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전공은 간호학, 식품영양학인데 작가로 떴다

정유정, 장은진, 히가시노게이코, 요시다 슈이치 작가의 이색 전공

등록|2016.03.07 15:06 수정|2016.03.07 15:06
작가가 되고 싶다면 어떤 전공을 택해야 할까? 당연히 국문학과나 문예창작과를 꼽을 것이다. 하지만 다양한 이유로 이런 전공으로 직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글을 써 밥을 벌어먹고 사는 게 얼마나 힘든 세상인가. 국어교사나 기자가 될 꿈이 아니라면 해당 학과에 들어가는 건 사실 대단한 용기가 필요한 일이 되어버렸다.

이런 세태 속에서도 뚝심 있게 관련 학과에 들어가 20대 초반부터 글쓰기에 전념한다면 작가로서의 자질을 남보다 일찍 갖출 수 있다는 점에서 좋은 일이다. 하지만 그렇지 않더라도 절망할 필요는 없다. 상당히 많은 유명 작가들이 이색적인 전공과 이색적인 직업 출신이기 때문이다.

▲ ⓒ 은행나무

근래 드물게 출간 1개월 만에 10만부를 돌파한 <28>의 정유정 작가는 간호학을 전공했다. <28>은 인수 공동 전염병에 대한 내용으로 작가 자신의 전공과 무관하지 않은 발상이라 생각된다. 또한 그녀가 <7년의 밤>을 통해 보여준 재난에 대한 이야기 역시 간호학이란 전공이 내용을 깊이 있게 다루는데 도움이 됐을 거라 본다.

그녀의 소설은 영화 한 편을 보는 듯 쉽게 넘어가는 페이지와 손을 놓을 수 없게 만드는 흡입력으로 대중의 마음을 관통했다. 종이로 된 소설책이 상당히 그 판매가 어려워진 이 시기에 그야말로 대박을 터뜨렸다.

그리고 <아무도 편지하지 않다>의 작가 장은진의 전공은 지리학이다. 그녀는 <그녀의 집은 어디인가>, <빈 집을 두드리다>, <앨리스의 생활방식> 등의 작품을 통해 외로움에 대한 독특한 성찰로 꾸준히 사랑 받아오고 있다.

꼭 그녀의 전공과 꼭 관련이 있다고 하기엔 억지스러운 면이 있으나 소설의 처음부터 끝까지 이 곳 저 곳 쉼 없이 걷기만 하는 <아무도 편지하지 않다> 속 남자 주인공의 이야기도 작가의 전공과 전혀 무관한 발상은 아닐 거라 추측한다.

최근 우리나라 국민이 사랑하는 작가 3위에 랭크 된 일본 작가 히가시노 게이코는 전기공학을 전공한 엔지니어 출신이다. 개인적으로 느낀 그의 매력은 <유성의 인연> <빨간 손가락> 등 다양한 미스터리 작품에서 보이는 비극적 황량함 속 힘겹게 피어나는 휴머니즘이다. 그의 작품 속 비극의 황량함은 그 어떤 다른 작품보다 상당히 리얼한 언어로 다가오는데 그 이유는 엔지니어로서 그의 경력과 무관하지 않다.

특히 도플갱어를 다룬 <레몬>과 스포츠의학의 폐해를 다룬 <아름다운 흉기>, 로봇에게 심장을 불어넣는다는 설정의 살인릴레이를 다룬 <브루투스의 심장> 등의 독특한 소재와 깊이 있는 내용의 구성은 그의 이색적인 경험을 고스란히 담아낸 작품으로 독자들에게 새로운 충격과 재미를 동시에 안겨주었다. 또한 <동경만경> <일요일들> <랜드마크>로 사랑에 대한 현실적이고 냉철한 시선을 보여준 요시다 슈이치의 전공 또한 이색적인 경영학이었다.

순문학 외 다른 분야를 살펴보자면, 최근 인기 웹소설 <허니허니웨딩>의 노승아 작가는 웨딩사진 작가로서의 경력을 갖고 있다. 매일 결혼하는 커플들을 사진으로 찍으면서 연애와 결혼에 대해 남다르게 많은 생각을 해 볼 수 있었던 건 당연한 일일 터. 그 직업 현장 속 매일의 일상이 그 소설 속에 많이 녹아있지 않을까 싶다.

▲ <식샤를 합시다>의 한 장면. ⓒ tvn


마지막으로 드라마 <식샤를 합시다>의 임수미 작가의 전공은 식품영양학과이다. 드라마 속 인물들의 한 끼 식사에 대한 거룩하리만치 열성적이었던 찬양이 어디서 나왔다 싶었는데 이유가 어느 정도 그녀의 전공에 기인했을 거라고 본다.

글 작가가 되고 싶은 당신, 지금 어디에서 무엇을 하고 있는가? 그것이 무엇이든 하루하루 열심히 매진하길 바란다. 당신의 그 하루가, 당장 글을 쓸 수 없어 마음 졸이지만 최선을 다하는 그 하루가 쌓여 어느 날 당신의 글 속에 펼쳐질 날이 올 것이다.

시작이 늦은 건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그 시작에서 어떤 속력으로 달릴 수 있는지는 상담부분 당신의 오늘이 결정하는 것이니. 글쓰기를 연마하며 살지 못한다면 좀 살고 나서 연마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열심한 오늘의 하루가 작가가 되고 싶은 당신의 꿈을 현실로 일궈낼 것을 믿으며 조급하지 않은 마음으로 기다리기 바란다. 그래도 된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