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동요 속 '따오기', 실제로 본 사람은 없다

1979년 대한민국에서 마지막 목격... 창녕군 내년 100마리 이상 복원 예상

등록|2014.11.20 13:08 수정|2014.11.20 13:08

아름다운 겨울을 준비하는 우포의 모습. ⓒ 이경호


경남 창녕군의 우포늪은 사람들이 많이 찾는 습지보호지역이다. 봄, 여름, 가을, 겨울 언제 가도 우포는 늘 만족감을 준다. 겨울이 된 지금 우포에는 새들이 많다. 쇠오리, 물닭, 큰기러기 등등 많은 새들을 우포는 품어낸다. 먹을 것이 부족한 겨울이지만 우포는 겨울철새들을 품기에 충분한 서식처다.

우포는 천연기념물 큰고니와 노랑부리저어새에게도 겨울철 서식처를 제공하고 있다. 지난 15일 찾아간 우포에는 노랑부리저어새(천연기념물 205호) 13마리와 큰고니(천연기념물 201호) 6마리가 찾아와 있었다.

우포, 목포, 쪽지벌, 사지포 4개의 습지를 합쳐, 가장 큰 습지의 이름인 '우포'로 부른다. 큰고니와 저어새는 모두 우포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저어새는 특별한 곳을 찾아가지 않으면 볼 수 없는 매우 귀한 종이다.

노랑부리저어새와 저어새는 '주걱새'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부리가 주걱처럼 생겨서 붙여진 이름이다. 저어새라는 이름 역시 물을 휘휘 저으면서 다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부리에 감각이 있어 물고기 사냥에 능숙하다. 먹이가 부족한 겨울철 우포의 노랑부리저어새는 먹이를 잡기 위해 물을 쉴 새 없이 젓고 있었다.

큰고니는 찬바람을 마주하며 잠시 쉬고 있었다. 꼼짝하지 않는 큰고니의 얼굴을 확인하지 못한 채 잠자는 모습만 보고 돌아서야 했다. 큰고니 역시 국제자연보전연맹의 적색자료목록에 등재된 멸종위기종이다.

백조라고 불리기도 하는 큰고니는 140cm의 대형 조류다. 몸무게가 10kg 이상으로 날 수 있는 새 중에는 가장 '묵직한' 급에 속한다. 풀뿌리 등의 초식성 먹이를 먹는 큰고니는 우포에 자라는 연뿌리나 줄기 등을 먹이로 하고 있을 것이다.

천연기념물과 멸종위기종... 귀한 새들의 보금자리, 우포 

휴식과 깃털을 손질중인 노랑부리저어새의 모습우포에서 휴식중인 노랑부리저어새 ⓒ 이경호


이런 특별한 새들을 한 곳에서 목격할 수 있는 곳은 전국에 많지 않다. 서산이나 순천만 금강 등의 철새도래지에서나 볼 수 있는 귀한 새들이다. 이런 귀한 새들이 관찰된다는 것은 우포가 훌륭한 습지라는 것을 반증한다.

특별한 새가 하나 더 있다. 직접 볼 수는 없지만 매우 귀한 새가 우포에 있다. 바로 따오기(천연기념물 198호)다. 흰색의 빛깔이 여름철 회색으로 변하는 따오기는 미꾸라지 등을 먹고 사는 대형 조류다.

이런 식성 때문인지 1950년대까지는 우리나라 농경지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흔한 새였다. 때문에 쉽게 사냥의 대상이 되는 사냥새였다고 전해진다. 지나친 사냥과 농약, 도시화 등으로 인해 멸종의 길을 걸으면서 1979년 우리나라에서 확인된 것이 마지막이었다. 따오기는 우리나라에서는 멸종된 새다.

다행히 1981년 중국의 산시성에서 소규모 야생번식 집단이 확인되었고, 인공증식에 성공하면서 현재는 개체수가 늘어났다. 우리나라에서 멸종된 지 29년 만인 지난 2008년에 1쌍(양저우, 루팅)을 선물받았고, 인공증식에 성공하면서 57마리가 되었다고 한다.

"보일 듯이 보일 듯이 보이지 않는 따옥따옥 따옥 소리 처량한 소리" 동요 <따오기>의 노랫말은 우포에서 그대로 적용되었다. 따오기복원센터가 우포늪 내에 1만9810㎡ 면적으로 조성됐다. 우포늪 전망대에서 가끔 따오기 소리를 들을 수 있다고 한다. 지척에 있는 따오기복원센터에서 따오기를 볼 수는 없었다. 일반인에게 공개되지 않기 때문에 아쉬움을 달래야만 했다.

아직 인공증식의 안정성이 부족해 일반인 출입을 통제하고 있으며, 야생방생까지는 아직 시간이 필요한 듯 보인다. 언론 발표를 보면 현재 따오기복원센터에서는 57마리의 따오기를 사육 중이며, 2015년이면 100마리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1979년 멸종된 따오기, 내년 100마리 이상 복원 전망

잠자는 큰고니약간의 회색빛을 가지고 있는 큰고니가 어린새이다. ⓒ 이경호


창녕군에서는 2017년까지 100마리 정도로 증식시키고, 그 중 20~30마리를 우포늪에 방생할 계획이다. 안정적인 번식으로 인해 2015년 100마리 이상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좀 더 빠른 시기에 우포에서 따오기가 비행하는 모습을 볼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현재까지 중국과 일본, 한국이 따오기 인공증식에 성공했다. 멸종은 쉽게 시켰지만, 복원은 아직 갈 길이 멀다. 창녕군이 운영하는 따오기복원센터 2014년 예산은 5억6천만 원 정도다(센터 운영 2억7856만 원, 서식지 외 보전기관 지원 2억8400만1000원). 2014년 방사장 건립에 23억 원이 추가로 투입됐다.

멸종에는 돈이 들지 않았지만 한 종을 복원하기까지는 엄청난 비용이 들어가야 하는 것이 현실이다. 따오기가 지속적으로 증식되면 좀 더 많은 예산 지원이 필요한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 자연을 보전하여 종을 유지시키는 것이 이런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멸종의 마지막은 사람이 될 것이기 때문에 멸종은 간과할 수 없는 삶의 문제일 수밖에 없다.

다행히 번식에 성공하여 방생을 기다리는 따오기는 그나마 다행이다. 번식도 불가능한 멸종위기 생물들은 절멸의 날을 기다리고만 있는 것이 안타까울 뿐이다. 따오기가 대한민국 하늘을 자유롭게 비행하는 날이 오기를 기다려본다. 우포의 겨울을 지키는 노랑부리저어새, 큰고니와 함께 우포의 습지에서 먹이를 먹고 비행하는 그날이 오기를 희망해본다.

따오기의 모습나무에 앉은 따오기의 모습/우포 따오기복원센터 제공 ⓒ 창녕군 제공


덧붙이는 글 글쓴이는 대전환경운동연합 정책기획국장입니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