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한국지엠 밤샘노동 폐지, '인간다운 삶' 고민해야

[한국지엠 주간연속2교대 실시] 노동자 삶과 지역에 미칠 영향은? (상)

등록|2014.01.02 18:18 수정|2014.01.03 13:49
현대차 노동자 73.5%, 주간연속 2교대 도입 '만족'

2013년 3월 현대자동차에 처음 시작한 데 이어, 한국지엠도 2014년 1월부터 주간 연속 2교대제 근무를 실시할 예정이다. 주간 연속 2교대제는 기존 주야 맞교대에서 밤샘근무가 사라지는 것으로 부평 일대에 지각변동이 예상된다.

주간연속 2교대제는 주간조와 야간조로 나눠 각각 일정 시간을 일한 후 맞교대하던 방식을 주간 2개 조로 편성해 밤샘근무를 없앤 것이다.

밤샘근무가 노동자의 건강과 삶의 질을 훼손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 저하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면서, 2013년 3월 현대차가 주간연속 2교대제로 바꾼 후 완성차 사업장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

현대차 노동자의 73.5%가 주간연속 2교대제를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금속노조 현대차지부는 2013년 8월 울산·아산·전주공장 조합원 2000여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73.5%가 만족한다고 답변했다고 밝혔다.

만족하는 이유로는 '수면의 질 향상(45.2%)'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심리·육체 피로도 감소(24.7%), 취미와 여가 시간 증대(17.3%), 가족 유대감 향상(8.2%)이 뒤를 이었다.

한국지엠도 이 같은 변화를 앞두고 있다. 한국지엠은 2013년 3월 2주(11~22일) 동안 시범적으로 주간연속 2교대제를 실시했다. 이후 2013년 단체교섭을 통해 2014년 1월 2일부터 주간연속 2교대제를 도입하기로 노사가 합의했다. 노사는 전반조가 8시간, 후반조가 9시간 20분 일 하는 것으로 절충했다.

주야맞교대 시절에는 주간조가 잔업을 포함해 오전 8시부터 오후 7시까지, 야간조가 오후 7시부터 다음날 오전 6시까지 일했다. 주간연속 2교대제 도입으로 밤샘근무가 사라져 전반조가 오전 7시부터 오후 3시 40분까지, 후반조가 오후 3시 40분부터 새벽 1시 50분까지 일한다.

한국지엠의 이 같은 근무형태 변화는 자동차 협력업체를 비롯한 지역경제와 한국지엠 노동자들의 가정생활과 여가생활, 나아가 부평 일대 상권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주간연속 2교대제를 먼저 실시한 울산에서 이미 그 변화는 시작됐다.

한국지엠주간연속2교대 시행 사흘을 앞두고 한국지엠 부평공장 노동자가 지난 12월 30일 생산라인에서 자동차를 조립하고 있다. ⓒ 김갑봉


노동시간 단축 통한 인간다운 삶... 지역사회 참여 길 열려

<시사인천>이 민주당 홍영표(부평구을) 국회의원을 통해 받은 노광표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소장의 '한국GM의 근무형태 변경과 지역사회의 대응 과제' 보고서를 보면, 우선 울산 현대차의 경우 주간연속 2교대제의 도입으로 노동시간이 단축됐다. 보고서는 주간연속 2교대제 도입으로 현대차 생산직의 노동시간은 연평균 약 236시간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한국지엠 역시 비슷하게 줄어들 전망이다.

2011년 기준 현대차 생산직의 연평균 노동시간은 2678시간으로 우리나라 전체 노동자의 연평균 노동시간 2193시간에 비해 485시간이 길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1749시간보다는 무려 929시간이나 길었다. 두 번째로 이 같은 노동시간 단축은 문화·여가생활의 확대와 일과 가정의 조화(work-life balance)를 위한 디딤돌이 될 전망이다.

현대차의 경우도 노동자들이 여가시간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다양한 요구가 봇물처럼 터졌는데, 그 중 여가생활과 교육프로그램 확충 요구가 많았다.

현대차가 주간연속 2교대제를 실시한 지 10개월이나 지나 노동자들의 삶의 변화를 보면, 젊은 노동자들은 "오후 3시 40분에 퇴근하면서 아이를 유치원에서 데려 올 수 있었다. 아빠 역할 처음 해보았다"고 만족감을 표현했다.

또 대다수 노동자들이 "낮에 일을 마치니 시간이 많아서 좋다" "밤에 일을 안 하고 잠을 잘 수 있어서 좋다" "시간 여유가 있어 여가활동을 할 수 있어 좋다" "가족과 보내는 시간이 많아서 인간다운 삶을 사는 것 같다" 등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물론 불만이 없는 것은 아니었다. "점심시간이 줄어드니 밥 먹고 쉴 시간이 없어 소화가 안 된다" "1조 출근시간이 빨라서 피로하다" "퇴근하고 뭘 해야 할지 모르겠다. 바보가 된 것 같은 기분이다" "2조가 끝나고 집에 가면 새벽 2시가 넘어 부인과 방을 따로 써야 한다" 등의 평가도 존재했다.

셋째, 달라진 근무형태는 그동안 지역사회에서 주변부로 밀려나 있던 남성노동자들을 지역사회 중심부로 끌어드리는 계기가 되고 있다.

한국 사회에서 남성노동자들은 24시간 중 대부분의 시간을 직장에 쏟아 부었고, 집에서 모습은 '잠'과 '쇼파맨'으로 불렸다. 직장에 매몰된 생활은 결국 가정에서 '남편'과 '부모'의 역할 상실을 뜻했다.

그렇다 보니 남성노동자들은 지역정치의 주인도, 행정서비스 이용자로서 권리도 제대로 행사하지 못했다. 결과적으로 남성노동자들은 '참여하는 시민'의 역할도, '서비스 이용자'로서 권리를 갖지 못했다.

그러나 향후 밤샘노동이 없어지고 노동시간이 단축되면서 이들이 '직장과 집'이라는 울타리를 벗어나 지역사회의 주체로서 자기 권리를 찾기 위한 토대가 마련된 셈이다. 노동시간 단축은 노동자들에게 다방면에서 사회참여의 기회를 열어준 것이다.

노동시간이 단축됨에 따라 여가활동 및 문화생활의 요구가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지자체와 교육기관, 시민사회, 문화예술기관과 단체 등이 노동시간 단축 이후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공장 밖으로 기지개를 펼 노동자를 맞이할 고민을 같이 하지 못 하면 여전히 TV시청과 낮잠 등 소극적 여가활동에 그칠 공산이 크다.

(다음 호에 계속)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시사인천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