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이한열이 5.18 묘역에 잠든 이유 들려줄 수 있어야

[아이들은 나의 스승] 어느 해보다 뜨거웠던 1987년 6월, 아이들은 어떻게 기억할까

등록|2021.06.09 13:56 수정|2021.06.09 13:56

▲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가 치러진 지난 3일 한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이 시험을 치르고 있다. ⓒ 연합뉴스


고등학교에서 한국사를 가르치면서 정말 힘든 게 하나 있다. 교과서에 수록된 역사적 사건들을 인과 관계로 엮어내기가 쉽지 않다는 것. 워낙 방대한 분량을 다루고 있는 탓이다. 시대순으로 나열된 단원별 사건의 이름을 따라가기도 벅차다. 아이들에게 한국사는 '악명 높은' 암기 과목이다.

절대평가 체제인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에 대한 부담은 크지 않지만, 여전히 내신 성적은 9등급으로 매겨져 포기할 순 없다. 학교 시험에서 수능과 비슷한 난이도로 출제했다간 등급 구분이 힘들어져 애를 먹게 된다. 변별력을 높일수록 성적이 양극화하고 교과에 대한 흥미가 떨어지는 악순환이다.

한국사만의 문제는 아닐 테다. 다만 암기 과목으로 낙인찍힌 한국사 과목은 소수의 마니아층을 제외하곤 좋아하는 아이가 없다. 쉬운 수능과 절대평가 체제는 내실 있는 수업을 위한 최소한의 필요조건일 뿐 충분조건은 아니다. 암기 과목이라는 꼬리표는 떼어내기란 쉽지 않다.

내신 성적에도 절대평가 체제를 도입하면 암기 과목이라는 멍에를 벗게 될까. 친구들끼리의 맹목적인 등급 경쟁이 사라지고 학습 부담이 크게 완화되겠지만, 그로 인해 아이들이 한국사를 좋아하게 될 것 같진 않다. 그저 '분량이 줄어든' 암기 과목 정도로 여기게 될 듯하다.

절대평가 체제 등 시험에 대한 부담을 줄이는 정책의 방향이 옳다는 건 두말할 나위가 없다. 다만 그보다 백 배 더 중요한 건 교과서의 내용을 재구성해 가르치려는 교사의 노력이다. 쉬운 수능에 기대어 출제될 게 뻔한 내용 몇 개 던져주고 마는 수업이라면 명백한 직무 유기다.

교과서는 유용한 도구일 뿐 수업은 교사의 말과 몸짓을 통해 이루어진다. 교과서의 내용을 곧이곧대로 읊어주는 거라면 굳이 교사가 필요 없을 것이다. 그럴 거면, 스스로 교과서를 읽고 모르는 구절이 나오면 인터넷 검색을 통해 해결하면 된다. 수업 시간 교사의 역할은 따로 있다.

교실 수업의 혁신이 무엇보다 중요한 이유

한국사 교사라면, 아이들에게 시대순으로 나열된 사건들의 인과 관계를 이해시킬 수 있어야 한다. 솔직히 문제를 맞히는 데는 이름과 간략한 내용 정도만 알아도 별 지장이 없다. 그러나 역사 교육의 고갱이를 고민하는 교사라면, 수업이 끝나고 교실을 나올 때 뒤통수가 따가울 것이다.

인과 관계의 이해는 한국사가 암기 과목이라는 뿌리 깊은 편견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유일한 방책이다. 태정태세문단세, 조선왕조 역대 왕을 익숙한 멜로디에 얹어 외우도록 하는 건 지금도 여전한 것 같다. 앞 글자만 따서 무작정 외우거나, 심지어 말장난을 섞어 역사를 이해하는 아이들도 있다.

이를테면 이런 식이다. '조의'를 표한 '제문'에 연산군이 "뭐!"라고 분노해서 '무오'사화를 일으켰고, 어머니를 죽인 아버지 이야기에 '갑자기' 놀라 '갑자'사화가 일어났다는 식으로 암기한다. 오로지 시험 문제를 맞히기 위한 아이들의 기발한 아이디어이자 처절한 몸부림이다.

칭찬하진 못할망정 그들의 암기법을 나무랄 일은 아니다. 정작 그렇게 해서라도 머릿속에 욱여넣어야만 하는 지식을 요구하는 문제가 문제다. 그렇다고 출제자를 원망할 것도 없다. 선다형 시험에서 정답에 의심의 여지를 없애려면 단순 암기를 요하는 문제를 낼 수밖에 없다.

이렇듯 암기에 길들어진 아이들에게 모든 역사적 사건은 '갑툭튀'다. 출제될 내용이 뻔한 마당에 사건마다 다양한 인과 관계를 파악하는 건 귀찮고도 힘든 일이다. 굳이 알 필요도 없는 일에 금쪽같은 시간을 할애할 수험생은 없다. 교실 수업의 혁신이 무엇보다 중요한 이유다.

요즘 6월 민주항쟁(이하 6월 항쟁) 34주년을 즈음해 수업 시작 전 짤막하게 항쟁의 의의를 나누고 있다. 고3의 경우, 모의평가는 물론 수능에서도 심심찮게 출제되는 내용이어서 6월 항쟁을 생소해하는 아이는 없다. 아이들은 무조건 반사처럼 '호헌 철폐'와 '6.29 선언', '직선제 개헌'이라는 용어가 곧장 튀어나왔다.

지난 3일 치러진 교육과정평가원 주관 6월 수능 모의평가의 마지막 20번 문항도 6월 항쟁에 관련된 것이었다. 한 아이는 워낙 자주 출제되는 '단골 문제'라 틀린 친구가 단 한 명도 없을 거라고 장담했다. 지문의 박종철이라는 이름만 보고도 정답을 맞힐 수 있다며 너스레를 떨기도 했다.

시험에 길들어져 생긴 해악

그런데, 6월 항쟁이 일어난 배경에 관해 설명할 수 있는 아이는 많지 않다. 대다수는 그저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으로 독재정권의 잔학성이 드러난 게 가장 중요한 원인인 줄로 안다. 당시 박종철이 고문으로 죽지만 않았어도 항쟁은 일어나지 않았으리라 여기는 것이다.

"지문의 마지막에 전두환이라는 이름이 나와서 하마터면 5.18 민주화운동에 관한 내용인 줄 착각할 뻔했어요. 만약, 오지선다 중 5.18 관련 내용이 들어있었다면 저는 틀렸을 것 같아요."

한 아이의 이 솔직한 고백이 이 글을 쓰게 된 동기다. 그는 전두환과 6월 항쟁이 서로 직접적 관련성이 없다고 잘못 알고 있었다. 되짚어보면, 6월 항쟁을 다룬 수능과 모의평가의 지문에서 독재정권으로 눙칠 뿐 전두환이라는 이름을 직접 거론한 경우는 거의 없었던 것 같다.

아이들은 전두환 하면 신군부를, 신군부 하면 5.18을 본능적으로 떠올린다. 그 정도만 알아도 정답을 찾는 데에 무리가 없다. 신군부가 지문에 등장하면 5.18이 정답이고, 반대로 5.18이 지문에 언급되면 신군부가 정답이다. 지금껏 수능과 모의평가에서 예외는 없었다.

변별력을 조금 높인 경우, 지문에 10.26 사태나 12.12 쿠데타까지 거론하기도 하지만 어차피 정답은 똑같다. 최고의 난이도는 일련의 사건들을 시대순으로 배열하라는 문제다. 제시된 사건들의 관련성, 곧 인과 관계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니 눈치껏 찍는 수밖에 없다.

시험에 길들어져 생긴 해악이다. 시험에 공부가 철저히 종속돼 있다 보니, 교사들조차 그 밖의 내용을 굳이 가르칠 필요도 이유도 없다고 생각한다. 그럴 시간에 차라리 출제 빈도가 높은 부분을 반복하는 게 점수를 높이는 데에 훨씬 보탬이 된다고 선선히 말한다.

교과서에는 엄연히 5.18 이후 전두환 독재정권에 맞선 시민들의 줄기찬 저항이 서술돼 있다. 하지만 수업 시간에 대충이라도 언급하는 법이 없어 5.18에 대해 배운 뒤 곧장 6월 항쟁으로 넘어간다. 아이들의 머릿속엔 1980년에서 1987년 사이의 역사가 통째로 비어있는 꼴이다.

아이들이 떠올리는 1980년대의 역사는 신군부가 5.18을 폭력 진압했고,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으로 일어난 6월 항쟁 결과 직선제 개헌이 이루어졌다는 게 사실상 전부다. 수능과 모의평가에서 요구하는 딱 그 수준이다. 5.18과 6월 항쟁의 인과 관계를 따져볼 여유가 없다.

모든 역사적 사건을 다룰 순 없지만
 

▲ 정세균 전 국무총리가 5·18 민주화운동 41주년을 맞은 18일 오전 광주 북구 망월동 5·18구묘역을 찾아 87항쟁 당시 숨진 이한열 열사의 묘소를 참배하고 있다. 왼쪽 첫 번째는 이 열사의 어머니인 배은심 여사. ⓒ 연합뉴스


예상은 했지만, 두 사건 사이의 7년 동안 우리 사회가 겪었던 역사적 사건을 단 하나라도 제시한 아이가 없었다. 그들 중 이번 6월 모의평가의 20번 문제를 틀린 경우가 없었지만, 5.18과 6월 항쟁을 누구도 연결 짓지 못했다. 시험 핑계로 가르치지 않았으니 누가 누굴 탓하랴.

불량배 소탕을 빌미로 인권을 짓밟은 삼청교육대를 유신 정권 때의 일로 여기는가 하면, '땡전 뉴스'의 의미에 대해서도 알지 못했다. 프로야구를 출범시킨 것도 정치적 관심을 돌리려는 술책이라는 말에도 연신 고개를 갸웃거렸다. 심지어 '녹화사업'은 식목일 캠페인 아니냐며 반문하기도 했다.

1980년대 내내 5.18 진상규명을 주장하며 숱한 청년 학생들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는 사실도, 미국의 책임을 묻기 위해 미문화원 방화 사건이 일어났다는 것도, 민주화에 대한 시민들의 열망에 호응해 정치인들이 민주화추진협의회를 결성했다는 것도 죄다 금시초문이라는 눈치였다. 부천 경찰서 성고문 사건을 일제가 저지른 만행인 줄로 아는 아이도 있었다.

시민들의 저항을 억누르기 위한 정권의 치졸한 조작 사건들도 생소해했다. 간첩단 조작 사건을 일삼고 북한이 수공(水攻)을 위해 금강산 댐을 만든다는 가짜 뉴스를 퍼뜨렸다는 사실은 믿기 힘들어했다. 나 역시 언론의 보도를 믿고 '평화의 댐' 성금 모금에 앞장섰다고 했더니, 아이들은 당시 고1이었다면서 왜 그리 어리숙했냐며 키득거리기도 했다.

한정된 수업 시간에 모든 역사적 사건을 다룰 순 없다. 역사학자들에 의한 취사선택은 불가피하다. 그들에 의해 합의된 취사선택의 최대치가 교과서에 수록된 내용이다. 그걸 수업 시간에 재구성하는 건 온전히 교사의 몫이다. 재구성의 기준은 사건의 맥락적 인과 관계여야 한다.

요컨대, 아이들에게 6월 항쟁을 제대로 이해시키려면, 전두환 독재정권이 시민들의 민주화 요구를 억누르기 위해 삼청교육대와 녹화사업을 강행하고 프로야구를 출범시켰다는 걸 반드시 가르쳐야 한다. 심지어 남북 분단 상황을 이용해 온갖 조작 사건을 서슴지 않았던 권력의 치부를 드러내야 한다.

무엇보다 5.18 진상규명을 위한 외침이 80년대 민주화 운동의 뿌리였다는 사실을 깨닫도록 해야 한다. 6월 항쟁을 통한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성취는 5.18에 빚졌다. 6월 항쟁의 상징적 인물인 이한열이 5.18 묘역에 잠들어 있는 이유를 아이들에게 명확히 들려줄 수 있어야 한다. 교사라면 마땅히 그래야 한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