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여기서는 3등급, 저기서는 5등급... '들쭉날쭉' 신용등급

민병두 의원 "현행 신용정보 평가기준 개선해야"

등록|2013.10.02 17:44 수정|2013.10.02 17:44
대출, 카드개설 등을 위해 개인이 금융기관을 이용할 때 사용되는 신용등급이 신용평가회사에 따라 큰 격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민병두 민주당 의원이 분석한 금융감독원 자료에 따르면 국내 대표적인 신용평가회사인 나이스신용평가정보(NICE)와 코리아크레딧뷰로(KCB)의 신용분산도는 상당한 격차를 드러냈다. 어느 신용평가 회사의 신용등급을 적용하느냐에 따라 동일인이 금융기관에서 받을 수 있는 신용서비스가 크게 차이날 수 있다는 것이다.

신용평가회사마다 평가기준 달라... "소비자 혼란"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신용평가회사마다 평가 기준이 다르기 때문. 나이스는 상환이력정보를 40.3%로 가장 많이 반영하고 있으며 상품별 계좌건수 및 활용비율과 같은 신용형태정보에 25.8%, 현부채수준은 23% 비중을 뒀다. 연체 등 이전 신용상품 사용행태가 신용등급을 결정하는 중요 요인이라는 얘기다.

반면 KCB는 현재부채수준을 35%로 가장 비중있게 다루고 상환이력정보(25%)와 신용형태정보(24%)를 비슷한 중요도로 평가했다. 특히 상환이력정보 반영시 나이스는 연체정보 뿐만 아니라 과거채무상환이력도 포함시키지만 KCB는 연체정보만을 포함해 신용등급 결과 차이가 더 커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민병두 의원은 "신용등급이 신용조회사마다 다르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면서 "그나마 자체신용평가를 할 수 있는 대형은행과는 달리 저축은행, 상호금융, 새마을 금고 등은 신용평가사의 신용평가에 절대적으로 의지하는 만큼 국가의 서민금융지원이 들쭉날쭉 이뤄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현행 신용정보 평가기준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민 의원은 "현재 신용평가기준이 주로 연체정보, 부채수준과 같은 부정적 정보 중심으로 되어 있어 매우 경직적이고 채권자(기관)중심적"이라면서 "얼마나 성실하게 상환하는지, 소득 안정성은 어떤지 등 긍정적 정보도 충분히 반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