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면소재지까지 걸어서 한시간, 장보다 날새는 시골 주민들

시골의 교통 현실 정확히 파악하고 정책 마련해야

등록|2017.11.01 11:41 수정|2017.11.01 11:41

▲ 충남 홍성군 홍동면에서는 열악한 농촌의 교통 문제를 주제로 토론회가 열렸다. ⓒ 이재환


버스 한번 타려면 정류장 까지 20분 이상 걸어서 가야한다. 그나마도 버스는 하루에 서너 대도 다니지 않는다. 7시 아침 첫 차로 읍내에 장을 보러 나가면 오후는 되어야 집에 들어 올 수 있다. 그나마도 차를 놓치면 오후 늦게나 있는 막차를 타거나 수십리 길을 걸어서 돌아 와야 한다. 장 한번 보려고 읍내에 나가면 하루 온종일을 다 써야 하는 것이다.  

가상현실이 아니다. 자가용이 없거나 운전을 못하는 농촌 마을 주민들과 노인들이 처한 실제 상황이다. 자가용이 없는 시골 마을 주민들에는 면소재지에 나가는 일조차도 결코 호락호락하지가 않다. 

고령의 노인들은 물론이고, 자가용이 없는 시골 주민들은 면소재지까지 십리(4km)가 넘는 길을 걸어서 다녀와야 하는 경우도 있다. 4km의 거리는 성인 걸음으로도 1시간가량 걸린다. 전기세를 내고, 주민등록 등본 하나를 떼기 위해 2만원이 넘는 돈을 내고 택시를 탈 수도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시골은 택시조차 흔하지 않다.

수요자 중심의 콜버스도 고려해 볼만

김정섭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삶의질정책연구센터장은 "인구 밀도가 낮은 농촌에서는 교통약자가 발생하고 있다"며 "교통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것은 결코 자연스러운 일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노약자, 임산부, 장애인과 더불어 요즘은 시골 주민들도 교통약자로 떠오르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대해 김 센터장은 "흔히 버스가 없으면 택시를 타면 된다고 생각하기가 쉽다"며 "하지만 시골 면단위에는 택시가 없는 곳이 대부분이다"라고 지적했다.

10월 31일 충남 홍성군 홍동면 밝맑도서관에서는 농촌의 교통 문제를 주제로 토론회가 열렸다. 이날 토론에서 김정섭 센터장은 정책 결정자나 도시인들은 농촌이 처한 교통 현실에 대해 무관심기도 하고 또,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농촌의 현실과 동떨어진 교통 정책을 내 놓기보다는 다소 시간이 걸리더라도 농촌 현실에 맞는 맞춤형 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김 센터장은 전북 임실군에서 운영되고 있는 '행복 버스'를 참고할 만한 사례로 소개했다.

임실군은 지난 2016년부터 월면, 지천, 운정 등 4개 마을에 이른바 '수요 응답형' 셔틀 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하지만 해당 버스는 노선이 수요에 따라 수시로 바뀌는 특징이 있다. 주민이 30분 전에 전화로 버스를 예약을 하면, 버스 기사가 노선(동선)을 짜고 버스를 운행하는 방식이다. 노선과 배차 시간이 아니라 수요자 중심으로 버스가 운행되는 것이다. 

김 센터장은 발제문을 통해 "임실에서는 노선 고정 배치 방식을 택하지 않고 이용자인 주민이 전화를 하면 버스가 찾아 가는 이른바 콜 방식으로 버스를 운행 한다"며 "노선과 시간을 탄력적으로 운영하고 있어, 참고할 만하다"고 밝혔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