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동양증권 피해자, 왜 유독 울산에 많을까

[현장] 울산지역 동양사태 피해자 모임 대책회의

등록|2013.10.29 14:22 수정|2013.10.29 14:22

▲ 10월 28일 오후 7시. 울산 남구 신정동 구방송국 사거리에 있는 민주당 울산시당사에서 동양사태 울산피해자들이 피해자 확인 후 1만원 회비 자동이체 신청을 하고 있다 ⓒ 박석철


10월 28일 오후 7시. 울산 남구 신정동 구방송국 사거리에 있는 민주당 울산시당사는 30대에서 80대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시민들이 모여들어 발 디딜 틈조차 없었다.

민주당 울산시당은 이날 '울산지역 동양사태 피해자 모임(아래 울산피해자모임)'의 대책회의를 마련했는데 400여 명으로 추산되는 지역 피해자 중 절반이 넘는 200여 명이 참여했다.

울산피해자모임 박창홍 공동대표는 "울산의 실제 피해자는 700명이 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인구 비례로 봤을 때 전국에서 가장 많은 피해자 규모라고 한다. 피해 금액도 500억 원이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

이처럼 울산에서 피해자가 유독 많은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동양증권(전 동양투자증권)의 전신이 울산투자금융이기 때문이다. 오래 전부터 울산투자금융에 투자한 지역주민들이 동양증권으로 그대로 갈아탔기 때문이다.     

이날 울산 피해자들은 그동안 동양증권의 선전을 그대로 믿고 투자했다가 오히려 피해를 봤다고 하소연했다.

동양증권 "재테크의 기본은 은행을 떠나는 것"이라 선전

한 피해자는 그 일례로 동양증권이 지난 2010년 2월 27일 울산대공원에 있는 가족문화센터에서 연 재테크와 투자에 관한 설명회를 들었다. 이날 행사에는 250여 명의 지역민들이 몰려 성황을 이뤘다.

당시 동양증권은 금융시장 상황과 주식시장 흐름을 설명하면서 "재테크의 기본은 은행을 떠나는 것"이라며 동양증권 가입을 적극 권유했다고 주장했다. 이날 한 피해자는 "당시 동양증권이 '국내 최초 300만 계좌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며 동양증권 CMA에 대해 설명했는데, 그대로 믿었다"고 말했다.

▲ 10월 28일 오후 7시. 울산 남구 신정동 구방송국 사거리에 있는 민주당 울산시당사에서 열린 동양사태 울산피해자 회의에서 박창홍 공동대표가 앞으로 대책방향을 설명하고 있다 ⓒ 박석철


특히 울산 피해자들은 올해 5월과 9월만 해도 동양그룹의 현재현 회장이 대통령 해외순방단에 공식 수행단으로 연이어 합류한 모습을 보고 "대통령을 수행하는 대기업이 판매하는 채권을 수익성 예금 정도로 안심했다"고 입을 모았다.

피해자들은 또 동양그룹의 유동성 위기가 고조된 지난 8월 말에서 9월 말까지 한 달 동안의 시장성 차입금이 5000억 원을 넘고, 이때 그룹의 전직원이 동원되다시피 해서 회유성 판매를 한 것을 두고 "명백한 사기"라고 성토했다.

이날 상당수 참가자들은 정부 당국을 믿지 못하겠다고 했다. 이들은 "예보, 금융위, 금감원의 일처리가 엉망"이라고 지적했고, 일부는 "새누리당사에 가서 드러누워야 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박 공동대표는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현금은 10% 가량, 나머지는 주식으로 보상받는다"며 "주식이 감자되면 피해가 고스란히 우리에게 돌아올 것"이라고 말했다.

울산 피해자들 월 1만원 회비 걷어 공동 경비로

울산 피해자모임에는 60대 이상 퇴직자들이 70~80%를 차지한다. 울산피해자모임 박창홍 공동대표는 "실제로 연세가 많으신 분들은 이것저것 따지지 않고 많은 수익을 올릴 수 있다는 말에 무조건 동양증권에 가입한 경우가 많다"며 "고령이고 경제지식이 없는 분이 대부분이다 보니 울산이 타지역보다 빨리 대책위 활동을 시작해 피해를 줄이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울산피해자모임은 지난 10월 12일 첫 대책회의를 열고 공동대표단 등 집행부를 구성했고 23일 간담회를 가진 후 이날 2차 회의를 열었다.

앞서 울산피해자모임은 민주당에 도움을 요청해, 지난 23일 울산 남구 달동에 있는 동양종금빌딩에서 울산피해자모임 대표단과 심규명 민주당 울산시당 위원장(변호사)이 간담회를 갖고 지역의 피해자 실태 파악에 나서기도 했다.

이날 민주당 울산시당사 한쪽에서는 월 1만 원 CMS 신청을 하는 피해자들로 북적였다. 상경 투쟁과 대책위 진행 과정에 드는 경비를 공동으로 부담하자는 것으로, 장기적인 싸움에 대비하는 모습이었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