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전직 수녀님 "이젠 친정엄마로 살아갈래요"

안성 로사그룹홈 이미화 원장의 삶

등록|2015.06.17 17:15 수정|2015.06.17 17:15
지난 15일 지인의 소개로 찾은 로사그룹홈. 미리내성지 가까이에 있는, 장미가 유난히 많이 핀 마을이었다. 우연의 일치일까. '로사'란 가톨릭성녀의 이름이기도 하지만, 영어로는 'rose' 즉 '장미'란 뜻이다. 벌써 이름부터 왠지 그곳에 있어야할 운명처럼 느껴진다.

이미화원장로사그룹홈 마당에 서 있는 성모마리아상 옆에서 환하게 웃고 있는 이미화원장에게서 성모의 마음과 친정엄마의 마음은 어딘지 모르게 닮았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 송상호


"가슴으로 낳은 큰아이가 명함그림도 그려줘"

"어서오세요"라고 말하는 원장 이미화씨에게서 왠지 모를 수줍음과 단아함이 묻어난다. 그룹홈 원장 정도(?)라면 털털함이 많을 수도 있다는 생각은 싹 달아났다.

"이 집은 이제 막 시작했다. 아이들은 셋(중3, 중2, 초3)이고, 앞으로도 더 올 예정"이라며 조곤조곤 이야기하는 미화씨. 아하! 그랬구나. 이제 시작이었구나.

"우리 집 큰 아이가 그려준 것"이라며 건네주는 명함 속 그림이 예쁘다. 이때만 해도 '우리 집 큰아이'는 미화씨의 친자녀인 줄 알았다. 적어도 그룹홈 자녀와 구분되는 친자녀 말이다.

내가 왜 그런 느낌을 가졌을까. 그건 미화씨의 너무나 자연스러운 '우리 집 큰아이'라는 말투 때문이었던 게다. 평소 함께 사는 아이들에게 어떤 마음으로 대하는지 이 대목에서도 읽을 수 있었다.

그 '큰아이'는 전에 서울 복지시설에 있으면서 미화씨가 가슴으로 낳은 아이였고, 지금은 천안 백석대학에 진학해 기숙사생활을 하며 대학을 잘 다니고 있는 숙녀였다. "지금도 그 아이는 나랑 연락하며 여기를 제집처럼 들른다"고 했다.

▲ 로사그룹홈 전경 정원에 성모마리아상이 서 있다. 이집도 어느 독지가가 임대해서 이미화원장에게 선물한 것이다. ⓒ 송상호


"제가 수녀원에 있을 때..."

그녀가 "제가 수녀원에 있을 때..."라고 말문을 연 뒤 놀란 건 나였다. 혹시 실수할까봐 "네, 수녀원이라시면 수녀님?"이라고 되물었다. 그랬다. 미화씨는 7년 전만 해도 '글라라수녀'로 살았었다.

그랬던 그녀가 무슨 일로 속세로 나왔을까. "다양한 이유가 있지만, 이 일을 하고 싶은 게 큰 이유"라고 고백했다. 이일? 그렇다. 바로 그룹홈을 열어 아이들의 엄마가 되어주는 일  말이다.

수녀원에 있으면서 복지시설에 있는 아이들과 만나며 그 아이들의 영혼을 그녀는 보았다. '저렇게 좋은 시설에다가 잘해줘도 아이들에게 뭔가 모를 큰 구멍이 있구나.'

그때부터 그녀는 "그 구멍을 다 메워주지는 못해도, 나라도 조그맣게 그 아이들의 구멍마개가 되어주자"고 맘먹었다. 그 구멍이란 바로 '부모로부터 버림받았다는 느낌'이라고 그녀가 덧붙였다. 그 아이들 중 "'못난 부모, 못된 부모라도 좋으니 한 번 만나고 싶다'는 말을 하면 마음이 아팠다"며 그 시절을 회상했다.  

명함을 보니이 명함 뒷면에 그려진 그림과 글은 이미화원장이 가슴으로 낳은, 현재 대학기숙사에서 생활하는 '큰아이'가 그린 것이다. 앞으로도 이집에서 많은 아이들이 이 큰아이처럼 친정엄마을 만나게 될 것이다. ⓒ 송상호


왜 하필 여자아이들의 엄마가 되려했을까

이쯤하고 왜 하필 여자아이들일까?(참고로 현행 청소년 그룹홈은 최대 7명까지 여아는 여아끼리만, 남아는 남아끼리만 모여 살게 되어 있다). 그에 대한 답은 가히 신선한 충격이었다.

"여자 아이들이 커서 시집을 가고 아이를 낳으면 친정엄마가 무엇보다 그립다. 난 이 아이들에게 여기 있을 때도 엄마로서 살겠지만, 퇴소 후(취업연령이 되면 퇴소해야 한다)에도 계속 친정엄마가 되어주고 싶다."

순간, 그 말을 하는 그녀 뒤로 성모마리아상(거실 창 밖에 보이는 정원에 세워진)이 눈에 들어오는 건 무슨 이유였을까.

이런 말을 나누고 있는 데, 현재 이집의 맏언니로 보이는 여중생이 인사를 하며 학교에서 돌아왔다. 인사를 하고 제 방으로 들어가는 그 아이는 이런 엄마의 마음을 알까. 아직은 서로 처음이라 '덜 익은 정, 어색한 마음'이 서로에게 있지만, 앞으로 살아가면서 그 아이가 받을 친정엄마의 사랑이 눈에 그려지는 건 좀 전에 내가 받은 신선한 충격 때문이지 싶다.

버티고 있는 이집이 넉넉한 집이 되기를

이런 이 집에도 "최고 어려움은 역시 돈"이라면서 미화씨가 웃으며 말했다. 이 집도 어느 독지가가 그룹홈하는 데 사용하라고 임대해서 그녀에게 선물한 것이다. 올해 시작한 터라 정부로부터 한 푼의 지원도 없이 버티고 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미화씨를 언니라 부르며 아무런 월급도 받지 못한 채 이 뜻을 함께 하고 있는 '이모(이집에선 아이들은 복지사를 그렇게 부른다)'가 있어 함께 버티고 있다는 것. 말 그대로 '지금은 버티고 있다는 것'이 앞으로 이 집이 해결해야할 숙제다.

"그래도 걱정하지 않는다. 이집을 시작할 때도 내 힘으로 한 게 아니었고, 지금도 마찬가지다. 하느님께서 이때까지 하셨던 것처럼 인도해주실 것"이라는 그녀를 보며 잠시 잊었던 사실이 떠올랐다. 하느님의 딸 수녀였었다는 사실 말이다.

이미화원장아무리 평상복을 입고 있어도 왠지 모르게 그녀에게선 수녀복이 훨씬 어울릴 것 같은 느낌, 그것이 바로 운명라 말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 송상호


"앞으로도 어떤 아이가 더 올지 기대가 된다"는 말이 마치 소녀가 "내일 가는 학교소풍이 기대돼요"라 말하는 듯하다. 왜 그렇지 않겠는가. 오고 오는 모든 아이들의 친정엄마가 될 생각이라면 말이다.

"로사성녀는 불가능을 믿음으로 가능케 해주는 가톨릭성녀이고, 지금은 힘들게 시작하지만, 해낼 거라는 믿음으로 '로사 그룹홈'이라 이름 지었다"는 그녀에게서 자녀를 살리는 일이라면 슈퍼우먼이 되는 대한민국 '친정엄마'를 본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