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한반도 전문가, 압도적 다수로 5·24조치 해제 주장

경실련통일협회 전문가 설문조사, 5·24조치 북한 제재효과 없다는 응답은 73%

등록|2014.05.22 16:35 수정|2014.05.22 16:35
2010년 천안함 사건 이후, 당시 이명박 대통령은 남북 간 교류협력 중지를 골자로 한 대북제재조치인 5·24조치를 발표하였다. 이로인해 정부는 물론 민간 차원의 남북교류협력까지 모두 급감했다. (사)경실련통일협회는 5·24조치 4년을 맞아 학계, 정책연구집단 등 북한·통일 전문가 113명을 대상으로  5월 8일(목)부터 20일(화)까지 12일 간 5·24조치와 관련된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를 22일 발표했다.

5·24조치는 해제 또는 완화되어야 합니까?

5.24조치 존속여부에 대한 전문가 응답5.24조치 해제 및 완화 여부에 전문가 91%(103)명이 찬성했다. ⓒ 홍명근


설문조사를 결과 압도적 다수인 91%(103명)가 5·24조치 해제 또는 완화를 주장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대한 근거로는 "남북경협 확대 및 발전을 위해서"에 62.14%(64명), "긴장완화를 위해서"에 25.24%(26명)가 답했다. 이러한 조사 결과에 (사)경실련통일협회는 "전문가들이 5·24조치가 남북 간 호혜적 경제발전과 한반도 안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왔음을 반증하는 대목이다."라고 밝혔다.

5·24조치로 인한 남과 북의 피해 규모는 어느정도였다고 평가하십니까?

5.24조치로 인한 남과 북의 피해 규모 비교5.24조치로 인한 피해규모 조사에 북한의 피해가 더 크다고 응답한 전문가들은 28%에 그쳤다. ⓒ 홍명근


또한 5·24조치에 대한 제재 효과에 대한 평가로 남한의 피해가 더 크거나 북한과 비슷하다고 답한 응답자가 72.82%(75명)였다. (사)경실련통일협회는 "5·24조치의 본래 목적이 대북제재였으나 사실상 남한의 피해가 더 크게 나타나 본래 목적과 취지를 상실했다"고 밝혔다.

실제 작년 11월, 현대경제연구원에서 5·24조치 관련 피해액을 조사한 결과  남한의 직접적인 경제 피해는 9조 4천 억으로 북한의 2조 4천억 원보다 약 4배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기도 했다. 5·24조치로 인한 피해 규모가 산출된 경우는 현대경제연구원 조사가 유일하다.

5·24조치의 가장 바람직한 해제 또는 완화 방법은 무엇입니까?

5.24조치 해제 및 완화방법5.24조치 해제 및 완화 방법으로 남한의 先 5.24조치의 전면적 해제 또는 완화 방법에 86.41%(89명)가 응답했다. 반면 북한의 先사과 이후 남한의 5.24조치 해제 응답안 단 한명도 없었다. ⓒ 홍명근


5·24조치 해제 또는 완화 방법으로 전문가들은 남한의 先 5·24조치 전면적 해제 또는 부분적 완화를 통해 남북관계 돌파구를 마련하거나, 사과를 유도해야 한다는 응답이 86%(89명)에 달했다. 반면 현재 박근혜 정부가 5·24조치를  취하고 있는 정책기조인  "북한의 先 사과 이후 남한의 5·24조치 해제"로 응답한 전문가는 단 한명도 없었다.

주관식 문항인 박근혜 정부 대북정책의 방행에 대해서는 첫째, 박근혜 정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남북대화와 협력에 나서야 한다는 응답과, 둘째, 남북교류협력을 추진해야 한다는 응답, 끝으로, 박 대통령의 전면적 대북정책 전환이 제시되었다.

이어 향후 박근혜 정부의 5·24조치 정책 전망에 64%(66명)의 전문가가 임기 내에 5·24조치가 '완화'될 것으로 전망함에 따라 향후 남북관계 개선에 기대감을 나타냈다.

5.24조치 해제에 반대하는 전문가들의 이유5.24조치 해제에 반대하는 10명의 전문가는 천안함 사건에 대한 사과가 없다는 이유로 5.24조치 해제에 부정적 입장을 보였다 ⓒ 홍명근


반면, 5·24조치 해제 반대에 입장을 표명한 10명의 전문가들은 천안함 사건에 대한 북한의 사과재를 가장 큰 근거로 제시했다. 이들은 향후 박근혜 정부의 대북정책이 나아갈 방향으로 북한체제에 대한 제재를 위한 대북 압박정책의 지속, 무력도발에 대한 즉각적이고 과감한 응징, 국민 안보의식 강화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아울러 본 설문조사를 진행한 경실련통일협회를 비롯하여 남북경제협력포럼, 남북경협국민운동본부, 남북경협기업비상대책위원회, 남북물류포럼,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본부, 흥사단민족통일운동본부 7개 단체는 오는 23일(금) 12시 30분, 광화문 이순신 장군 동상 앞에서 5·24조치 해제를 촉구하는 참가단체 명의의 성명서를 발표한다고 밝혔다.

덧붙이는 글 홍명근 기자는 (사)경실련통일협회 간사입니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