기됐다.

이러한 우려에 대해 이상민 위원장은 "그런 우려는 당연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시적 논의 및 실행기구를 만든 것은 큰 의미가 있다"며 "첫 술에 배부를 수는 없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이어 "민간부분이 제외된 것 아니냐는 지적도, 완전히 제외됐다기보다는 그 범위와 대상을 정밀히 하자는 것이었다, 추후에 논의를 통해 포함해야 한다고 본다"며 "오늘은 시작이니까 이를 잘 활용해서 서로 간 신뢰를 쌓으면 성과를 얻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