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한강 수질오염, 4대강 중 사고 발생 비율 최고

최근 5년간 283건 발생... "한강 수질 개선 위한 특별 대책 필요"

등록|2019.10.28 20:16 수정|2019.10.28 20:16
 

▲ 지난 2018년, 63빌딩 맞은편 한강에서 퍼 올린 시커먼 펄의 냄새를 맡아보고 있는 김동언 서울환경운동연합 활동가 ⓒ 정대희


최근 5년간(2014~2018년) 한강에서 283건의 수질오염 사고가 발생했으며, 일부 취수장에서는 한때 대장균이 최대 100㎖당 10만 개가 검출된 적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28일, 서울 중구 환경재단에서 열린 '한강 상수원 포럼 운영 및 위기대응 소통 체계 구축' 토론회에서 시민환경연구소 이노성 연구원은 이런 주장을 하며 "한강 수질 개선을 위한 특별한 대책이 필요하다"라고 지적했다.

이 연구원이 한국환경공단 수질오염방제정보시스템에서 제출받은 '2018년 수질오염사고와 대응연차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5년간 4대강에서 발생한 수질오염사고는 총 696건으로 이중 한강에서 전체 40.7%(283건)에 해당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낙동강은 109건, 금강이 72건, 영산강이 33건이었다.

한강에서 발생한 수질오염사고를 사고 지점별로 살펴보면, 잠실 수중보 상류와 팔당호 유역이 전체 283건 중 84건으로 29.7%를 차지했다.

이 연구원은 "한강의 수질오염사고는 유역면적을 고려했을 때, 다른 3강(낙동강, 금강, 영산강)에 비해 2배나 높은 수치"라며 "유형별로는 유류유출(313건, 45%)과 물고기 폐사(206건, 29.6%), 화학물질유출(61건, 8.8%) 순이었다"라고 설명했다.

취수장에 영향을 끼친 수질오염사고도 소개됐다. 취수장은 수돗물의 용수를 위하여 강이나 저수지 등에서 끌어들인 물을 끌어들여 정수장으로 보내는 시설을 말한다. 지난 2014년 남양주 홍릉천변 공장 유압유 100리터(ℓ) 유출사고와 올림픽 대교 북단 우수토구(하천시설) 유출사고가 대표적이다.

이 연구원은 "남양주 유류유출사고는 한강 본류에 유류가 유입된 후 최소 4시간 동안 정부와 해당 지자체(지방자치단체)가 알지 못했고, 올림픽대교 북단 유출은 신고접수부터 수도사업자에게 통보까지 90분이 소요됐다"라며 "수질오염사고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의 늦장 대응이 사고를 키웠다"라고 주장했다.

한강의 수질을 오염시킨 건, 수질오염사고뿐만이 아니었다. 도시의 비점오염원이 유입돼 대장균이 최대 100㎖당 10만 개가 검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비점오염원은 도로나 농경지, 공사장 같은 불특정 장소에서 배출되는 오염 물질을 말하며, 이들은 비가 올 때 빗물과 함께 쓸려 내려가 하천을 오염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이 연구원이 최근 5년(2014~2018)간 서울시 4개(강북, 암사, 자양, 풍납) 취수장에서 제출받은 '강수에 따른 상수원수 수질변화'에 따르면 지난 2017년 7월 자양취수장에서 검출된 대장균군은 100㎖당 10만 개다. 뒤이어 암사취수장(서울 강동) 100㎖당 5만 6000개, 풍납취수장(서울 송파) 3만 2000개, 강북통합취수장(남양주시) 240개 순이었다.

이 연구원은 "강우 시 용존산소의 농도가 감소하고 부유물질량이 증가했다. 이에 따라 총대장균군이 평상시보다 3배 이상 높게 검출됐다"라며 "도심 비점오염원이 한강 상수원 수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한강 잠실유역 일부는 상수원임에도 불구하고 상수도보호구역으로 보호받지 못하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 4대강 주요 수질오염사고 발생 현황 ⓒ 이노성


 

▲ 도시 비점오염원 유출이 상수원 수질에 미치는 영향 ⓒ 이노성


따라서 이 연구원은 "한강 상수원 위기 대응을 위한 정보교류의 방법으로 정부와 지자체 수도사업자가 각각 운영하던 상수원 수질정보시스템의 소통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라며 "현재 사후 방제와 확산방제에만 주력한 대응체계도 우선 조치로 사고를 예방하는 체계로 바꿔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한강잠실 유역 취수장의 상류 3.6~9.7km에 대용량 하수처리장(분뇨와 가축분뇨병행 처리)이 운영되고 있어 상원수가 병균에 오염될 위험도가 매우 높다"라며 "국내에선 크립토스포리디움(Cryptosporidium)으로 인한 수인성 집단발병 사례가 보고된 바 없지만, 미국과 일본 등에선 사례가 있어 먹는 물에 의한 감염 가능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라고 밝혔다.

이런 지적에 대해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정훈모 물순환정책과장은 "한강 물이 오염됐다고 해도 정수처리 과정에서 약품 처리를 하면 먹는 물 수준으로 정화가 가능하다"라며 "원수(한강 물)를 깨끗하게 관리해야 한다는 데 동의한다. 다만, 현재 서울 시민들이 사용하는 수돗물에는 이상이 없으며, 안전하다"라고 말했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