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곧 환갑인데... 21학번 대학생이 되었습니다

아동심리상담학을 공부하게 되기까지... 제 공부가 쓸모 있길 바랍니다

등록|2021.04.24 16:41 수정|2021.04.24 16:41
지난 3월 초 주말 아침, 대학교 오리엔테이션에 가기 위해 가족들의 배웅을 받으며 나는 학교로 향했다. 공부는 교수님 강의 잘 듣고, 교재 잘 읽고, 시험 잘 보면 되는 것이라고 스스로 다짐하며 학교로 향하는 길, 나는 학생이 되었다.

20대부터 60대까지 모인 강의실
 

▲ 나는 학생이 되었다. ⓒ elements.envato


처음으로 만날 학우들은 어떤 사람들일까? 나이가 가장 많아 혹시 왕언니라 불리지는 않을까? 설렘 반 걱정 반으로 들어선 강의실, 모두 나와 같은 생각을 하면서 첫 등교를 한 사람들, 그들의 평균 나이는 50이었다. 나는 평균을 훨씬 웃도는 왕언니 급에 속했으나 정작 왕언니는 대전에서 새벽밥을 먹고 오시는 66세의 학우였다.

손주를 둔 학우부터 맡길 곳이 없어 간혹 아이 둘을 데리고 오는 젊은 엄마, 소를 키우는 농장주, 건축 현장에서 일하는 학우 등 20대부터 60대까지 모인 강의실, 도대체 이 조합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모를 정도로 다양한 이유와 목표를 가지고 모인 사람들로 구성되었다. 내가 다니는 지역 대학교의 아동 심리상담학과 이야기다.

코로나19 이전까지 독서 논술 수업을 하면서 많은 아이와 학부모를 만났다. 나름 창의적인 직업이라 여겼고, 자부심 또한 컸다. 책 읽고, 생각 나누고, 생각을 글로 적어 공유하는 수업임에도 아이들은 정작 책 읽기나 글쓰기가 아닌 자신의 얘기를 하고 싶어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학교에 앉아 공부하고 있으면 자꾸 눈물이 나요."
"저는 아빠처럼 포클레인 타는 사람이 되고 싶은데 엄마는 나한테 미쳤대요."
"엄마 아빠가 매일 싸워요. 돈 때문에 그렇대요."
"아빠가 어제 제 뺨을 때렸어요."
"맨날 혼자 있어야 하는 집에 들어가기 싫어요."
"이불을 생각하면 고모 냄새가 나는 것 같아요."


차분하게 대화를 나누기에 바쁜 아이들이었다. 시간이 한정되어 있다 보니 생각 나눔은 나아가지 않았다. 나 역시 아이들의 고민과 호기심, 그리움과 슬픔, 두려움 등에 대하여 충분하게 전달하지 못한다는 것에 관한 생각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코로나19는 내게 큰 변화를 가져왔다. 도서관 수업을 나가지 못하고 수업은 중단되었다. 아이들이 보고 싶고, 뒷이야기도 나누고 싶고, 안부도 궁금했다. 하지만 그럴 수 없었다. 아이들을 만나지 못하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지금까지의 삶과 이후의 내 삶을 어떻게 꾸려나가야 할지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판단을 하게 되었다.

마침 공부할 기회가 왔을 때 하고 싶었던 공부를 하자는 결론을 내렸다. 아이들을 대하는 데 있어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방법으로, 또는 예전하고는 다른 방식으로 만나고 싶었다. 도서관이 아니어도 사회 구석구석 도와야 하는 아이가 많다는 사실을 공부하면서 알게 되었다. 이제 아이들을 직접 찾아 나서고 싶다.

학교 공부를 마치면 조금 더 성숙한 모습을 볼 수 있을 것 같다. 누군가의 마음을 들여다보고, 관심과 지지의 끈을 놓지 않는 사람으로 해야 할 역할이 주어질 것이라는 믿음으로 열심히 공부하고 싶다.

아동심리상담학 공부는 새삼 지나온 내 육아를 돌아보게 하는 점이 가장 큰 매력인 것 같다. 임신, 출산, 육아의 삶이 얼마나 소중하고 귀했던 일이었는지 알게 하고, 내가 놓쳤던 육아에 대한 상식과 지혜를 이론으로 배우면서 주변의 아이와 엄마를 눈여겨보게 되었다.

조카 아이의 백일 선물은 포대기
 

▲ 조카 아기의 백일 떡 ⓒ 김정희


며칠 전 이웃에 사는 조카 집에서 백일 떡을 받았다. 하얗고 따뜻한 온기가 있는 떡을 받으니 가슴이 뭉클하며 벅찬 감정이 차올랐다. 아! 아기들은 이렇게 계속 태어나고 있고 태어나야 하는구나.

코로나19 상황에서도 건강하게 태어나 우리 곁에 다가온 세상 귀한 아기! 아직 사진으로밖에 보지 못했다. 서로가 조심해야 하는 상황이니까 말이다. 그런데도 아기는 꿋꿋하게 제 백일 떡을 돌렸다. 얼마나 장한 일인가.

누군가는 말한다. 코로나19 와중에 태어난 아이들은 마스크 쓴 엄마의 모습이 본래 엄마의 모습이라고 생각하면 어쩌냐고. 괜찮다. 세상을 살아갈 아기들을 지켜주고 믿어주며 지지해 줄 어른은 많으니 말이다.

조카 아이의 백일 선물을 고민했다. 뭔가 의미 있는 선물은 없을까? 왜냐하면, 어떤 선물보다 귀한 선물이어야 하니까. 내가 한 선물은 포대기였다.
 

▲ 예전에 아기 키울 때 기억을 더듬으며 그린 포대기 ⓒ 김정희


'아동발달' 수업 과제로 들은 영상 하나가 내 마음을 움직였다. 'EBS 다큐프라임 오래된 미래 –전통 육아의 비밀'이란 프로그램이다. 유럽이나 미국 등 세계 각국에서 우리나라 포대기 육아법이 주목을 받는다고 한다. 포대기의 효과를 입증하는 관련 학자들의 의견과 실제로 포대기 육아를 하는 엄마들의 인터뷰가 나왔다.

그러나 정작 우리나라에서는 옛날 육아 방식에 불과하다고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고 한다. 엄마들이 가장 크게 염려하는 부분은 포대기로 업어서 키우면 아기 다리가 휠 것이라 염려하는 것이었다. 인터뷰한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에 의하면 '근거 없는 속설'이라고 했다.

아기가 칭얼거릴 때, 뭔가 집안일이 급할 때, 아기를 등에 업고 잠깐씩 움직이다 보면 아기는 아기대로 엄마의 등에서 엄마가 하는 일도 바라볼 수 있고 엄마의 동선을 따라서 움직이게 되고 나름의 사회성도 기를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포대기의 가장 큰 장점은 엄마와 아기의 친밀하고 따뜻한 '애착 형성'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백일 떡을 돌린 아기의 성장을 옆에서 지켜보면서 내 공부의 효과도 더 클 것 같은 예감이 든다. 비록 코 수건을 달지는 않았으나 공부하는 학생인 나 역시 모든 걸 처음부터 시작하는 걸음마 단계에 서 있기 때문이다.

아이는 세상 사람 모두가 힘을 합쳐 키워내는 것이라고 하는데, 늦게 시작한 공부지만 열심히 배워 내가 하는 공부가 어딘가에 쓸모 있는 배움이기를 바란다.
덧붙이는 글 이 글은 개인 브런치에도 실립니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