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걱정 없이 연주만... 첼리스트로 급성장했으나 잃은 것
[사연 있는 클래식] 자클린 뒤 프레 1탄
2020년, 3월 12일, 대구 문화예술회관에서는 베아트리체 트리오의 연주로 '자클린의 눈물(Jacqueline's Tears)'이 흘러나왔다. 코로나로 지친 대구 시민들을 위로하기 위한 연주로 사정상 무관중, 온라인으로 중계되었다.
이 곡은 프랑스 오페라의 창시자 오펜바흐(1819-1880)의 곡으로 훗날, 독일의 첼리스트 토마스 베르너(1941~)가 오펜바흐의 미완성 곡들을 정리하다가 발견했다. 토마스는 이 슬픈 곡을 듣고 떠오르는 사람이 있었다.
한 사람의 운명을 떠올리게 만드는 곡이었다. '자클린 뒤 프레(1945-1987)', 그야말로 '불꽃 같은 삶'을 태우고 간 동시대 천재 첼리스트인 그녀를 추모하는 마음으로 곡의 이름도 '자클린의 눈물'이라 지었다. 이 곡은 자클린이 사망하고 1년 후에 발표되었다.
수지아 상의 첫 번째 수상자, 자클린
자클린은 1945년 영국 옥스퍼드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드렉 뒤 프레는 평범한 회사원이었던 반면, 어머니 아이리스 그리프는 영국 왕립음악 아카데미를 장학금을 받고 다닌 피아니스트로 생계를 위해 아이들에게 피아노를 가르친 음악가다.
아이리스는 졸업 후에도 가끔씩 왕립음악 아카데미 전임 교수들이 나오지 못할 때 대리 교수로 학생들을 지도하기도 했다. 아이리스는 재클린이 첼로를 시작하면서 어린 딸이 볼 수 있도록 직접 삽화를 그려 넣은 악보를 만들었고 이후, 자클린의 피아노 반주를 도맡았으며 점차 딸의 로드매니저가 되었다.
뒤렉과 아이리스 사이엔 3남매가 있었는데, 모두 음악적인 기량이 뛰어났다. 특히 자클린의 언니 힐러리는 뛰어난 플루트 연주자였다. 사실, 아이리스 주변 친구들은 모두 힐러리가 음악가로 대성할 할 줄 알았다. 하지만 자클린이라는 천재를 동생으로 둔 운명으로 힐러리는 가려졌고, 늘 동생에게 양보해야 했다.
자클린은 불과 9개월이었을 때 손가락을 두드리며 리듬을 만들었는데, 5살 무렵 운명의 소리를 듣게 되었다고 그의 전기에 나온다.
처음엔 아이리스가 자클린을 지도했지만, 금세 자클린에게 전문적인 선생님이 필요하다는 걸 깨달았다. 자클린을 가르쳤던 선생님들은 자클린의 발전 속도에 빠르게 손을 들었고, 아이리스는 당시 첼리스트로 이름을 떨치고 있던 윌리엄 플리스에게 자클린의 오디션을 부탁했다.
플리스는 자클린의 연주를 듣자마자 제자로 받아들인다. 자클린은 플리스를 '첼로 대디'라고 부르며 따랐으며, 이후, 폴 토르틀리에, 카블로 카잘스, 로스트로포비치 등과 같은 거장들로부터 사사를 받았으나, 늘 자신의 유일한 스승은 플리스라고 말했다.
자클린의 발전 속도는 상상을 벗어났다. 그의 전기에서도 어린 자클린은 악보를 보면, 본능적으로 첼로의 소리를 어떻게 만들어 낼지 알았다는 내용이 등장한다. 몇 달 후, 플리스는 수지아 상 수상자로 자클린을 추천했다.
수지아 상에 관해 잠깐 설명하자면, 20세기 초까지만 해도 첼로는 금녀의 악기였다. 다리 사이에 첼로를 끼우고 앉는 자세가 여자답지 못하다는 인식 때문이었다. 이 금기를 깨뜨린 사람이 바로 포르투갈 출신의 여성 첼리스트 귀예르미나 수지아(1885-1950)다.
수지아는 7살의 나이에 첼로를 시작해서 12살에 포르토 시향의 첼로 파트를 이끌었고 17살에 솔로 데뷔했다. 여성 최초로 이름을 떨친 첼로 연주자이며 현재 음반으로 들어볼 수 있는 최초의 여성 연주자이기도 하다. 수지아는 격정적인 연주 스타일로 첼로의 헤라클래스란 닉네임이 따라다녔다.
천재들은 한 세기 안에 머물면 어떻게든 연결이 되나 보다. 수지아는 첼로의 거장 파블로 카살스(12세 연상)를 만나 7년 동안 폭풍 같은 사랑을 나눴으나 끝내 그의 청혼은 받아들이지 않았다. 수지아가 사망하고 훗날 파블로는 수지아 상의 첫 번째 수상자가 된 자클린을 가르치게 되었으니, 수지아와 자클린은 보이지 않게 연결된 셈이다.
1912년, 영국으로 온 수지아는 엄청난 성공을 거두고, 1950년 사망했다(수지아가 사망했을 때 자클린은 5살이었다). 수지아는 자신의 악기인 스트라디바리우스를 팔아서 국적과 관계없이 일류 연주자가 될 잠재력을 소유한 스물한 살 미만의 연주자에게 수여하라는 유언장을 작성했고, 그로 인해 수지아 상이 만들어졌다.
1956년, 수지아 상 첫 오디션이 왕립음악 아카데미에서 열렸다. 5명의 지원자가 참가했고, 참가자 중 가장 어린 자클린은 겨우 열한 살이었다. 심사위원으로 참가한 첼리스트이자 지휘자인 존 바비롤리는 다른 심사위원들에게 플리스가 보낸 추천서를 읽어주었는데, 그 내용을 보면, 자클린은 그 누구보다도 뛰어난 연주자이며, 이를 위해 모든 조력을 받아야 한다는 것이었다.
어린 천재에게 남은 상처
수지아 상의 첫 번째 수상자는 자클린이 되었고, 이로 인해 자클린은 이 재단의 후원으로 수년간 돈 걱정 없이 최고 수준의 첼로를 배우게 된다. 이 수상은 그녀에게 첼리스트로서 급성장하는 기회를 가져다 주었지만, 이를 계기로 또래 친구들과는 영영 멀어졌다.
어린 자클린에게도 우정과 마음을 나눌 친구가 필요했지만, 또래 아이들에게 자클린은 그저 질투나 찬탄의 대상일 뿐 개인적으로 받아들여지지 못했다. 그리고 이는어린 자클린에게 평생 상처로 남았다. 천재일지라도 아이는 그저 아이일 뿐이다.
1961년, 런던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다운 위그모어 홀에서 자클린의 독주회가 열렸다. 이 연주를 위해 그녀의 후원자 홀런드여사는 1673년에 제작한 스트라디바리(당시 시가 3만 5,000파운드)를 선물했다. 550석의 홀은 만원이었고 역사적인 연주가 시작되었다. 헨델의 G장조 소나타를 시작으로 바흐 무반주 첼로, 브람스, 드뷔스 소나타등이 연주되었다.
당시 <타임즈>에 나온 논평에는 '열여섯 살의 놀라운 첼로 천재'라는 제목으로 "자클린 뒤 프레 양은 열여섯 살밖에 되지 않았지만 그렇게 어린 연주자라고 믿기 어려운 기량을 가졌기에 그녀의 공연 논평을 쓰면서 전도유망을 언급한다는 것이 모욕처럼 들릴지도 모르겠다. 뒤 프레는 이미 자신의 악기인 첼로를 완전히 지배하고 있었다"라고 썼다. 이 연주는 20세기를 대표하는 첼로 연주자의 서막이 되었다.
* 다음 회에 계속됩니다.
참고서적
<자크린느 뒤 프레 예술보다 긴 삶>(캐럴 이스턴/윤미경. 마티)
<내가 사랑하는 클래식>(박종호. 시공사)
<더 클래식 셋>(문학수, 돌베개)
<짧은 영광, 그래서 더 슬픈 영혼>(전원경, 시공아트)
이 곡은 프랑스 오페라의 창시자 오펜바흐(1819-1880)의 곡으로 훗날, 독일의 첼리스트 토마스 베르너(1941~)가 오펜바흐의 미완성 곡들을 정리하다가 발견했다. 토마스는 이 슬픈 곡을 듣고 떠오르는 사람이 있었다.
수지아 상의 첫 번째 수상자, 자클린
▲ 어린 자클린 뒤 프레. ⓒ 위키피디아
자클린은 1945년 영국 옥스퍼드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드렉 뒤 프레는 평범한 회사원이었던 반면, 어머니 아이리스 그리프는 영국 왕립음악 아카데미를 장학금을 받고 다닌 피아니스트로 생계를 위해 아이들에게 피아노를 가르친 음악가다.
아이리스는 졸업 후에도 가끔씩 왕립음악 아카데미 전임 교수들이 나오지 못할 때 대리 교수로 학생들을 지도하기도 했다. 아이리스는 재클린이 첼로를 시작하면서 어린 딸이 볼 수 있도록 직접 삽화를 그려 넣은 악보를 만들었고 이후, 자클린의 피아노 반주를 도맡았으며 점차 딸의 로드매니저가 되었다.
뒤렉과 아이리스 사이엔 3남매가 있었는데, 모두 음악적인 기량이 뛰어났다. 특히 자클린의 언니 힐러리는 뛰어난 플루트 연주자였다. 사실, 아이리스 주변 친구들은 모두 힐러리가 음악가로 대성할 할 줄 알았다. 하지만 자클린이라는 천재를 동생으로 둔 운명으로 힐러리는 가려졌고, 늘 동생에게 양보해야 했다.
자클린은 불과 9개월이었을 때 손가락을 두드리며 리듬을 만들었는데, 5살 무렵 운명의 소리를 듣게 되었다고 그의 전기에 나온다.
"집 부엌이었는데 올려다보니 라디오가 있었어요. 다리미판을 딛고 올라가서 라디오를 틀었더니 오케스트라 악기들을 소개하고 있더군요. 틀림없이 BBC 방송국의 어린이 방송 시간이었을 거예요. 첼로 소리가 나기 전까지 나는 별로 느낌이 없었어요. 그런데 첼로와 난, 바로 사랑에 빠져버렸죠." 그래서 엄마에게 "저 소리를 내고 싶어"라고 했죠." - 자클린의 전기 중.
처음엔 아이리스가 자클린을 지도했지만, 금세 자클린에게 전문적인 선생님이 필요하다는 걸 깨달았다. 자클린을 가르쳤던 선생님들은 자클린의 발전 속도에 빠르게 손을 들었고, 아이리스는 당시 첼리스트로 이름을 떨치고 있던 윌리엄 플리스에게 자클린의 오디션을 부탁했다.
플리스는 자클린의 연주를 듣자마자 제자로 받아들인다. 자클린은 플리스를 '첼로 대디'라고 부르며 따랐으며, 이후, 폴 토르틀리에, 카블로 카잘스, 로스트로포비치 등과 같은 거장들로부터 사사를 받았으나, 늘 자신의 유일한 스승은 플리스라고 말했다.
자클린의 발전 속도는 상상을 벗어났다. 그의 전기에서도 어린 자클린은 악보를 보면, 본능적으로 첼로의 소리를 어떻게 만들어 낼지 알았다는 내용이 등장한다. 몇 달 후, 플리스는 수지아 상 수상자로 자클린을 추천했다.
수지아 상에 관해 잠깐 설명하자면, 20세기 초까지만 해도 첼로는 금녀의 악기였다. 다리 사이에 첼로를 끼우고 앉는 자세가 여자답지 못하다는 인식 때문이었다. 이 금기를 깨뜨린 사람이 바로 포르투갈 출신의 여성 첼리스트 귀예르미나 수지아(1885-1950)다.
▲ ⓒ Pixabay
수지아는 7살의 나이에 첼로를 시작해서 12살에 포르토 시향의 첼로 파트를 이끌었고 17살에 솔로 데뷔했다. 여성 최초로 이름을 떨친 첼로 연주자이며 현재 음반으로 들어볼 수 있는 최초의 여성 연주자이기도 하다. 수지아는 격정적인 연주 스타일로 첼로의 헤라클래스란 닉네임이 따라다녔다.
천재들은 한 세기 안에 머물면 어떻게든 연결이 되나 보다. 수지아는 첼로의 거장 파블로 카살스(12세 연상)를 만나 7년 동안 폭풍 같은 사랑을 나눴으나 끝내 그의 청혼은 받아들이지 않았다. 수지아가 사망하고 훗날 파블로는 수지아 상의 첫 번째 수상자가 된 자클린을 가르치게 되었으니, 수지아와 자클린은 보이지 않게 연결된 셈이다.
1912년, 영국으로 온 수지아는 엄청난 성공을 거두고, 1950년 사망했다(수지아가 사망했을 때 자클린은 5살이었다). 수지아는 자신의 악기인 스트라디바리우스를 팔아서 국적과 관계없이 일류 연주자가 될 잠재력을 소유한 스물한 살 미만의 연주자에게 수여하라는 유언장을 작성했고, 그로 인해 수지아 상이 만들어졌다.
1956년, 수지아 상 첫 오디션이 왕립음악 아카데미에서 열렸다. 5명의 지원자가 참가했고, 참가자 중 가장 어린 자클린은 겨우 열한 살이었다. 심사위원으로 참가한 첼리스트이자 지휘자인 존 바비롤리는 다른 심사위원들에게 플리스가 보낸 추천서를 읽어주었는데, 그 내용을 보면, 자클린은 그 누구보다도 뛰어난 연주자이며, 이를 위해 모든 조력을 받아야 한다는 것이었다.
아이리스의 반주에 재키가 연주를 시작하자마자 2분도 채 되지 않아 바비롤리 입에서 감탄사가 흘러나왔다. "바로 이거야!" 심사위원은 아니었지만, 수지아와 함께 협연했던 피아니스트 제럴드 무어도 그 자리에 있었는데, "엷은 황갈색 머리의 어린 소녀가 우리에게 연주를 들려줬을 뿐 아니라 우리를 아연실색케 했다. 그녀의 키는 첼로만큼도 되지 않았다. 청중들은 짜릿한 전율을 맛보았다." - 자클린 전기 인용.
어린 천재에게 남은 상처
수지아 상의 첫 번째 수상자는 자클린이 되었고, 이로 인해 자클린은 이 재단의 후원으로 수년간 돈 걱정 없이 최고 수준의 첼로를 배우게 된다. 이 수상은 그녀에게 첼리스트로서 급성장하는 기회를 가져다 주었지만, 이를 계기로 또래 친구들과는 영영 멀어졌다.
어린 자클린에게도 우정과 마음을 나눌 친구가 필요했지만, 또래 아이들에게 자클린은 그저 질투나 찬탄의 대상일 뿐 개인적으로 받아들여지지 못했다. 그리고 이는어린 자클린에게 평생 상처로 남았다. 천재일지라도 아이는 그저 아이일 뿐이다.
1961년, 런던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다운 위그모어 홀에서 자클린의 독주회가 열렸다. 이 연주를 위해 그녀의 후원자 홀런드여사는 1673년에 제작한 스트라디바리(당시 시가 3만 5,000파운드)를 선물했다. 550석의 홀은 만원이었고 역사적인 연주가 시작되었다. 헨델의 G장조 소나타를 시작으로 바흐 무반주 첼로, 브람스, 드뷔스 소나타등이 연주되었다.
당시 <타임즈>에 나온 논평에는 '열여섯 살의 놀라운 첼로 천재'라는 제목으로 "자클린 뒤 프레 양은 열여섯 살밖에 되지 않았지만 그렇게 어린 연주자라고 믿기 어려운 기량을 가졌기에 그녀의 공연 논평을 쓰면서 전도유망을 언급한다는 것이 모욕처럼 들릴지도 모르겠다. 뒤 프레는 이미 자신의 악기인 첼로를 완전히 지배하고 있었다"라고 썼다. 이 연주는 20세기를 대표하는 첼로 연주자의 서막이 되었다.
* 다음 회에 계속됩니다.
참고서적
<자크린느 뒤 프레 예술보다 긴 삶>(캐럴 이스턴/윤미경. 마티)
<내가 사랑하는 클래식>(박종호. 시공사)
<더 클래식 셋>(문학수, 돌베개)
<짧은 영광, 그래서 더 슬픈 영혼>(전원경, 시공아트)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인천 투데이에도 실립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