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한국, 기후변화 대응 못하면 2100년 GDP 3% 손실"

KOICA·ADB '동아시아 기후변화 경제학 연구보고서' 전망

등록|2013.10.24 14:41 수정|2013.10.24 14:42
우리나라가 기후변화에 대응하지 않은 채 지금과 같은 발전양상을 이어가면 2100년에는 기후변화로 인한 경제 손실이 국내총생산(GDP) 대비 3%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 같은 전망은 한국·중국·일본·몽골 등 동아시아 4개국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대응에 따른 영향과 비용을 분석해 한국국제협력단(KOICA)과 아시아개발은행(ADB)이 최근 공동 발간한 '동아시아 기후변화 경제학 연구보고서'에서 언급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동아시아는 전 세계 에너지 관련 온실가스 배출의 약 30%를 차지하고 있다.

상기한 동아시아 4개국이 기후변화에 별다른 대응을 하지 않으면 2050년 이후 비용 부담이 크게 늘고 2100년에는 GDP 평균 대비 5%(동아시아 전체)의 손실을 보게 될 전망이다. 4개국 가운데 고도가 높아 기후 상승 폭이 큰 몽골의 경우, 예상 손실이 GDP 대비 9%로 가장 컸다.

▲ 20세기에 들어 알프스 빙하의 길이가 약 2.4㎞나 줄어들었고 요즘 들어서는 감소하는 속도가 더욱 빨라지고 있다는 과학자들의 연구결과가 잇따르고 있다. ⓒ 온케이웨더


한국은 코펜하겐·칸쿤 기후변화 회의에서 합의한 시나리오에 따라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2020~2100년 사이에 연간 GDP 6~8%의 비용 투입이 불가피해 보인다. 하지만 한국의 감축 한계비용(marginal cost)은 2030년 이후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즉, 기후변화 대응이 늦을수록 감축 단위당 드는 비용이 커지며, 기후변화 대응에 필요한 행동에 빨리 나설수록 그 비용은 낮아진다는 설명이다.

이 연구보고서는 한국이 2030년까지 배출전망치(BAU) 대비 22~31%의 감축은 가능하겠지만 이 중 68%는 순비용이 더 들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에너지 비용 감축·대기질 향상·자원소비 감소 등의 장기적인 이익을 감안하면 비용대비 편익이 더 클 것이라고 전했다.

보고서는 "2050년까지 전 세계 평균기온이 섭씨 2℃ 상승이 불가피하다"며 동아시아 각국의 기후변화 대응 비용과 예상 효과를 ▲ 인프라 ▲ 해안지역 보호 ▲ 농업 등 세 분야로 나눠 분석했다.

▲ '동아시아 기후변화 경제학 연구보고서'는 기후변화에 별다른 대응하지 않으면 2050년에는 여름철 강우량 증가 현상이 한국과 일본에 집중될 것으로 내다봤다. ⓒ KOICA


여러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종합한 결과 2010~2050년 동아시아는 인프라 분야에서 연간 229억 달러, 해안지역 보호에 연간 42억 달러, 농업 분야에는 연간 95억 달러를 기후변화 대응에 지출해야 하는 것으로 계산했다. 우리나라의 경우 연평균 90억 달러가 들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는 "한국의 경우 ▲ 기후변화에 맞춘 인프라 설비 구축 ▲ 태풍 증가에 대비한 건축 풍속 기준 상향 ▲ 해안지역 보호에 대한 투자 ▲ 교통과 산업 분야에서의 온실가스 감축 등이 투자 우선순위"라며 "한국은 태풍으로 인해 매년 3.8%의 인구가 피해를 보게 되며 GDP손실은 연간 1%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국제협력개발단이 동아시아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 지원과 녹색성장 전파를 위해 2009년부터 벌이고 있는 동아시아 기후파트너십(EACP)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덧붙이는 글 박선주(parkseon@onkweather.com) 기자는 온케이웨더 기자입니다. 이 뉴스는 날씨 전문 뉴스매체 <온케이웨더(www.onkweather.com)>에도 동시 게재됩니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