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정수장 발암물질, 4대강사업 뒤 '급증'
최인호 의원 "기준치 이하이지만 높아"... 하굿둑 수문 개방 등 촉구
부산 수돗물 내 총트리할로메탄(THM, 발암물질)의 수치가 2011년 이후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국회 국토교통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최인호 의원(부산 사하갑)이 "전국 식수원 중 700만 부산·경남시민들에게 먹는 물을 공급하는 낙동강수계의 수질이 최악"이라고 밝혔다.
최근 1년간 각 수계별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현황을 보면, 낙동강 물금취수장은 2011년 1.5ppm까지 낮아졌지만, 이후 다시 높아져 지난해에는 평균 2.2ppm를 나타났고, 올해에는 더욱 높아졌다.
최 의원은 "낙동강 물금취수장의 수질이 나쁘기 때문에 정수한 부산 수돗물은 팔당댐에서 정수한 서울 수돗물에 비해 거의 대부분의 수질항목 수치가 나쁘게 나온다"고 밝혔다. 서울 수돗물보다 부산 수돗물의 수질이 더 나쁘다는 것.
그는 "녹조가 번성할수록 정수 과정에서 약품 사용량이 증가하고 염소 소독량을 더 많이 투입하기 때문에, 모든 수질항목이 기준치 이내라고 해도 물맛이 안 좋고 염소 소독내, 물비린내가 난다"면서 "국민들의 수돗물에 대한 불신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최 의원은 "특히 녹조가 심해지면서 정수과정에서 투입하는 염소 양이 늘어나면서 부산물로 생기는 발암물질 총트리할로메탄 농도도 높아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녹조현상 등 남조류 등으로 서울 팔당댐 물보다 낙동강 물금취수장 수질(원수)이 안 좋아 정수된 수돗물도 상대적으로 수질이 나쁘다는 것. 총트리할로메탄과 유리잔류염소, 브로모디클로로메탄 등 수질 항목 11개 중 과망간산칼륨소비량을 제외한 10개에서 부산이 서울보다 더 높다.
약품 사용도 늘어나고 있다. 최 의원은 "낙동강 취수원인 원수에 녹조가 번성할수록 약품사용량이 증대하고, 염소 소독량을 더 많이 투입하기 때문에 수돗물의 THM 농도가 높아진다. 이명박정부 때 추진한 4대강 사업 이후 1.4배 이상 높아졌다"며 "부산 수돗물은 발암물질인 THM 농도가 다른 지역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게다가 2011년 이후 크게 증가하였다"고 했다.
THM(기준치 0.1㎎/ℓ 이하)은 덕산-화명정수장의 경우(평균) 2011년 0.023-0.022, 2012년 0.032-0.032, 2013년 0.035-0.034, 2014년 0.037-0.037, 2015년 0.037-0.034㎎/ℓ다. 그런데 덕산·화명정수장의 6~9월 평균 농도는 2008년 0.035에서 2015년 0.050㎎/ℓ로 껑충 뛰었다.
최 의원은 "환경부는 검출된 발암물질 수치가 기준치 이하여서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지만, 전문가들은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불확실한 만큼 농도가 높아지는 현상은 문제가 있고 대책이 시급하다'고 한다"며 "이명박정부의 잘못된 녹색성장인 4대강 사업 추진으로 온 강을 '녹조라떼'를 만들어 결국 강을 죽이고 있고 이제는 국민의 안전을 크게 위협하고 있다"고 일갈했다.
"낙동강 하굿둑 개방, 강 살리기 첫걸음"
한편 최인호 의원은 낙동강 하굿둑 개방을 요구했다. 최 의원에 따르면, 현재 낙동강 하굿둑 기수역 복원을 통한 강살리기를 위해 하굿둑 개방을 통한 해수유통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2013년부터 환경부 주관으로 용역을 수행했다.
최 의원은 "환경부의 낙동강하구 생태계 복원 타당성을 연구한 2차 용역 결과는, 하굿둑 수문 부분 개방을 통하여 하굿둑 상류 10km까지는 기수역 복원이 가능할 것으로 제시했다"면서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실제 하굿둑 수문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마련하고 예측되는 문제점들에 대한 대비책을 강구하는 등 추가적인 용역이 필요할 것으로 결론지었다"고 했다.
최 의원은 "낙동강 하굿둑 개방을 위한 3차 용역 시행 요구에 대하여 국토부는 한결같이 하굿둑 부분개방으로 기수역이 확대되면 염분피해가 우려된다고 이야기하는데, 현재의 염분측정시스템과 환경부 용역자료 등을 참조해서 3차 용역을 통하여 검증한 후 하굿둑 부분 개방은 이루어져야 한다"고 했다.
그는 "유럽과 일본, 미국에서는 일부 하천 구조물을 해체하거나 해수를 유통시키는 재자연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며 "가까운 일본 나고야시의 나가라강 하굿둑도 1997년 완공과 동시에 하굿둑 상하류 5km 지점에 수질과 염분 자동감시장치를 설치하여 매년 은어의 회류 이동 개체를 확인하거나, 취수량을 조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30일 국회 국토교통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최인호 의원(부산 사하갑)이 "전국 식수원 중 700만 부산·경남시민들에게 먹는 물을 공급하는 낙동강수계의 수질이 최악"이라고 밝혔다.
최근 1년간 각 수계별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현황을 보면, 낙동강 물금취수장은 2011년 1.5ppm까지 낮아졌지만, 이후 다시 높아져 지난해에는 평균 2.2ppm를 나타났고, 올해에는 더욱 높아졌다.
최 의원은 "낙동강 물금취수장의 수질이 나쁘기 때문에 정수한 부산 수돗물은 팔당댐에서 정수한 서울 수돗물에 비해 거의 대부분의 수질항목 수치가 나쁘게 나온다"고 밝혔다. 서울 수돗물보다 부산 수돗물의 수질이 더 나쁘다는 것.
그는 "녹조가 번성할수록 정수 과정에서 약품 사용량이 증가하고 염소 소독량을 더 많이 투입하기 때문에, 모든 수질항목이 기준치 이내라고 해도 물맛이 안 좋고 염소 소독내, 물비린내가 난다"면서 "국민들의 수돗물에 대한 불신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최 의원은 "특히 녹조가 심해지면서 정수과정에서 투입하는 염소 양이 늘어나면서 부산물로 생기는 발암물질 총트리할로메탄 농도도 높아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 2016년 8월 20일 낙동강 녹조. ⓒ 윤성효
녹조현상 등 남조류 등으로 서울 팔당댐 물보다 낙동강 물금취수장 수질(원수)이 안 좋아 정수된 수돗물도 상대적으로 수질이 나쁘다는 것. 총트리할로메탄과 유리잔류염소, 브로모디클로로메탄 등 수질 항목 11개 중 과망간산칼륨소비량을 제외한 10개에서 부산이 서울보다 더 높다.
약품 사용도 늘어나고 있다. 최 의원은 "낙동강 취수원인 원수에 녹조가 번성할수록 약품사용량이 증대하고, 염소 소독량을 더 많이 투입하기 때문에 수돗물의 THM 농도가 높아진다. 이명박정부 때 추진한 4대강 사업 이후 1.4배 이상 높아졌다"며 "부산 수돗물은 발암물질인 THM 농도가 다른 지역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게다가 2011년 이후 크게 증가하였다"고 했다.
THM(기준치 0.1㎎/ℓ 이하)은 덕산-화명정수장의 경우(평균) 2011년 0.023-0.022, 2012년 0.032-0.032, 2013년 0.035-0.034, 2014년 0.037-0.037, 2015년 0.037-0.034㎎/ℓ다. 그런데 덕산·화명정수장의 6~9월 평균 농도는 2008년 0.035에서 2015년 0.050㎎/ℓ로 껑충 뛰었다.
최 의원은 "환경부는 검출된 발암물질 수치가 기준치 이하여서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지만, 전문가들은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불확실한 만큼 농도가 높아지는 현상은 문제가 있고 대책이 시급하다'고 한다"며 "이명박정부의 잘못된 녹색성장인 4대강 사업 추진으로 온 강을 '녹조라떼'를 만들어 결국 강을 죽이고 있고 이제는 국민의 안전을 크게 위협하고 있다"고 일갈했다.
"낙동강 하굿둑 개방, 강 살리기 첫걸음"
한편 최인호 의원은 낙동강 하굿둑 개방을 요구했다. 최 의원에 따르면, 현재 낙동강 하굿둑 기수역 복원을 통한 강살리기를 위해 하굿둑 개방을 통한 해수유통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2013년부터 환경부 주관으로 용역을 수행했다.
최 의원은 "환경부의 낙동강하구 생태계 복원 타당성을 연구한 2차 용역 결과는, 하굿둑 수문 부분 개방을 통하여 하굿둑 상류 10km까지는 기수역 복원이 가능할 것으로 제시했다"면서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실제 하굿둑 수문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마련하고 예측되는 문제점들에 대한 대비책을 강구하는 등 추가적인 용역이 필요할 것으로 결론지었다"고 했다.
최 의원은 "낙동강 하굿둑 개방을 위한 3차 용역 시행 요구에 대하여 국토부는 한결같이 하굿둑 부분개방으로 기수역이 확대되면 염분피해가 우려된다고 이야기하는데, 현재의 염분측정시스템과 환경부 용역자료 등을 참조해서 3차 용역을 통하여 검증한 후 하굿둑 부분 개방은 이루어져야 한다"고 했다.
그는 "유럽과 일본, 미국에서는 일부 하천 구조물을 해체하거나 해수를 유통시키는 재자연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며 "가까운 일본 나고야시의 나가라강 하굿둑도 1997년 완공과 동시에 하굿둑 상하류 5km 지점에 수질과 염분 자동감시장치를 설치하여 매년 은어의 회류 이동 개체를 확인하거나, 취수량을 조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