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박 대통령 지지율, '남북대치 = 반등' 안 통했다

42.2%, 리얼미터 "수도권·40대 이하에서 이탈"

등록|2016.02.15 14:39 수정|2016.02.15 14:39

▲ 박근혜 대통령이 7일 오전 북한이 장거리 로켓(미사일) 발사와 관련, 청와대에서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주재하고 "안보리서 하루속히 강력한 제재 조치 만들어야 한다"고 발언하고 있다. ⓒ 연합뉴스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율이 남북대치 상황 속에서도 하락세를 유지했다. 남북 대치상황만 벌어지면 박 대통령의 지지율이 반등해온 추세를 감안하면 이례적이다.

15일 발표된 여론조사 업체 '리얼미터'의 2월 2주 차 정례 조사에서, 박 대통령의 지지율은 전주 대비 0.7%p 하락한 42.2%(매우 잘함 14.0%, 잘하는 편 28.2%)를 기록했다. 2주 연속 하락하면서 40%대 초중반에 머무른 셈이다. 반면, '국정수행을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는 0.5%p 상승한 51%(매우 잘못함 33.2%, 잘못하는 편 17.8%)로 3주 연속 상승했다.

주된 이유는 개성공단 중단사태로 보인다. '리얼미터'의 일간 조사결과를 보면, 박 대통령의 지지율은 정부의 개성공단 가동중단 조치에 대한 북한의 자산동결 맞대응 소식이 알려진 11일 지난 주 주간집계 대비 1.7%p 하락한 41.2%를 기록했다.

"개성공단 임금이 대량살상무기 개발에 전용됐다"는 홍용표 통일부 장관의 발언이 있었던 12일 43.2%로 반등했지만 최종 주간집계 결과는 전주 대비 0.7%p 하락한 42.2%로 마감됐다.(10~12일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1515명 대상, 전화면접·자동응답 방식 병행,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2.5%p, 그 밖의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공정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이와 관련, '리얼미터'는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장거리 로켓 발사로 촉발돼 설 연휴와 이후 벌어졌던 남북의 초강경 맞대응과 파국사태로 인해 충청권·50대 이상·중도층에서는 지지층이 결집했으나, 수도권과 부산·경남권, 40대 이하, 진보·보수층에서는 지지층이 이탈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분석했다.

부실인사논란·성추행·메르스 땐 남북대치 국면 맞아 지지율 반등

이는 통상 남북대치 등 안보위기 상황 땐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이 상승해온 추세를 감안할 때 이례적인 결과다. 이 때문에 16일 예정된 박 대통령의 '국민단합' 국회 연설이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지도 주목된다. 실제로 박 대통령은 여러 차례 남북대치 상황을 겪으면서 하락하던 지지율을 방어한 바 있다.

2013년 3월 4주 차 정례조사(아래 모두 리얼미터 조사) 당시 부실 인사검증 논란으로 45.0%까지 지지율이 하락했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박 대통령의 지지율은 남북 대치 상황이 고조되면서 반등했다. 당시 '리얼미터'는 4월 2주 차 정례조사에서 "박 대통령의 지지율이 전주 대비 1.9%p 상승한 47.2%로 나타났다"라며 "북한의 군사위협으로 한반도 위기가 고조되는 가운데, 박 대통령이 북한과의 대화 의지를 피력하면서 지지율이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풀이했다.

북한의 DMZ 목함지뢰 도발 때도 박 대통령의 지지율은 상승했다. 당시 메르스 사태로 크게 하락했던 박 대통령의 지지율은 2015년 8월 3주 차 정례조사에서 약 3개월 만에 처음으로 40%대를 회복했다. 이 같은 상승세는 '8.25 남북합의'를 거치면서 최고조에 달했다. 박 대통령의 지지율은 당시 8월 4주 차 정례조사에서 49.2%를 기록하며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지지율을 기록했다.

2016년 1월 북한의 4차 핵실험 때도 마찬가지다. 위안부 합의 역풍을 맞고 있던 박 대통령의 지지율은 북한의 4차 핵실험으로 인해 지지층이 결집하면서 5주 만에 반등에 성공했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