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아버지 죽게 할 마음으로 의도적 방치" 20대 항소기각

재판부 "아버지가 삶의 의지 있음에도 방치해 사망"... 원심과 같은 징역 4년 선고

등록|2021.11.10 16:32 수정|2021.11.10 16:32

▲ 대구고등법원. ⓒ 조정훈


중병으로 거동이 불가능한 아버지를 장기간 방치해 숨지게 한 혐의(존속살해)로 기소된 A(22)씨에게 항소심에서도 원심과 같은 징역 4년형이 선고됐다.

대구고법 형사2부(부장판사 양영희)는 10일 열린 항소심 재판에서 A씨의 항소를 기각했다.

A씨는 아버지 B(56)씨가 지난해 9월께부터 심부뇌내출혈 및 지주막하출혈 증세로 입원해 치료를 받던 중 치료비를 부담하기 어려워지자 지난 4월 B씨를 퇴원시켰다.

A씨는 아버지가 팔다리 마비 증상으로 거동할 수 없음에도 퇴원 이튿날부터 처방약을 주지 않았다. 또 치료식도 정량보다 적게 주다 5월 1일부터는 치료식과 물, 처방약을 주지 않았고 결국 아버지 B씨는 영양실조로 숨졌다.

B씨는 퇴원 후 혼자서는 거동할 수 없는 상태였고 정상적인 음식 섭취가 불가능해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는 생명을 유지할 수 없었다.

검찰은 B씨의 사인이 영양실조 상태에서 폐렴과 폐혈증 등이 발병해 사망에 이른 것으로 추정했다. 1심에서 A씨는 존속살해 고의가 없었다고 주장했지만 재판부가 받아들이지 않자 사실오인 및 양형부당을 이유로 항소했다.

항소심 재판부는 A씨가 검찰 수사 단계에서 3차례에 걸쳐 진술한 내용이 일관성이 있을 뿐 아니라 신빙성이 높다고 봤다. 경찰에서의 진술도 꾸며내기 어려울 정도로 구체적이고 자연스러워 압박 등으로 인한 허위 자백으로 볼 수 없다는 점도 들었다.

재판부는 "아버지가 입원 중일 때 삼촌이 생계지원, 장애지원 등을 받으라며 관련 절차를 알려주었지만 주민센터 등을 방문하거나 지원을 받기 위한 노력을 한 적이 없다"며 "아버지가 삶의 의지가 있는 상태였다"고 말했다.

또 "아버지가 친할머니가 비슷한 병으로 돌아가신 후 '내가 이렇게 되면 치료하지 말고 그냥 둬라'고 한 적은 있으나 쓰러진 이후에 그렇게 말한 적은 없다"며 "아버지가 육성으로 '아들아'하고 도움을 청했음에도 방치했다"고 지적했다.

재판부는 "피고인이 피해자를 퇴원시킨 다음날부터 피해자를 죽게 할 마음을 먹고 의도적으로 방치했다는 점이 인정된다"며 "피고인에게 살인의 고의가 있었다고 본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다"고 설명했다.

다만 "피고인이 어린 나이로 아무런 경제적 능력이 없는 상황에서 피해자를 기약 없이 간병해야 하는 부담을 홀로 떠안게 되자 미숙한 판단으로 범행을 결심하게 된 것으로 보이는 점과 피고인이 초범인 점" 등을 고려했다고 밝혔다.

존속살해죄의 법정형은 최고 사형, 무기징역, 7년 이상의 유기징역이다. 법률적 감경 사유가 없는 한 법원이 선고할 수 있는 가장 낮은 형은 징역 3년 6개월이고 3년이 초과하는 형에 대해서는 집행유예가 허용되지 않는다.

이 사건은 언론에서 집중보도되며 주목을 받았고 A씨의 선처를 구하는 탄원서 서명만 6000건이 넘었다.

우리복지시민연합은 10일 성명을 통해 "이 청년의 죄는 단지 개인이 짊어질 문제가 아니라 언제든지 '메디컬 푸어'로 추락할 수 있는 모든 계층의 문제이고 초고령사회에서 언제든지 부딪힐 수 있는 우리 사회 구성원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현행 제도로는 간병 문제를 해결할 맞춤형 복지는 없다"며 "간병살인의 비극이 되풀이되기 전에 정부와 국회는 제도 개선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촉구했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