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한·중 정상회담, 공동 성명서는 없다

문재인 대통령, 방중기간 리커창·장더장·천민얼과도 만난다

등록|2017.12.11 11:55 수정|2017.12.11 11:55

▲ 문재인 대통령. (자료사진) ⓒ 연합뉴스


오는 13일부터 16일까지 진행되는 문재인 대통령의 중국 국빈 방문에서 한중 정상 명의의 공동서는 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청와대의 한 핵심관계자는 11일 오전 "(한중 정상의) 공동성명은 없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공동성명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라며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방한 때에도 없었고,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갔을 때도 없었다"라고 강조했다.

이번에 한중 정상 명의의 공동성명서를 내지 않는 것은 사드와 북핵 등 복잡한 한중관계의 현실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다른 내용을 내놔도 합의해줄 상황 아니다"

이 관계자는 "한국과 중국이 서로 다른 입장을 표시하는 상황에서 그것을 공동성명으로 낸다면 그렇게 다른 (입장이 다른) 부분이 나타나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라며 "그런 상황에서 한국측이 어려워지는 상황을 중국측이 고려한 걸로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10.31 합의 이후에 우리가 어떤 요청을 하는 구조가 아니고 합의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측에서 그들이 필요한 의사를 추가적으로 자꾸 표시하는 것이라서 이런 것이 공동성명이라는 형식을 갖추고 남겨지는 게 (정상회담의) 결과로서 드러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만일 공동성명문에 '사드'가 들어간다면 두 가지 가능성이 있다"라며 말한 뒤, "하나는 10.31 합의 내용을 확인하는 것인데 이것을 두 정상이 하는 것은 너무 격에 맞지 않다"라며 "(다른 하나로서) 뭔가 다른 내용을 내놓는다고 해도 그것을 합의해줄 수 있는 상황도 아니고 서로가 결합된(합의된) 입장을 내놓을 상황도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이(사드에 관한) 언급 자체를 시진핑 주석이 이번에 할지 안할지 모르겠으나 하든 안하든 생길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의) 가능성 때문에 일단 공동성명 추진하지 않는 것으로 했다"라며 "(다만) '양국간 관계를 조속히 정상화하고 발전적으로 가자'는 내용을 양국 공동언론발표문으로 발표하기로 했다"라고 전했다

'10.31 합의'란 한중 양국이 지난 10월 31일 '한중 관계 개선 관련 양국 간 협의 결과'를 담아 발표한 공동문서를 가리킨다. 당시 양국은 "한국측은 한국에 배치된 사드체제가 중국의 전략적 안보이익을 해치지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했고, 중국측은 한국에 배치된 사드체제를 반대한다고 재천명했다"라고 발표했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은 중국을 방문하는 동안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뿐만 아니라 리커창 총리와 장더장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 천민얼 충칭시 당서기 등 중국의 지도자급 인사들과도 만날 예정이다.

특히 장더장 상무위원장은 옌벤대 조선어학과를 졸업하고, 김일성종합대(경제학과)에서 유학한 북한문제 전문가로 알려져 있다. 천민얼 당서기는 제19차 당대회에서 중앙정치국 위원으로 선출된 중국의 차세대 지도자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