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모두가 떠나고, 빈 세월호만 남았네

[포토에세이] 도살장에 각을 뜬 소처럼, 선체가 해체된 모습으로, 또 새해 맞는구나

등록|2017.11.27 19:02 수정|2017.11.27 21:03
남현철, 박영인, 양승진, 권재근, 권혁규. 다섯 명은 결국 가족 품으로 돌아오지 못했습니다. <br>가족들은 "차라리 천형이라고 믿고 싶은" 결정을 내려야만 했습니다. 지난 18일부터 사흘간 마지막 세월호 장례식을 시신 없이 치렀습니다. <br><오마이뉴스>는 긴급 기획을 편성해 세월호 마지막 네 가족 이야기를 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독자 여러분들과 함께 이들에게 조그마한 용기를 주고자 합니다. <br>여러분의 후원(좋은 기사 원고료)은 전액 미수습자 가족들에게 전달됩니다. <a href="http://www.ohmynews.com/NWS_Web/Event/sewol_special.aspx" target="_blank"><span class="fontColor0"><b><u>(후원하기)</u></b></a> http://omn.kr/olvf [편집자말]
이제 목포에는 세월호만 남았다.

이 배는 바닷속에서 5명을 놓아 버렸다.
차가운 진도 바다 속에서 세 해를 넘긴 후 그들을 가족에게 돌려보내지 못한채 흉측스러운 모습을 드러냈다.

그때는 몰랐다.
3년 전 4월의 바다가 그렇게 차가운지 몰랐고, 파란 뿔처럼 드러낸 선수 아래로 이렇게 큰 몸체가 있는지 몰랐다. 수학여행을 떠난 아이들이 뱃속에서 죽었는지 살았는지, 새 보금자리를 향해 떠난 가족이 돌아오지 못할 여행이 될 것을 직면하며 느꼈을 죽음의 공포를 알지 못했다.

그 배가 떠오르기를 기다렸다.
가족 곁에 오지 못한 11명을 찾을 수 있을 것만 같아 애타게 물 밖으로 나오기를 수많은 사람들이 노란리본을 달고 기다렸다.

마침내 거대한 몸집을 수면 위로 드러낸 세월호는 찾지 못한 11명의 가족에겐 희망이었다. 희망은 점점 절망으로 변했고, 절망을 받아들인 네 가족은 세월호 곁을 떠나기로 결심했다.

도살장에 각을 뜬 소처럼 모든 선체가 해체된 세월호는 차가운 바닷바람을 맞으며 해를 넘길 것이다.

양승진, 박영인, 남현철, 권재근, 권혁규, 이들이 돌아오지 못한 채 말이다.

# 1. 2017년 11월 14일 목포 신항만

▲ 2017년 11월 14일 목포 신항만 ⓒ 이희훈


# 2. 2017년 11월 16일 목포 신항만, 선미

▲ ⓒ 이희훈


# 3. 2017년 11월 14일 목포 신항만, 선수

▲ ⓒ 이희훈


# 4. 2014년 4월 17일 침몰 중인 세월호

▲ ⓒ 이희훈


# 5. 2015년 4월 15일 진도 세월호 침몰 해역, 부표

▲ ⓒ 이희훈


# 6. 2017년 11월 16일 목포 신항, 해체된 선체

▲ ⓒ 이희훈


# 7. 2015년 9월 16일 진도 세월호 침몰 해역

▲ ⓒ 이희훈


# 8. 2014년 4월 17일 침몰 중인 세월호, 선수 하부

▲ ⓒ 이희훈


# 9. 2017년 3월 31일 목포 신항 도착

▲ ⓒ 이희훈


# 10. 2014년 12월 30일 진도 세월호 침몰 해역

▲ ⓒ 이희훈


# 11. 2017년 3월 31일 목포 신항으로 이동중인 화이트 마린호 위의 세월호

▲ ⓒ 이희훈


# 12. 2017년 4월 1일 목포신항 화이트 마린호 위의 세월호

▲ ⓒ 이희훈


# 13. 2017년 11월 16일 목포신항 해체된 세월호의 창

▲ ⓒ 이희훈


# 14. 2017년 11월 14일 미수습자 가족 숙소에서 보이는 세월호

▲ ⓒ 이희훈


# 15. 2017년 11월 14일 목포 신항

▲ ⓒ 이희훈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