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감옥소'라고 불린 고등학교의 놀라운 서울대 진학률

[세상과 도서관이 잊은 사람들] 학교도서관 선구자 김원규 ①

등록|2021.03.19 18:56 수정|2021.03.19 18:56
우리 사회에 근대 도서관 제도가 도입된 지 100년이 넘었습니다. 일제강점기에 이식된 도서관은 이제 시민이 가장 자주 이용하는 일상 공간이자 문화 공간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우리 역사와 도서관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음에도 ‘잊힌 사람들’이 있습니다. 도서관 선구자임에도 잊힌 사람의 발자취를 찾아 그들을 다시 조명하고자 합니다. 우리가 잊은 사람들을 ‘기억’하기 위해 ‘기록’합니다.[편집자말]
1957년 4월 2일 경기고등학교에 부임한 김원규(金元圭) 교장은 김경일을 '사서교사'로 영입했다. 한국 학교도서관 역사에 큰 업적을 남긴 두 사람의 만남이었다. 전국의 이목을 집중시킨 경기고등학교 도서관은 이렇게 탄생했다.

해군사관학교 도서관에서 열람과장으로 일한 김경일은 당시 한국도서관협회 간사였다. 훗날 김경일은 한국도서관협회 사무국장을 지냈다. 사서교사 출신으로 한국도서관협회 사무국장을 역임한 사람은 김경일과 최근만(제물포고등학교) 두 사람뿐이다.

김원규 교장을 말할 때 서울고등학교를 빼놓을 수 없다. 서울고등학교는 1946년 지금의 경희궁 자리에 문을 열었다. 일제강점기 서울고등학교는 일본인 학생이 다니던 '경성중학교'였다. 김원규 교장은 신생 서울고등학교가 '명문'으로 발돋움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명문 서울고를 탄생시킨 주역
 

김원규황해도 출신인 그는 평양고등보통학교와 일본 유학을 거쳐 1929년부터 교사로 일했다. 1946년부터 1957년까지 서울중고등학교 교장을 지냈다. 엄격한 규칙과 정연한 질서를 강조하는 교육으로 서울중고등학교를 신흥 명문으로 키웠다. ⓒ <다시 태어나도 교육자의 길을>에서 재촬영


김원규는 1904년 5월 13일 황해도 웅진군 부민면 석동리 85번지에서 태어났다. 김원규는 옹진보통학교를 거쳐, 1925년 3월 7일 평양고등보통학교(평양고보) 사범과를 졸업했다. 그가 졸업한 평양고보는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지금의 경기고등학교)에 이어 두 번째로 문을 연 관립학교다.

평양고보는 경성제일고보와 함께 한강 이북에서 명문을 다퉜다. 경성제일고보와 평양고보에 이어, 세 번째로 문을 연 관립학교가 대구고보(지금의 경북고등학교)다. 국립도서관 초대 관장 이재욱이 대구고보를 졸업했다.

'평고'라 불린 평양고등보통학교는 나중에 평양제2중학교(평이중)로 바뀌었다. '평이중'은 일제강점기 일본 고등학교 진학률이 가장 높았던 학교다(일제는 식민지 조선에 대학 진학을 위해 거쳐야 할 '고등학교'를 설치하지 않았다). 김원규와 함께 학교도서관과 중등교육에 빛나는 자취를 남긴 길영희 교장 역시 '평고' 출신이다.

김원규는 평양고보를 졸업하고 1925년 일본으로 유학을 떠났다. 1929년 3월 그는 히로시마고등사범학교(廣島高等師範學校) 영문과를 졸업했다. 당시 히로시마고등사범은 도쿄고등사범과 함께 일본에서도 입학하기 어려운 학교로 유명했다.

조선으로 돌아온 김원규는 1929년 함흥농업학교와 1932년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지금의 경기여고)에서 교사로 일했다. 이화여대 음대 교수이자 피아니스트인 신재덕, 일본어 교재로 유명한 외국어대 박성원이 경성여고보 시절 그의 제자다. 훗날 '김극성'이라고 불린 그가 어찌나 열성적으로 학생을 가르쳤던지 이런 말이 나돌았다.

"경기고녀의 김원규냐, 김원규의 경기고녀냐."

김원규는 경성여고보 재직 시절인 1934년 11월 양부미와 결혼했다. 해방 직후인 1945년 그는 경기도 학무과장으로 일했다. 1950년부터 1952년까지 서울시 교육국장을 겸임한 시기에는 중학교 6년제를 중학교 3년, 고등학교 3년의 '3-3제'로 바꿨다.

대학교수까지 교사로 초빙한 서울고
 

경성중학교1909년 5월 22일 일본 고위층 자제를 위한 공립중학교로 문을 열었다. 학교 위치는 지금의 경희궁 자리다. 사진 속 경성중학교 건물 뒤로 경희궁 숭정전 지붕이 보인다. 경성중학교 건물은 해방 후 미군 항공부대가 사용했다. 미군 부대가 쓰던 건물을 넘겨받아 1946년 서울중고등학교가 문을 열었다. ⓒ 서울역사박물관


1946년 2월 1일 김원규는 '서울중학교'로 이름이 바뀐 이 학교에 초대 교장으로 부임했다. 뛰어난 교사를 초빙하기 위해 그는 '삼고초려'도 마다하지 않았다. '국보' 양주동(동국대 대학원장), 시인 조병화(인하대 부총장), 철학자 안병욱(숭실대 철학과 교수), 국어학자 남광우(인하대 교수), 소설가 황순원(경희대 교수), 조영식(경희대 총장), 이성삼(경희대 음대 학장), 서수준(경희대 음대 교수)이 서울교 교사로 재직했다.

심지어 미술 담당이었던 윤재우 선생은 서울고 교사로 오기 전에 조선대 교수였다. 대학교수를 고교 교사로 모셔온 것이다. 훗날 '신흥대학'을 인수한 조영식이 학교 이름을 '경희대학교'(慶熙大學校)로 바꾼 것도 경희궁(慶熙宮) 자리에 있었던 서울고 재직이 계기였다. '신흥무관학교'의 전통을 이어 출범한 신흥대학이 경희대로 이름을 바꾼 사연이다.

김원규 교장은 기라성 같은 인물을 선생으로 모시고, 학생 교육에 열과 성을 다했다. 그는 새벽에 일어나 누구보다 일찍 학교에 나왔다. 서울고 교정을 자기 집처럼 '티끌 하나 없이' 가꿨다. 서울고를 '한국의 이튼'으로 키우는 것이 김원규의 꿈이었다.

"워털루의 승전은 이튼스쿨의 교정에서 이루어진 것이다."(The battle of Waterloo was won on the playing-fields of Eton)

이튼 출신으로 나폴레옹을 격파한 웰링턴의 말이다. 김원규 교장은 '웰링턴 공작'(Duke of Wellington)이라 불린 아서 웰슬리(Arthur Wellesley)의 말을 학생들에게 자주 들려주곤 했다.

천하 준재의 요람을 꿈꾼 김원규

김원규의 호는 '해룡'(海龍)이다. '바다의 용'처럼 그는 이 나라, 아니 세계를 이끌 인재를 키우겠다는 웅대한 포부를 가졌다. 11년에 걸친 그의 노력으로 서울고등학교는 한국을 이끄는 '천하 준재'의 요람으로 자리 잡았다.

"어디 가서나 그 자리에 없어서는 안 될 사람이 되라"(隨處爲主)

김원규 교장이 학생에게 강조했다는 이 말은 지금도 학교의 슬로건으로 쓰인다. 그의 말은 '서울고의 정신'으로 회자되며 교정 곳곳에 새겨졌다. "우리의 기상, 우리의 사명, 우리의 이상"으로 끝을 맺는 서울고 교가도 김원규 교장이 직접 지었다.

김원규는 신생 학교인 서울고 학생들을 혹독하게 가르쳤다. 그에게 배운 제자들은 그의 교육이 '스파르타식 교육'이었다고 회고한다. 한때 서울고는 '신문로 감옥소'라고 불렸다. 이런 말이 돌 정도였다.

"서대문에는 형무소가 둘이 있다. 하나는 영천에 있는 서울형무소(지금의 서대문형무소)이고, 또 하나는 경희궁터에 있는 서울중학교다."

1회 졸업생의 98%, 2회 졸업생의 96%가 서울대학교에 진학했다. 김원규 교장 재임 시절 서울고는 서울대 합격자를 가장 많이 배출하는 신흥 명문이었다. "서울고의 본교가 서울대"라는 말이 우스갯소리로 들리지 않던 시기였다.

스파르타 전사처럼 자라난 서울고 인재들
 

경희동산 시절 서울고등학교1946년 문을 연 서울중고등학교는 경희궁 자리에 있었다. 학교 뒤로 인왕산의 모습이 선명하다. 1971년 중학교 평준화 시책에 따라 서울중학교는 폐교되었다. 정부의 명문고 강남 이전 정책에 따라 서울고는 경희궁 터를 떠나 1980년 6월 9일 서초동으로 이전했다. ⓒ 서울고 역사관에서 재촬영


김원규는 자신의 교육 스타일이 '스파르타식'이 아니라고 부인했지만, 그의 제자들이 '스파르타 전사'처럼 이 나라 핵심 인재로 자라난 것은 확실하다. 김원규 교장이 입시를 위한 '공부'만 강조했을 듯싶지만, 학생의 예체능 교육도 신경 썼다.

예능과 체육 분야도 신경을 써서 반드시 특별활동으로 한 가지씩 배우도록 했다. 서울고 출신 중에 문화·예술인이 유난히 많은 것은 이 때문이다. 배우 이순재, 오현경, 심양홍, 가수 서유석과 이장희, 영화감독 이장호와 배창호, 소설가 최인호가 서울고 출신이다. 배우 이순재는 인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사람으로 중학교 은사인 김원규 선생을 꼽았다.

김원규 교장은 시험 때 감독을 두지 않는 '무감독 시험'과 '무인 매점'을 운영하기도 했다. 제물포고등학교처럼 '무감독 시험'이 학교의 전통으로 자리 잡진 않았지만, 김원규 역시 자율적으로 운영되는 학교를 꿈꾼 교육자다.

서울고 교복은 왜 '군복'을 연상시킬까?
 

강재구 소령 흉상강재구는 1937년 인천에서 태어났다. 인천중학교와 서울고등학교를 졸업했다. 1960년 3월 육군사관학교 16기로 임관했다. 1965년 10월 4일 베트남 파병 부대 훈련 과정에서 부하가 놓친 수류탄에 몸을 던져 산화했다. 그의 정신을 기념하기 위해 모교였던 창영초등학교와 서울고에는 흉상이, 육사에는 동상이 세워졌다. ⓒ 백창민


서울고 교복은 유명하다. 이 교복 또한 김원규 교장이 만들었다. 그는 '전쟁이 나면 언제든지 참전할 수 있도록 교복을 제작하라'라는 지침을 내렸다. '군복'을 연상시키는 서울고등학교 '교복'은 이렇게 탄생했다.

실제로 서울고등학교는 한국전쟁 당시 서울에서 가장 많은 학도병 참전자와 전사자가 나온 학교다. 1회부터 8회 졸업생의 40%인 457명이 참전했고, 이 중 35명이 전장에서 숨졌다. 서울고 교정에 국가보훈처가 지정한 현충(顯忠) 시설이 4개나 있는 것은 이 때문이다.

김원규는 "대한민국에서 대학다운 대학은 육사 하나뿐이다"라는 말을 자주 했다. "육사는 단순한 군사학교가 아니다. 육사는 나라의 지도자를 양성하는 학교다. 학자가 되려거나 좋은 데 취직하고 싶다면 서울대에 가라. 하지만 나라를 위해 뭔가 해보고 싶다면 육사에 가라"라는 말을 하기도 했다. 김원규 교장은 수재라면 당연히 서울대에 진학해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깼다.

많은 서울고 학생이 그의 권유로 육군사관학교에 진학했다. 서울고는 한국전쟁 후 가장 많은 육사 생도를 배출한 학교다. 서울고 출신 중 1회부터 16회까지 별을 단 장성만 40명이다. 베트남 전쟁 파병 훈련장에서 수류탄을 몸으로 막으며 산화한 강재구 소령 역시 서울고 8회 졸업생이다.

강재구 소령보다 한 살 어린 박흥주 역시 서울고 출신으로 육사 18기다. 육사 18기의 선두주자였던 박흥주는 10.26 때 김재규의 거사에 함께 하며 박정희 체제를 무너뜨렸다.

세상에는 세 종류의 사람이 있다
 

서울고등학교 도서관도서관에서 공부 중인 학생의 교복이 눈길을 끈다. 밀리터리룩으로 보이는 하복은 지금도 서울고 교복으로 이어지고 있다. 서울고는 1956년 도서관을 개관해서 1964년 증축했다. 시인 조병화의 두 번째 시집 <하루만의 위안>도 서울고 도서관 2층에서 탄생했다. ⓒ <서울고등학교 50년사>에서 재촬영


서울고 전신인 경성중학교는 일제강점기 책이 많기로 유명했다. 해방 직후 경성중학교 책이 조선어학회에 팔려나갔다. 교장으로 부임한 김원규는 당국의 협조를 얻어 조선어학회가 사들인 학교 장서를 되찾아왔다. 청진동부터 경희궁 터까지 늘어선 학생들이 3천여 권의 책을 날랐다.

1956년 12월 7일 김원규 교장은 150명을 수용할 수 있는 '도서관'을 개관했다. 1964년 10월 1일 서울고는 증축 공사를 통해 도서관 면적을 100평 정도 넓혔다. 1980년 서초동으로 옮긴 서울고는 '인왕관'이라는 이름의 도서관을 독립건물로 따로 세웠다. 인왕산 기슭에 있었던 서울고 시절을 기억하기 위해 명명한 이름이다.

1957년 김원규 교장의 경기고 전임 소식이 알려지자, 서울고 교정은 울음바다가 되고 경기고에서는 환호성이 터졌다는 일화가 있다. 김원규 교장의 전임 소식 자체가 장안의 화제였다. 당시 서울의 양대 명문은 경기고와 서울고였다. 전통의 명문 경기고 조재호 교장과 신흥 명문 서울고 김원규 교장이 자리를 맞바꿨기 때문에, 세인의 비상한 관심을 모았다.

"우리나라는 물자도 없고 돈도 없는 가난한 나라다. 없는 돈은 다른 나라에서 빌려올 수 있지만, 사람만은 남의 나라 사람을 빌려다가 우리나라 사람으로 만들 수 없다. 우리나라에서 사람처럼 중요한 것이 없다. 우리나라를 구할 수 있는 사람, 그 사람들을 어디서 찾겠느냐. 제군들이 곧 그 사람들이다."

김원규 교장이 경기고등학교 교지인 <주간경기> 1958년 2월 28일 자에 쓴 글이다. 경기고 졸업식에서 그가 했던 말도 있다.

"세상에는 세 종류의 사람이 있다. 있어서는 안 될 사람, 있으나 마나 한 사람, 꼭 있어야 할 사람이다. 여러분은 꼭 있어야 할 사람이 되어야 한다."

- 2편 제물포고와 서울고 출신 노벨상 수상자 내기한 교장들로 이어집니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①편과 ②편 2개의 기사로 나뉘어 있습니다. 이 글은 ①편입니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