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문재인 대통령, 트럼프에 이어 시진핑 주석과도 전화통화

시 주석 “남북관계 개선과 비핵화 같이 가야 한다는 문 대통령 지지”

등록|2018.01.11 20:07 수정|2018.04.05 14:16

▲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해 12월 14일 오후 베이징 인민대회당 서대청에서 열린 MOU 서명식을 마치고 악수하고 있다. ⓒ 연합뉴스


시진핑 중국 주석이 11일 "남북관계 개선과 남북대화는 같이 가야 한다"라는 문재인 대통령의 구상에 적극적인 지지를 보냈다.

지난해 12월 문 대통령과 시 주석 사이에 핫라인이 구축된 이후 처음으로 이날 문 대통령과 통화한 시 주석은 "남북관계 개선과 한반도 비핵화가 같이 가야 한다는 문 대통령의 입장을 적극 지지한다"라고 말했다고 윤영찬 국민소통수석이 전했다.

문 대통령은 전날(10일) 열린 신년기자회견에서 '남북관계 개선'과 '북핵문제 해결'의 선순환을 강조하면서 남북대화를 통해 북한을 비핵화 대화의 장으로 이끌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 바 있다. 시 주석도 남북대화의 최종 목표가 북한의 비핵화라는 문 대통령의 구상에 동의한 것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5시 30분부터 시작한 전화통화에서 지난 9일 열린 남북고위급 회담 결과를 상세하고 설명하고, 남북대화가 이루어지기까지 중국이 지원하고 지지한 것에 감사 인사를 건넸다.

이에 시 주석은 "남북고위급회담을 통한 남북 관계개선의 성과를 환영하며 이를 위한 문재인 대통령과 한국 정부의 노력을 적극 지지한다"라며 "또 남북관계 개선과 한반도 비핵화가 같이 가야 한다는 문 대통령의 입장을 적극 지지한다"라고 말했다.

윤 수석은 "양 정상은 이번 남북대화가 북한의 평창 올림픽 참가를 넘어,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과 한반도의 평화 정착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한중간 전략적 소통과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라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시 주석에게 평창올림픽 폐막식 행사에 참석해줄 것을 요청했고, 시 주석은 "양국 간 긴밀한 협력을 통해 폐막식에서 올림픽 행사의 성공적 인수·인계가 잘 이뤄지도록 노력하자"라고 화답했다.

차기(2022년) 동계올림픽 개최도시가 중국 허베이성이라는 점에서 "올림픽 행사의 성공적 인수·인계를 위해 노력하자"라는 시 주석의 발언이 평창올림픽에 참석하겠다는 뜻을 우회적으로 드러낸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하지만 윤 수석은 "시 주석이 참석 여부를 확답하지 않았다"라고 전했다.   

윤 수석은 "양 정상 간 통화는 지난달 문 대통령의 방중 기간 중 합의했던 정상 간 핫라인 구축 이후 처음이며, 지난해 5월 취임 직후 있었던 정상 통화 이후 두 번째다"라고 말했다.

전날(10일) 오후 10시 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전화통화를 통해 '남북대화가 북한의 평창올림픽 참가를 넘어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북미 간 대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적절한 시점과 상황하에서 미국은 북한이 대화를 원할 경우 열려 있다"라며 북미 대화 가능성을 열어 놓았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