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바닷가 마을 '조금새끼'를 아시나요?

[시인 읽기] 임호상 시집 <조금새끼로 운다>

등록|2016.06.29 15:25 수정|2016.06.29 15:25

▲ 임호상 시집 <조금새끼로 운다>. '조금새끼'가 무슨 말일까, 했습니다. ⓒ 임현철


이런 시(詩) 처음입니다. 아버지, "얼마나 밑이 그리웠을까?" 부부 섹스를 밝히다니. 것도 아버지와 어머니의 섹스 준비 상황까지 그리다니. 부부, 사랑 나눌 테니 조용하라고 직접 경고하다니. 불합리한 유년의 기억. 남이 낳은 새끼도 남편 핏줄이라고? 자기는 그렇게 태어났다는 누이. 여인이었던 어머니를 이해하는 누이...

임호상 시집 <조금새끼로 운다(문학의 전당)>를 펼쳤습니다. 가슴 먹먹했습니다. 그동안 섬에 다니는 이유는 '징허디, 징헌' 우리네 삶 속으로 쑥 들어가기 위함이었지요. 그런데, 다소 긴 산문 형식의 임호상의 시 '조금새끼로 운다'에 섬사람들의 가슴 아린 삶이 고스란히 녹아 있었습니다. 임호상의 시는 꾸깃꾸깃 꼬불쳐뒀던 두 가지 유년의 기억을 끄집어냈습니다.

# 1. 스물 언저리 그는 배 안의 요리사였습니다

▲ 집에 살았던 형은 중선배 화장, 배 안의 요리사였습니다. 갈치조림을 잘 냈던 기억... ⓒ 임현철


"방 내줬으니 내일부터 엄마랑 같이 지내야 한다."

유년의 기억, 여수 돌산. 먹을 게 부족했던 시절. 어머니는 하루 전에 통보했습니다. 지금 같으면 미치고 팔딱 뛸 일. 당시엔 '그런가 보다'였지요. 집이 부족해 방만 있으면 세 줬던 시절이었으니. 제 방을 차지했던 사람은 뱃사람이었습니다. 그는 '중선 배' 선원이었습니다. 스물 언저리 총각이었던 그는 화장, 배 안의 요리사였습니다.

그가 집에 있는 날은 드물었습니다. 그가 집에 있는 날이면 수북한 하얀 쌀밥, 갈치, 과자 등을 먹을 수 있었습니다. 그가 건넨 덕분이었지요. 그건 뱃사람들이 보름 여 동안 바다 위에서 먹을 식량 등을 준비하는 '시꼬미'였습니다. 먹을 것에 넘어 갔을까. 형 하고 따랐습니다. 그는 고주망태 상황에서도 언제나 웃음을 잃지 않았습니다.

그와 같이 산 세월은 4년 남짓. 이후 어머니를 통해 소식을 종종 들었습니다. 그는 쫑포(여수시 종화동)에 산다 했습니다. 대학시절, 방학 때 집에 내려왔다가 술집서 우연히 그를 만났지요. 고주망태 상황에서 그의 집으로 갔던 기억... 훗날, 그가 집에 들어오는 날이 '조금'이란 걸 알았지요. 결국, 그가 바다에서 죽었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 2. '호로새끼' 애비 없는 새끼, 보리밥과 불문율

▲ 동네엔 아버지 없는 집이 있었습니다. 배 타고 바다에 나갔으나 돌아오지 않았습니다. 그 아이들은 '호로새끼'였습니다. 그러나 쉬쉬했습니다. ⓒ 임현철


"쌀 좀 갖다 주고 와라."

어머니는 한사코 심부름 시켰습니다. "이번에는 왜 쌀 빌려 달라 안 하지?" 궁금해 하며. 그냥 싫었습니다. 당시엔 왜 가야 하는지, 이유를 몰랐습니다. 갖다 주면서 괜히 우쭐했습니다. 훗날, 이게 어머니가 사람 챙기며 '더불어, 함께' 사는 삶의 방식이라 걸 알았습니다. 존경의 어머니였습니다.

동네에 아버지 없는 집이 네 집 있었습니다. 어머니는 그중 한 집을 지목했습니다. 가장 형편이 어려운 집이었습니다. 다른 집은 자식 넷. 이 집은 다섯이었습니다. 그들 어머니는 발품으로 화장품을 팔았습니다. 그렇지만 먹고 살기 쉽지 않았습니다. 그 집은 늘 보리밥이었습니다. 지금은 구수한 보리밥이건만...

당연히 집에는 아버지와 어머니가 있어야 한다고 여겼습니다. 왜? 그들 집에는 아버지가 없는지 의아했습니다. 그들이 싫어하는 말이 있었지요. '호로 새끼'. 애비 없는 새끼란 뜻이었습니다. 그들은 형편이 어려운데도 자식들을 죽어라 가르쳤습니다. 강한 생활력이었습니다. 직업 선택에 불문율이 따랐습니다.

"너희들은 배타지 마라 해라."

임호상 시인의 서사시 '조금새끼로 운다' 전문

▲ 임호상 시인입니다. ⓒ 임현철


             조금새끼로 운다
                                                           임호상

 중선 배 타고 나간 아버지는 한 달에 두 번 조금이 되어서야 돌아왔다. 초여드레, 스무이틀 간만의 차가 없는 조금이면 바다로 나갔던 아버지들 돌아오는 날. 조금이 되면 어머니 마음도 분주하다. 뜸을 들이는 무쇠솥처럼 이미 뜨거워져 있다. 바다에서 몇 바지게씩 고기를 져다 나르는 날이면 앞마당에 호야불 켠다. 당신의 마당에도 불이 켜진다. 보름을 바다에 있다 보면 얼마나 뭍이 그리웠을까, 얼마나 밑이 그리웠을까. 어머니 마음도 만선이다. 뜨거워진 당신은 선착장 계선주에 이미 밧줄을 단단히 동여맸다. 아버지도 그랬지만 선착장에서 하염없이 기다리던 어머니도 그랬다. 조금이 돼야 뜨거워질 수 있었던 그때, 갯내음으로 태어난 우리들은 조금새끼

  서방 들어오는 날 속옷을 널어 방해하지 말라는 수줍은 경고가 마당에서 춤을 춘다. 어머니의 빨랫줄에 속옷과 함께 널린 고등어 세 마리, 누구 것인지 알 사람 다 안다. 호루라기 불면 들어오라 했는데 어머니의 호루라기는 한참이 지나도 들리지 않고 오도 가도 못한 조금새끼들은 정박한 배처럼 문밖에서 하염없이 기다린다. 어머니는 보름을 기다려 하루를 살지만 조금새끼는 한 달에 두 번 문밖에서 하루를 산다. 바다에 나가 영영 돌아오지 않는 아버지도 홀로 남는 어머니도 참 많았다. 아버지 한 분에 어머니 둘, 조금새끼 십 남매 그때는 다 그랬다. 한 그물 속에서 그렇게 섞여 살았다고 누이는 막걸리초에 지나온 세월을 버무린다.

  어쩌면 남편을 바다로 보내는 어머니는 모두 다 작은 각시 아닌가. 바다는 아버지를 데려다가 보름이 되어서야 돌려보내곤 했는데 언제부턴가 청상과부 작은어머니가 아버지를 차지하고 어머니는 살을 대지도 못했다. 한 달에 이틀뿐인데 그 이틀도 어머니는 멍청이 세월로 살았다. 조금이 돼도 돌아오지 않으면 어머니의 바다에는 소리 내지 못하는 파도가 쳤다.

  남의 뱃속에서 낳은 새끼도 남편 핏줄이라고 내색 못해 큰어머니가 엄마가 되는 먹먹한 유년을 살았다. 두 분 다 이해할 수 없는 삶을, 낡은 풍경처럼 서로를 인정해주며 그렇게 섞여 살았다. 아침에 우는 새는 배가 고파 울구요 저녁에 우는 새는 님이 그리워 운다며 조금을 기다리던 어머니의 육자백이, 먼 바다를 향해 청솔개비 두드리던 그 노래를 들으며 우리는 막걸리초처럼 속으로 삭히며 핏줄이 되었다. 오랜 기다림을 절여 아버지의 입맛을 달래는, 아버지의 하루를 훔치는 어머니의 막걸리초가 되었다.

  어머니의 바다는 속 깊은 먼 바다, 겉으로 파도가 쳐도 깊은 속을 다 알 수가 없다. 날이 새면 어김없이 바다로 가는 아버지를 묶어놓지 못해 뜬눈으로 밤을 샌다. 눈을 뜨지도 감지도 못하고 밤새 하현달로 떠 있는 밤, 이번 조금 아버지 돌아오시면 당신의 아랫목 오래도록 따뜻할 수 있을까. 평생 바다를 보고 살아온 아버지도 어머니도 40년 배를 탔다던 정씨 아저씨도 바다가 무섭다는 말에 술잔에서 파도가 쳤다.

  문밖에서 아버지를 기다리는 파도 소리 자꾸만 자꾸만 어머니의 가슴을 쳤다.

뭍에서 욕정의 밤에 나눈 사랑의 씨앗 '조금새끼'

▲ 바다에 이정표가 있으나 태풍이 몰아칠 땐 무용지물입니다. ⓒ 임현철


'조금새끼', 뭔가 했습니다. '조금(潮―)'은 조수 간만의 차가 없는, 바닷물이 가장 낮은 때를 말합니다. 매달 음력 초여드레와 스무 사흘이 해당됩니다. 바닷가에 사는 사람은 알지요. '조금'은 고기가 잘 잡히지 않아 어부들에겐 꿀 같은 휴식기라는 걸. 이 때 뱃사람들은 바다에서 못한 것을 뭍에서 푸는 욕정의 밤을 맞이합니다.

모든 원인은 '바다'였습니다. 떠나는 아버지를 부여잡지 못한 아쉬움이 가득한 바다. 남편을 잡아먹은 바다. 어머니를 청상과부로 만든 바다. 덕분에 배다른 새끼까지 거둬야 하는 삶의 바다. 어머니에게 바다는 원한 가득한 기다림의 바다였습니다. 그렇지만 또 다른 생명을 잉태한 생명의 바다이기도 했습니다. 임호상 시인에게 시 '조금새끼로 운다'를 어떻게 썼는지 물었습니다.

"다들 직접 경험한 걸로 아는데, 그게 아닙니다. 우연히 들은 이야기를 시로 옮긴 것입니다. 이야기를 들었을 때 전율을 느꼈습니다. 이야기를 듣고, 듣고 또 들었습니다. 그렇게 썼습니다."

시집 <조금새끼로 운다>는 가슴을 후벼 팠습니다. 시를 읽는 내내, 영상이 파노라마처럼 떠올랐습니다. 이밖에도 '실직', '징함네', '야근', '그냥', '분만 대기실에서', '오동도', '목욕탕에서', '똥빨', '세월', '모기', '여수의 노래', '섬', '당신' 등 개념 있고, 지역사랑 이 깃든 주옥같은 시가 많았습니다. 그런데도 임호상 시인 "마지막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창작에 대한 강한 의지를 불살랐습니다. 꿈, 모든 이룸의 시작입니다!
덧붙이는 글 제 SNS에도 올릴 예정입니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