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탄불은 유럽인가, 아시아인가? 모든 순간이 이처럼 극적인 여행지가 또 있을까! 이스탄불은 한강 너비의 해협을 두고 유럽과 아시아로 갈리는 대륙의 시작이자 끝이다. 유럽의 그리스 정교와 소아시아의 이슬람교, 두 종교가 한 사원 안에 머물며 서로 다른 둘을 하나로 합쳐 놓는다. 인류 문명의 역사와 함께 한 이스탄불은 경계 위에 서 있다. 여행자들은 시내버스와 페리를 타고 하루에도 몇 번씩 유럽과 아시아를 경험하는 사이 이 도시의 정체성이 궁금해진다. 너희는 유럽이냐, 아시아냐?
누구의 것도 아닌 곳, 이스탄불
우리는 이 도시에 도착하는 순간부터 '이스탄불은 어느 대륙에 속하느냐?'로 작은 실랑이를 벌였다. 우리가 어떻게 분류하느냐에 따라 피파FIFA가 다음 월드컵부터 터키를 아시아로 조 편성할 리 없고, 유럽연합이 당장 회원국으로 받아 줄 리도 없는데 우리는 꽤나 진지했다. 하지만 이렇게 싸우는 사이 중요한 사실을 간과하고 있었는데 이스탄불에서 이 논쟁은 아무 의미가 없다.
터키 안에서 이스탄불은 별종이고 갈라파고스처럼 독특한 문화를 가진 도시이다. 이스탄불이 어느 대륙에 속하느냐는 질문에 터키인 친구는 '이스탄불은 그 어디도 아닌 이스탄불일 뿐'이라고 답했다. 그의 말처럼 이스탄불을 한 가지 의미로 국한하기에는 넘치는 무언가가 있다. 이스탄불은 두 문명이 부딪히는 길목에서 유럽과 아시아의 것들을 자신의 것으로 체득했다. 도시의 운명이었고, 그 운명을 받아들였기 때문에 경계가 아닌 관문으로써 자유로운 자격을 누릴 수 있었다.
경계에 산다 함은 다른 세상의 위협을 안고 산다는 뜻이며 이스탄불은 이를 증명하듯 그 위태로움을 역사로 보여준다. 동로마 제국의 땅이었다가 오토만 제국(Ottoman Empire)의 수도가 되었다. 십자군 전쟁의 희생양이 된 중세를 거쳐 현대사에서는 1차 세계대전 후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가 차례로 점령했던 모두가 탐내는 땅이기도 하다.
도시 이름은 그 역사만큼이나 화려하다. 지배 집단에 따라 비잔티움(Byzantium)과 콘스탄티노플(Constantinople)이라고 불리다가 끝내 이스탄불(Istanbul)이란 이름을 얻었다. 여행자들은 끊임없이 이 도시의 정체성을 묻지만 경계에 살고 있는 이스탄불 사람들은 도시의 역사처럼 그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다. 이스탄불은 누구든 올 수 있고, 언제든 떠날 수 있으며, 결코 누군가의 것이 되지 않는다. 경계에 산다는 것은 그런 게 아닐까?
이스탄불 핫플레이스, 모다(Moda)
이른 새벽, 이스탄불 공항에 내려 6개월 전 예약한 숙소로 향한다. 남의 집 방 한 칸을 빌려 사는 숙박 공유 플랫폼에서 한 달 35만 원으로 무척이나 저렴하게 예약했지만 싼 게 비지떡이라고 했던가! 안내받은 방은 빨래와 쓰레기가 뒤엉켜 방 한 구석에 모아져 있고, 침대에서는 짙은 담배 냄새가 풍긴다. 딱 지저분하고 게으른 자취생 방이다.
"안 되겠어. 이 방에서 한 달을 머물다가는 병나서 귀국할 판이야. 예약 취소하고 다른 집을 "알아보자."
집을 나오니 당장 오늘 밤부터 잘 곳이 없는 신세가 되었다. 예약 가능한 집마다 메시지를 보냈지만 반나절 동안 아무런 연락이 없었다. 다른 도시로 가야겠다고 마음을 먹은 순간 '기다리고 있을게. 어서 와'라는 메시지를 받았다. 이들과 한 달을 지내고 난 뒤 서로에게 새로운 가족이 되었으니 하늘의 뜻이었을까?
우리에게 회신을 보내 준 나히데는 영화관련 산업에 종사하고, 또 다른 친구 오르한은 터키 항공사에 다니면서 부업으로 살사 댄스 강습을 하는 이스탄불 토박이들이었다. 이들이 사는 곳은 이스탄불 아시아 대륙에 위치한 관광지가 아닌 현지인들이 사는 곳이다. 동네 이름은 '모다(Moda)'. 이름만큼 범상치 않은 장소임은 얼마 지나지 않아 알게 되었다. 집에서 100m만 걸으면 나오는 이스탄불 앞바다를 보고 있노라면 '내가 전생에 무슨 덕을 쌓았 길래 이런 바다를 볼 수 있는 건가?'라는 물음이 절로 든다.
한낮의 햇살을 받으며 벤치에 앉아 있어도 좋고 아침에는 달리기를 해도 좋다. 바다가 내려다보이는 노천카페에 앉아 짜이(Chai) 한 잔의 여유를 가질 수도 있다. 모다는 관광지는 아니지만 쇼핑몰, 레스토랑, 극장 등이 몰려 있기 때문에 터키 현지인들로 늘 북적북적하다.
또한 인근에 터키의 축구 명문구단 페네르바체의 홈구장이 있어 경기가 있는 날이면 도로가 마비될 정도로 열성적인 축구팬들이 모여든다. 모다가 제 아무리 멋지다 해도 호스트인 오르한과 나히데의 매력에 비할 바가 아니다. 주말 아침 그들과 마트에서 장을 보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 그들이 저녁 식사를 같이 하자고 한다.
"우리 집을 찾아준 손님이 특별한 날을 맞이했는데 그냥 넘어갈 수 있어야지. 작은 선물과 식사를 준비했으니 함께 즐겨줬으면 좋겠어."
5월 5일. 때마침 우리의 결혼기념일이었다. 오르한은 저녁 식사와 함께 결혼기념일 선물이라며 모형 헬리콥터와 작은 노트 한 권을 꺼내 놓는다. 지난번 함께 마트에 갔다가 종민이 한참을 바라보며 만지작거렸던 그 헬리콥터다. 비싼 물건은 아니지만 짧은 순간, 종민이 갖고 싶은 것을 정확히 집어낸 오르한과 나히데의 섬세함이 고맙다.
이들이 없었다면 우리는 이스탄불을 떠나 다른 도시로 가야했을 것이다. 그랬다면 우리 마음속에서 이 도시는 영원히 사라졌을 테지. 아름답고 멋진 도시를 찾아가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곳에서 누구를, 어떻게 만나느냐가 여행의 질을 좌우한다는 것을 깨닫는다.
누구의 것도 아닌 곳, 이스탄불
▲ 이스탄불, 바다가 내려다보이는 노천카페에 앉아 짜이(Chai) 한 잔의 여유를 기져보자 ⓒ 참여사회
터키 안에서 이스탄불은 별종이고 갈라파고스처럼 독특한 문화를 가진 도시이다. 이스탄불이 어느 대륙에 속하느냐는 질문에 터키인 친구는 '이스탄불은 그 어디도 아닌 이스탄불일 뿐'이라고 답했다. 그의 말처럼 이스탄불을 한 가지 의미로 국한하기에는 넘치는 무언가가 있다. 이스탄불은 두 문명이 부딪히는 길목에서 유럽과 아시아의 것들을 자신의 것으로 체득했다. 도시의 운명이었고, 그 운명을 받아들였기 때문에 경계가 아닌 관문으로써 자유로운 자격을 누릴 수 있었다.
경계에 산다 함은 다른 세상의 위협을 안고 산다는 뜻이며 이스탄불은 이를 증명하듯 그 위태로움을 역사로 보여준다. 동로마 제국의 땅이었다가 오토만 제국(Ottoman Empire)의 수도가 되었다. 십자군 전쟁의 희생양이 된 중세를 거쳐 현대사에서는 1차 세계대전 후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가 차례로 점령했던 모두가 탐내는 땅이기도 하다.
도시 이름은 그 역사만큼이나 화려하다. 지배 집단에 따라 비잔티움(Byzantium)과 콘스탄티노플(Constantinople)이라고 불리다가 끝내 이스탄불(Istanbul)이란 이름을 얻었다. 여행자들은 끊임없이 이 도시의 정체성을 묻지만 경계에 살고 있는 이스탄불 사람들은 도시의 역사처럼 그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다. 이스탄불은 누구든 올 수 있고, 언제든 떠날 수 있으며, 결코 누군가의 것이 되지 않는다. 경계에 산다는 것은 그런 게 아닐까?
이스탄불 핫플레이스, 모다(Moda)
▲ 이스탄불은 아시아와 유럽 사이, 독특한 문화를 지닌 도시다 ⓒ 참여사회
"안 되겠어. 이 방에서 한 달을 머물다가는 병나서 귀국할 판이야. 예약 취소하고 다른 집을 "알아보자."
집을 나오니 당장 오늘 밤부터 잘 곳이 없는 신세가 되었다. 예약 가능한 집마다 메시지를 보냈지만 반나절 동안 아무런 연락이 없었다. 다른 도시로 가야겠다고 마음을 먹은 순간 '기다리고 있을게. 어서 와'라는 메시지를 받았다. 이들과 한 달을 지내고 난 뒤 서로에게 새로운 가족이 되었으니 하늘의 뜻이었을까?
우리에게 회신을 보내 준 나히데는 영화관련 산업에 종사하고, 또 다른 친구 오르한은 터키 항공사에 다니면서 부업으로 살사 댄스 강습을 하는 이스탄불 토박이들이었다. 이들이 사는 곳은 이스탄불 아시아 대륙에 위치한 관광지가 아닌 현지인들이 사는 곳이다. 동네 이름은 '모다(Moda)'. 이름만큼 범상치 않은 장소임은 얼마 지나지 않아 알게 되었다. 집에서 100m만 걸으면 나오는 이스탄불 앞바다를 보고 있노라면 '내가 전생에 무슨 덕을 쌓았 길래 이런 바다를 볼 수 있는 건가?'라는 물음이 절로 든다.
한낮의 햇살을 받으며 벤치에 앉아 있어도 좋고 아침에는 달리기를 해도 좋다. 바다가 내려다보이는 노천카페에 앉아 짜이(Chai) 한 잔의 여유를 가질 수도 있다. 모다는 관광지는 아니지만 쇼핑몰, 레스토랑, 극장 등이 몰려 있기 때문에 터키 현지인들로 늘 북적북적하다.
또한 인근에 터키의 축구 명문구단 페네르바체의 홈구장이 있어 경기가 있는 날이면 도로가 마비될 정도로 열성적인 축구팬들이 모여든다. 모다가 제 아무리 멋지다 해도 호스트인 오르한과 나히데의 매력에 비할 바가 아니다. 주말 아침 그들과 마트에서 장을 보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 그들이 저녁 식사를 같이 하자고 한다.
"우리 집을 찾아준 손님이 특별한 날을 맞이했는데 그냥 넘어갈 수 있어야지. 작은 선물과 식사를 준비했으니 함께 즐겨줬으면 좋겠어."
5월 5일. 때마침 우리의 결혼기념일이었다. 오르한은 저녁 식사와 함께 결혼기념일 선물이라며 모형 헬리콥터와 작은 노트 한 권을 꺼내 놓는다. 지난번 함께 마트에 갔다가 종민이 한참을 바라보며 만지작거렸던 그 헬리콥터다. 비싼 물건은 아니지만 짧은 순간, 종민이 갖고 싶은 것을 정확히 집어낸 오르한과 나히데의 섬세함이 고맙다.
이들이 없었다면 우리는 이스탄불을 떠나 다른 도시로 가야했을 것이다. 그랬다면 우리 마음속에서 이 도시는 영원히 사라졌을 테지. 아름답고 멋진 도시를 찾아가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곳에서 누구를, 어떻게 만나느냐가 여행의 질을 좌우한다는 것을 깨닫는다.
덧붙이는 글
이 글을 쓴 김은덕, 백종민 님은 한시도 떨어질 줄 모르는 좋은 친구이자 부부입니다. 2년 동안 ‘한 달에 한 도시’씩 천천히 지구를 둘러보고 온 뒤, 서울에서 소비하지 않고도 행복해질 수 있는 방법을 실험하고 있습니다. 지은 책으로는 『한 달에 한 도시』 유럽편·남미편·아시아편, 『없어도 괜찮아』가 있고, 현재 <채널예스>에서 <남녀, 여행사정>이라는 제목으로 부부의 같으면서도 다른 여행 이야기를 연재하고 있습니다. 이 글은 월간<참여사회>5월호에 실린 글입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