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댐 홍수관리 소통회의'로 수공-지자체-주민간 협력 강화

4월 13일부터 다목적댐 20곳에서 회의 개최... 홍수관리 위한 협력체계 구축

등록|2021.05.10 14:05 수정|2021.05.10 14:05

▲ 환경부 청사 ⓒ 김병기


지난 4월 13일에서 23일까지 열흘간 전국 다목적댐 20곳에서 지자체와 지역주민 등이 참여하는 '댐 홍수관리 소통회의'가 개최됐다. 환경부는 이같은 과정을 통해 올해 댐 홍수관리를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했다고 10일 밝혔다.

환경부에 따르면 소통회의는 댐 수탁관리자인 한국수자원공사가 주관했고, 다목적댐 20곳 상·하류 지역에 소재한 49개 지자체와 지자체별 주민대표 등이 참석했다. 또 댐 홍수관리와 관련된 홍수통제소, 지방국토관리청, 유역(지방)환경청 등도 소통회의에 참석했다.

환경부는 "댐 홍수관리 소통회의를 통해 도출된 홍수기 댐 운영계획, 댐 방류 제약사항 해소방안과 관련된 다양한 개선의견을 향후 댐 운영관리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환경부에 따르면 개선의견으로 '수문 방류 시 발송되는 문자(SMS)의 내용을 이해하기 쉽도록 개선' '홍수 발생시 인명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주민대피 등을 위한 댐 하류 지역 계도 철저' '댐 방류 제약사항 해소' 등의 요구가 있었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홍수 발생 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관계기관과 지속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댐 방류 제약사항 해소와 홍수 시 신속한 주민대피 등을 위해 지장물, 배수시설, 침수취약지역, 공사현장, 제방 등으로 분류한 댐 방류 제약사항 조사 결과를 지방국토관리청, 지자체 등 관계기관에 제공하고 댐 홍수관리에 적극적인 협조를 구할 예정이다.

홍정기 환경부 차관은 "이번 댐 홍수관리 소통회의는 댐 운영에 직접 영향을 받는 댐 상·하류 지자체, 지역주민 등과 협조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개최됐다"며 "소통회의에서 논의된 내용은 댐 홍수관리 정책에 적극 반영하고 관계기관과 긴밀한 협조체계를 유지하는 등 올해 홍수기 대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