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서민금융' 저축은행, 강북에서 보기 어려운 까닭

서울 점포 121개 강남, 서초 등에 70% 몰려...도봉·성동·금천 등 한 곳도 없어

등록|2013.09.17 18:30 수정|2013.09.17 18:34

▲ 2012년 서울시 구별 저축은행 현황 ⓒ 민병두의원실


저축은행은 대표적인 서민금융기관이다. 하지만 시중 대형은행만큼 쉽게 방문하기도 만만치 않다. 점포수가 절대적으로 많지 않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서울의 경우는 사정이 약간 다르다. 강남을 비롯해 서초와 종로 등 이른바 고소득자가 많은 지역에 저축은행 점포가 몰려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 상대적으로 서민층이 많은 지역에선 저축은행을 찾아가기란 더 어려웠다.

민병두 민주당 의원이 17일 금융감독원과 안전행정부로부터 받은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지난해 서울의 저축은행 점포는 모두 121개였다. 이 가운데 서울 중구·종로구·강남구· 영등포구·서초구 등 5개구에 서울지역 전체의 69.4%인 84개가 개설돼 있다. 이들 5개 구는 서울 25개구 중 1인당 소득세 납부 순위로 5위 안에 드는 곳들이다. 한마디로 돈 많은 사람들이 모여있는 곳이다. 특히 강남구의 저축은행 점포 수는 40개나 된다. 이는 서울지역 전체 저축은행 점포의 33.1%에 해당하다. 이어 서초구와 중구는 각기 15개로 12.4%를 차지하고 있다.

반대로 서울 용산구와 금천구·성동구·광진구·강서구·도봉구·중랑구 등에는 저축은행 점포가 단 한 곳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대문구·동대문구·동작구·관악구·은평구에는 각각 1개씩만 있다. 이들 지역은 1인당 소득세 납부액이 하위권인 이른바 서민거주 지역이 많이 있는 곳이다.

결국 서민금융기관이 서민보다 고소득층을 상대로 한 영업을 위해 점포를 개설하고 있는 셈이다. 저축은행 점포가 상대적으로 적은 서민 주거 지역에는 고금리 영세 대부업체가 점포를 내고 영업을 하고 있다. 민 의원은 "저축은행 점포가 한 곳도 없는 7개구의 경우 대부업 점포수가 656개나 된다"면서 "저축은행이 해야할 서민금융의 역할을 대부업체들이 대신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저축은행이 해야할 서민금융 역할을 대부업체가

▲ 2012년 1인당 소득세납부액 하위8개구 저축은행 및 대부업 점포(규모별) 현황 ⓒ 민병두의원실


작년 말 기준으로 서울지역의 대부업 점포는 모두 3853개다. 이 가운데 100억 원 이상의 자본금을 갖춘 대형점포는 111개, 100억 미만의 대부업 점포는 856개, 개인 대부업 점포는 2876개였다. 게다가 구민 1인당 소득세 납부액이 가장 적은 중랑구·도봉구·강북구·은평구· 노원구·관악구·성북구·강서구에는 자본금 100억 원 이상의 안정적인 대부업 점포는 전혀 없었다. 반면 개인 대부업 점포는 879개나 됐다. 서민들이 영세 개인 대부업 점포를 이용할 수밖에 없는 구조인 셈이다.

민 의원은 "서민금융의 대표기관인 저축은행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면서 저소득층의 금융접근성이 취약한 실정"이라며 "자본과 규모가 안정적인 대형 대부업체마저도 고소득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해 있어 서민들의 건전한 금융기관 이용 환경이 열악한 현실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