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서훈 국정원장 내정자, 문재인의 안보 '키맨'

두 차례 남북 정상회담 참여... 국정원 개혁에는 "이번이 마지막 기회" 강조

등록|2017.05.10 16:05 수정|2017.05.10 19:49

▲ 서훈 국정원장 후보자가 10일 오후 청와대 춘추관 브리핑룸에서 후보 지명에 대한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서훈 전 국정원 3차장을 국가정보원장에 내정했다. 서 내정자는 문 대통령이 전면에 내건 '국정원 개혁'과 북핵 문제 등 대북정책 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국정원의 국내 정보수집 업무를 전면 폐지하고 대북한 및 해외, 안보 및 테러, 국제범죄를 전담하는 '해외안보정보원'으로의 개편을 국정원 개혁 공약으로 내세웠다. 국정원 출신의 서 내정자는 국정원 내부를 가장 잘 알고 있고 개혁 의지 역시 상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춘추관에서 진행된 인사 발표에서 서 내정자 임명과 관련해 "국정원 출신인사 가운데 국정원 개혁의지가 누구보다 강하다"라며 "제가 공약했던 국정원 개혁 목표를 구현할 최적임자라 믿는다. 앞으로 국내정치 관여 행위를 철저히 근절하고 순수 정보기관으로 재탄생시킬 것으로 믿는다"라고 말했다.

서 내정자는 기자와 질의응답에서 "이번이 (국정원 개혁에) 마지막 기회다"라며 "반드시 정치개입, 선거개입, 사찰과 같은 일을 근절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이어 "국정원 구성원들은 국정원이 정치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을 원한다"라며 "들어가서 살펴보고 가장 빠르고 효과적으로 (국정원을) 정치로부터 떼어놓을 수 있는지 연구하겠다"라고 말했다.

서 내정자는 또 문재인 정부의 대북 정책에 열쇠를 쥔 인물로 평가받는다. 문 대통령의 대선 캠프에서 안보상황단장을 맡아 외교안보 분야 정책 전반을 총괄했다. 또 지난 2000년 6월 남북 첫 정상회담과 2007년 정상회담에 실무진으로 참여하는 등 김대중·노무현 정부의 대북 정책에도 깊이 관여했다.

이와 관련해 서 내정자는 "남북관계가 경색돼 있는 상황에서 당장 남북정상회담 얘기를 꺼내는 건 시기상조다. 그럼에도 정상회담은 필요하다"라며 "최소한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을 낮추고 북핵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물꼬를 틀 수 있는 조건이 성숙되면 (문 대통령이) 평양에 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라고 밝혔다.

다음은 서훈 국정원장 내정자의 약력이다.

▲ 1954년 서울 출생
▲ 서울대 교육학과, 미국 존스홉킨스대 국제관계대학원 석사, 동국대 북한학 박사
▲ 1980년 국가안전기획부(국정원 전신) 입사
▲ 2004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정보관리실장, 국정원 대북전략실장
▲ 2006년 국정원 3차장
▲ 2012년 민주통합당 선대위 '미래캠프' 산하 남북경제연합위원
▲ 2017년 민주당 선대위 국방안보위원회 부위원장
▲ 이화여대 북한학과 초빙교수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