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대전 5곳 대기오염 심각... WHO 기준 초과

대전충남녹색연합 시민모니터링 결과... 평균 농도 25.4ppb로 지난해 보다 낮아

등록|2014.11.19 11:07 수정|2014.11.19 11:55

▲ 2010-2014년 대전시 정기조사지점 이산화질소 평균 농도 (단위:ppb)와 2010-2014년 구별 이산화질소 평균 농도 변화 그래프. ⓒ 대전충남녹색연합


대전지역 5개 지점의 대기오염 농도가 WHO 기준인 40ppb를 초과한 것으로 조사되어 대책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대전충남녹색연합과 한국가스공사충청지역본부는 18일 '대전시민대기오염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했다. 'BlueSky 프로젝트'라는 이름으로 진행되는 이 모니터링은 올해로 10년째를 맞고 있다.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대전지역 주요지역에 이산화질소(NO2)  간이측정 캡슐을 부착, 24시간 이후에 수거하는 방식이다.

250명의 시민이 참여하여 201지점에서 실시된 올 해 조사에서 대전의 평균 이산화질소 농도는 25.4ppb로 나타났다. 이는 유효한 값을 보인 정기조사지점 112곳의 조사 캡슐을 분석한 결과로 5개구 가운데 서구가 28.2ppb로 가장 높았고 유성구가 25.7ppb로 그 뒤를 이었다. 대덕구는  21.9ppb, 동구는 21.6ppb, 중구는 21.4ppb의 결과를 보였다.

이번 모니터링에서 대기오염이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난 곳은 서구 둔산동 공작네거리로 이산화질소 농도가 46.1ppb로 나타났다. 또 신탄진동 덤바위삼거리(45.7ppb), 원내동 진잠네거리(43.3ppb), 정림동 정림삼거리(43.2ppb), 월평동 진달래네거리(40.4ppb)등도 WHO 기준치인 40ppb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모두 차량통행이 많은 주요 교차로기는 하지만, 둔산동 공작네거리의 경우에는 학교와 주택가가 인접해 있어 시민들의 보행이 많은 곳으로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주택가의 경우에도 이산화질소 농도가 상당히 높은 지역이 발견됐다. 원내동 진잠타운아파트는 33.3ppb로 조사되어 주택가 중에서는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다. 그 다음으로는 월평동 누리아파트(30.6ppb), 가장동 나르매아파트(30.6ppb), 내동 롯데아파트 (28.4ppb), 만년동 초원아파트(26.3ppb)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아파트는 차량통행이 많고 교통정체가 자주 일어나는 주요도로와 인접한 아파트들이다.
  
또한 환경성 질환에 취약한 학생들이 있는 학교의 이산화질소 조사 결과도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만년동 만년초등학교는 36.3ppb로 WHO 기준에 가깝게 나왔고, 그 뒤로는 관저동 금동초(30.7pp), 관저동 구봉초(39.7ppb), 상대동 유성중(29.1ppb), 관평동 관평초(25.9ppb)로 조사됐다.

▲ 2014년 이산화질소 농도 상위 10개 지점 (단위:ppb) ⓒ 대전충남녹색연합


한편, 대전충남녹색연합은 시민대기오염모니터링 10년째를 맞아 지난 10년 동안의 이산화질소 농도 측정 결과를 분석, 발표했다.

그 결과, 2005년부터 2014년까지 10년간 평균 이산화질소 농도가 40ppb를 넘는 지점이 무려 31곳이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대기오염이 가장 심각한 지점은 중구 목동 목동사거리로 평균 51.7ppb를 보였다. 특히, 평균 40ppb를 넘는 지점 31곳 모두 교차로라는 점에서 자동차 통행량과 이산화질소 농도의 상관관계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고 이들은 분석했다.

대전충남녹색연합은 "앞으로 대전시는 대전시 전체 평균 대기질 개선보다 대기오염이 심각한 교통량이 많고 시민들의 통행이 빈번한 곳들에 대한 정밀조사와 대기질 개선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며 "특히 대기오염에 취약한 어린이와 노약자들이 생활하는 학교와 주택가 주변의 대기질 개선이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대기질 개선을 위한 지금까지의 행정이 자동차의 오염물질 배출량을 저감시키는 데 소극적이었다면 이제부터는 근본적으로 자가용 이용을 억제하고 공공교통을 활성화 시키는 방향으로 정책을 전환해야 한다"며 대중교통 중심의 교통정책과 보행환경개선을 주문했다.

이와 함께 ▲ 차 없는 거리 ▲ 자전거 교통 활성화 ▲ 대중교통전용지구 ▲ BRT시스템 확대 ▲ 교통유발분담금 강화 ▲ 환승센터와 같은 적극적인 공공교통 및 녹색교통 정책 시행 등을 촉구했다. 특히, 대전시의 가장 큰 현안인 대전도시철도 2호선의 건설방식은 자가용 이용을 억제하고 친환경 녹색도시를 만들기 위해 '노면방식'으로 추진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