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손님 피해 시골 왔는데 더 많은 손님이

[딸이 묻고 엄마의 삶이 답하다 ⑨] 30대 중반에 시골로 이사한 엄마

등록|2020.03.25 14:30 수정|2020.03.25 16:04

엄마와 집엄마가 지금 나보다 어릴때 ⓒ 윤솔지


1983년 여름이었다. 엄마는 서울 생활을 정리하고 용인에서도 가장 구석진 농촌 황새울로 이사를 했다. 가진 돈은 전세금을 뺀 8백만 원이 전부였다. 엄마는 터를 사고 친구들에게 돈을 빌려 집을 지었다. 엄마는 생애 처음으로 가져보는 집이라 치장에 대한 욕심이 원대했다. 유기농 작물을 재배하는 것은 당연한 계획이라 해도 집안 치장에 부르주아적 흉내를 낸 것은 지금 생각해도 코미디다.

별로 크지도 않은 거실에 벽난로를 설치한 적이 있는데 당시 불기가 거실로 나와 자칫하면 불이 날 뻔했다. 심지어 빠져나가야 할 연기가 집안에 고이면서 온 식구가 콜록거려야 했다. 욕실 타일은 서울로 다니며 직접 골라 깔았는데 어느 날 욕실 구멍으로 뱀이 올라와 턱 하니 앉아 있었다.

나는 전교생이 100여 명 되는 초등학교에 입학했다. 봄이 되면 아이들과 칡을 캤다. 우리 힘으로 캐낼 수 있는 칡은 가느다란 것뿐이었지만 그것도 맛나다고 온종일 씹고 다녔다. 진달래꽃은 입이 퍼레지도록 따먹었고, 아카시아꽃은 꼭지를 떼 꿀을 빨아 먹었다. 한번은 나무에 올라가 꽃을 따다가 벌에 쏘일 뻔도 했다. 냉이와 쑥도 캐왔지만, 엄마는 개똥밭에서 캐온 것이라며 거름더미에 갖다 버렸다.

엄마는 유기농을 먹겠다며 텃밭에 일용할 식물 대부분을 심었다. 그러나 엄마의 원대한 꿈과 달리 딸기는 시어서 먹을 수가 없었고 수박과 참외는 조막만 했으며 그나마 잘 익지 않아 텁텁했다. 고추 마늘 등에 약을 주지 않아 첫해는 거의 건진 게 없었다. 엄마가 만들어주는 반찬은 뻣뻣했고 조미료를 넣지 않아 맛이 없었다. 나는 친구들 집을 전전하며 밥을 얻어먹었다. 그 사실도 모르는 엄마는 식욕을 돋운다며 나에게 '원기소'(당시 영양제 이름)를 사다 먹였다.

손님을 피해서 왔는데 손님이 더 많아졌다

엄마는 시골에서 창작열을 불태웠다. <아들>, <밤길>, <님>, <고삐>, <들> 등이 황새울에서 생산되었다. 작품이 주목을 받으면서 우리 집에는 기자들이 수시로 찾아왔다. 텔레비전이나 라디오에 등장하면서부터는 인근 청년, 농민들까지 쉴 새 없이 방문했다.

당시는 언론이 마비되어 있던 시절이었다. <밤길>을 읽은 사람들은 엄마로부터 광주항쟁에 대한 진실을 듣고 싶어 했고, 팀스피릿(한반도에서의 군사 돌발사태 발발에 대비해 연례적으로 실시됐던 한·미 합동군사훈련)으로 농토를 망친 농민들은 미군들의 부당성을 알고자 했다. 하다못해 스님들까지 찾아와 시국을 논했다. 마구잡이로 찾아오는 손님도 있었다. 연재가 걸렸거나 속히 끝내야 할 원고가 있을 때 손님이 오면 엄마는 어찌할 바를 몰랐다.

창비에 <들>을 연재할 때였다. 경기도 안성에서 사회운동을 한다는 남자 둘이 찾아왔다. 그때 엄마는 아빠에게 돌려보내라고 이르고 책고에 숨었다. 마음 착한 아빠는 손님을 돌려보내지 않고 책고 근처 방으로 맞아들였다. 문 하나 사이를 두고 숨은 엄마는 숨을 죽이고 있었는데, 그때 그만 기침이 터져 나왔는지 콜록거렸다. 당황했을 법도 한데 손님들은 엄마의 마음을 눈치 채고 떠나 주었다.

엄마는 복 받은 사람이다
 

▲ 이문구, 안종관 선생님과 함께. 맨 오른쪽이 엄마다. ⓒ 윤솔지


친구나 후배들이 오면 엄마는 집에서 키우던 오골계를 잡아 대접하곤 했다. 엄마는 대학교 동창인 소설가 송기원 아저씨에게 "이 닭이 보신 닭이래"라면서 아이들 삶아 먹이라고 닭 다리를 묶어서 주었다. 그런데 다음 날 실천문학에서 그 닭이 긴 줄에 묶여 사무실을 휘젓고 다니더라고 했다. 닭을 잡을 줄 몰라서 집에 가져가지 못했던 것이었다.

이문구 아저씨가 실천문학 주간일 때도 엄마는 뼛속까지 까맣다는 오골계를 아이들 먹이라고 손수 가져다주었다. 이문구 아저씨는 엄마가 가장 존경하는 선배라면서 여름철 풋고추와 깻잎을 가져다주었는데, 내가 고등학생이 되었을 때 <관촌수필> 책을 찾아 주면서 두 번 읽으라고 했다. 현기영 아저씨와 송기원 아저씨의 소설, 이시영 아저씨의 시집, 김정환·김사인·강형철 시인의 시집도 읽게 했으나 나는 충실한 독자가 되지 못했다.

뿐만 아니었다. 엄마는 밤에 혼자 둘 수 없다면서 중요한 모임이나 집회에 나를 데리고 다녔고, 나는 반에서 결석이 가장 많은 아이가 되었다. 나도 엄마와 함께 다니는 것을 은근히 즐겼는데, 이유는 이모나 삼촌들이 맛있는 것을 사주었기 때문이었다. 그렇게 만났던 분들, 젊고 팔팔하던 그분들이 지금은 거의 반백이다. 그런 모습을 볼 때면 마음이 참 쓸쓸해진다.

"돌이켜보면 나에겐 축복이던 시절이었어. 보잘것없는 내가 시대의 큰 산이었던 이영희, 백낙청, 이호철, 강만길 선생님들을 만났고 그분들과 가까이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잖아. 종철이 형! 한겨레 김종철 형한테도 많은 걸 배웠지. 나에겐 멋지고 아름다운 사람들이 많았어. 그런 사람들과 친할 수 있었다니 난 정말 복 받은 사람이야."

엄마는 정말 복 받은 사람이다. 나는 가끔 생각한다. 나에겐 아주 가까운 지인이 몇 명이나 있을까? 필요할 때면 언제든 달려와 줄 절친한 친구는 몇 명일까? 절대적으로 사랑해주는 사람은? 내 사랑법은 또 어떤가? 엄마처럼 깊은가? 가끔 엄마는 돌아가신 시인 김남주 아저씨, 채광석 아저씨를 그리워하며 눈시울을 적신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