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지방선거, 각 정당은 여성후보 지원 어떻게 하고 있나?"

경남여성정치포럼, 각 정당 간담회 등 통해 점검 결과 발표

등록|2018.04.09 16:05 수정|2018.04.09 16:05

▲ 경남여성정치포럼은 9일 경남도의회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 경남여성정치포럼


각 정당은 지방선거 여성후보 지원을 어떻게 하고 있을까? 경남여성정치포럼이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각 정당의 여성후보 확대 방안에 대한 간담회 결과를 발표했다.

경남여성정치포럼은 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정의당·민중당·노동당·녹색당 경남도당과 서면질의회신·간담회를 열고, 그 결과를 9일 경남도의회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발표했다.

'선출직·임명직 30% 이상 할당'은 모든 정당이 찬성했고, 비례대표 후보 공천에 '여성 50% 이상과 홀수 배정'도 동의했으며 다만 노동당은 여성후보만 비례 공천한다고 했다.

'공천심사위원의 여성 비율'은 정의당과 노동당이 5명 중 2명이고, 녹색당과 민주당은 50% 이상, 민중당은 30% 이상이었다.

'공천·경선시 여성 우선권과 가산점 규정'은 각기 달랐다. 노동당은 '현재 출마예정자 40%'를 여성으로 하고, 민주당은 공천시 20% 가산과 경선시 25% 가산을 주며, 한국당은 경선시 20% 가산점을 주고, 민중당은 지역구 출마 여성 우선 배정하고 있다.

'성평등 교육 이수 의무 조항'은 노동당, 민주당, 민중당, 정의당이 하고 있고, 녹색당과 한국당은 없다. '교육 이수 외 후보자격심사에 성평등 의식 검증'은 노동당과 녹색당이 하고 있지만 다른 정당은 없다.

그리고 민주당, 민중당, 한국당, 정의당은 '여성위원회 등 조직적 지원'을 하고, '선거비용 지원'은 녹색당과 민중당, 정의당이 하고 있다.

모든 정당은 '성범죄 경력자 공천 제외 규정'을 두고 있으며, '성폭력 관련 규정 또는 미투정국 특별조치'는 민중당만 하고 있었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