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조직심리학으로 진단하는 이직 해결법

Vroom의 VIE이론에 따라 진단한 이직 해결법

등록|2014.03.23 10:03 수정|2014.03.23 10:03
 기업의 골칫거리 중 하나가 신입사원의 이직이다. 채용하는 것부터 교육하는 데까지 드는 비용을 고려해본다면 신입사원의 이직은 기업의 입장에서 커다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그렇다면 이직을 방지하거나 줄일 방법은 없는 것일까? 이에 대한 해법을 조직심리학의 이론 중 하나인 VIE 이론으로 설명해 보고자 한다.

VIE 이론

Vroom이 소개한 이론으로 동기 이론 중 가장 광범위하게 관심을 받은 이론이다.
동기는 3가지 요소 유인가(Valence), 도구성(instrumentality), 기대(Expectancy)가 있으며 이들의 관계에 의하여 표출된다. 유인가는 결과의 지각된 가치, 만족을 뜻하며 도구성은 수행과 보상을 연계하는 P-O 기대이며 마지막 기대는 노력과 수행을 연계하는 E-P 기대이다.

VIE 이론Vroom이 제시한 VIE 이론 ⓒ 한태영 교수


위의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실제 인터뷰를 진행해본 결과, 신입사원들의 이직에 따른 가장 큰 이유는 유인가가 충족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었다.

유인가는 기대된 만족, 즉 직무 관련 행동으로 중요한 또는 매력을 느끼게 되는 수준의 결과로 동기적 힘이다. 따라서 이는 결과에 대한 실제 가치(Value)와 다르다. 각 개인은 다양한 선호도를 지니기 때문이다. 그런데 자신의 유인가가 자신의 기대에 미치지 않을 경우 이는 유인가가 높은 보상이라고 볼 수 없다.

유인가와 관련된 내용은 실제 이직을 하는 신입사원들과의 인터뷰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작년 남들이 보았을 때 대기업이라고 칭해지는 한 기업에 입사한 L 군은 입사한 지 정확히 일 년 후 다른 기업으로 이직했다. 같은 업무를 하더라도 친구들과 비교해 보니 회사의 복지나 임금이 불만족스러워졌다는 것이 이유였다. L 군에게 수행에 따른 결과, 즉 유인가는 복지와 임금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 입사한 지 6개월 만에 이직을 결정한 Y 양 역시 복지와 인정의 부재 등을 이유로 꼽았다. 여성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다는 점과 업무의 완벽성에 대한 침묵이 직무에 대한 흥미를 잃어버리게 했다는 것이다. 이에 Y 양 역시 복지와 인정이라는 유인가를 얻지 못해 규모는 작지만 좀 더 가족 같은 직장으로 옮기게 되었다고 덧붙였다.

VIE 이론은 이에 대한 해법으로 관리자는 직원들이 가치 있게 생각하는 보상을 제공해야 한다고 말한다. 물론 많은 수의 직원들이 원하는 각각의 보상을 제공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수 있다. 하지만 설문지, 면접 등과 같은 방법을 통해 대다수 의견을 취합하여 유인가로 실제 제공하는 적극성을 보인다면 이직은 점차 줄어들 것이 분명하다. 이직에 대한 걱정으로 한숨 쉬는 기업들이 줄어들기를 바라본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