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호치민은 어째서 일본에 맞서 싸웠는가?

일본 제국주의의 실상을 알았던 베트남의 호치민

등록|2022.05.19 14:29 수정|2022.05.19 14:29

호치민베트남의 독립운동가이자 현재 베트남에서 국부로써, 존경받고 있는 인물이다. ⓒ 위키피디아


5월 19일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두 인물의 생일이다. 한명은 미국의 흑인인권운동가인 말콤X고, 다른 한명은 현재까지도 베트남의 국부로 존경받고 있는 호치민(Ho Chi Minh)이다. 베트남 전쟁 당시 미국에 맞서 저항했던 호치민은 베트남이 프랑스의 식민지배를 받던 시기, 독립운동을 전개했던 인물이다. 그는 젊은 시절 베트남을 떠나 30년간 해외에서 견문을 쌓았고, 1930년 베트남 공산당을 창당했으며, 이후 일본과 프랑스 그리고 미국에 맞서 베트남이 독립을 쟁취하는 데 큰 기여를 했다. 이러한 호치민의 행적은 현재까지도 수많은 베트남인들이 그를 존경하는 이유일 것이다.

그러나 호치민이라는 인물이 과거 일본에 맞서 독립운동을 벌였고, 그 과정에서 대중적인 지지를 확보한 인물이라는 사실을 아는 이들은 그리 많지 않다. 따라서 이 글에선 호치민이 어떻게 항일독립운동을 했고, 그랬던 이유가 무엇인지 얘기해보고자 한다.

일본의 점령과 호치민과 베트민의 독립운동

1939년 히틀러가 폴란드를 침공하면서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했다. 1940년 6월 나치 독일은 마지노선을 돌파하여 프랑스를 점령했고, 영국까지 위협했다. 당시 나치의 동맹세력이던 일본은 동남아시아에 있는 프랑스령 식민지가 무주공산이 되자 인도차이나 반도를 침공했고, 베트남은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지 지배를 받게 됐다.

1940년 일본의 식민 통치가 시작되자, 적잖은 베트남인들이 일본군을 해방군으로 환영하기도 했었다. 물론 이러한 현상은 단순히 베트남에서만 벌어졌던 것은 아니다. 버마 독립의 아버지 아웅산이나 인도네시아의 수카르노 또한 일본 점령 초기 이들과 협력하여 기존의 서구 식민지 지배에 저항하고자 했었다. 마찬가지로 남베트남의 초대 대통령이 되는 응오딘지엠 또한 당시 그러한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물론 이들이 일본 제국주의의 현실을 깨닫는 데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호치민과 보 응우옌 잡1940년에 첫 만남을 가진 이들은 1941년 베트민을 창설하여 항불 항일투쟁을 전개했다. 이후 이들은 프랑스와 미국의 침략을 무찌르고 궁극적으로 베트남의 통일을 이룩하는데 큰 기여를 했다. ⓒ 위키피디아


그러나 호치민은 달랐다. 그는 일본군이 베트남에 진주한 시점부터 일본 또한 프랑스와 다를 바 없는 제국주의 세력으로 간주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호치민은 대중들을 결집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발언을 했었다.
 
 "모든 애국자, 농부, 노동자, 상인, 군인들이여! 단결하여 프랑스와 일본 제국주의자들 그리고 그 협력자들을 물리칠 때가 왔습니다."

- PBS Vietnam War 2017

1941년 호치민은 베트남을 떠난 지, 30년만에 귀국하여 중월국경지대인 까오방 지역에서 베트남 독립을 위한 실질적인 조직 창설작업에 들어갔다. '팍 보(Pac Bo)'라고 불린 동굴에서 호치민은 베트남독립동맹회(Việt Nam Độc Lập Đồng Minh Hội) 즉 베트민(Viet Minh)을 창설했고, 베트민 안에 독립군을 만들어 일본과 프랑스에 맞서 싸우고자 했다. 당시 창설된 베트민의 강령에는 다음과 같은 강령이 들어가 있다.
 
"일본-프랑스 파시스트제국주의자들을 타도한 그날이 오면 새로운 민주주의의 정신에 입각하여 베트남민주공화국의 혁명 정부를 수립하고 금성홍기를 국기로 할 것이다."

실제로 호치민이 창설한 베트민은 일본군에 맞서 무장투쟁을 벌였다. 1945년 5월 찬수로 전투에서는 최소 60명 이상의 일본군을 사살하는 전과를 올렸으며, 정치투쟁과 무장투쟁을 전개하며 군대를 양성했다. 일본이 패망하던 시점에 베트민의 병력은 대략 1만 명으로 증가했다.
 

미군 OSS에서 총기훈련을 받는 베트민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가던 1945년 미국의 OSS는 대일전을 위해 베트민을 훈련시켰다. ⓒ The National WWII Museum


또한 일본의 잔인한 공출과 착취로 인해 대기근이 발생하여 100~200만 명 이상의 베트남인이 아사하는 사태가 벌어지자, 베트민은 일본군의 창고와 기지를 습격하여 농민들에게 쌀을 나눠줬다. 이 덕분에 베트민은 대중적인 지지를 확보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호치민은 태평양 전쟁 와중에 미국의 OSS와 접촉하여 이들과 대일전을 준비하기도 했으며, 미국의 OSS는 베트민 병력 중 최소 200명 이상을 최정예 부대로 훈련시켰다.

보 응우옌 잡이 이끄는 베트민 부대는 미군의 무기로 무장한 뒤, OSS와 협력하여 몇개의 일본군 외곽 초소를 공격했으며, 이것이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가는 와중에 미국 OSS와 베트민이 치렀던 대일전이었다. 일본이 항복할 기미가 보이자, 호치민은 전국적인 총봉기를 단행하여, 베트남 전역을 장악했고 일본군을 무장해제 시켰으며, 1945년 9월 2일 하노이 바딘광장에서 베트남의 독립을 선언했다. 이것이 바로 호치민이 전개했던 항일무장투쟁이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독립운동가의 영향을 받았던 호치민
 

호치민과 보 응우옌 잡 그리고 OSS 대원들1945년 당시 찍은 사진으로 추정된다. ⓒ 위키피디아


4.27 남북정상회담과 6.12 북미정상회담이 있던 2018년 국내에서는 호치민에 대한 새로운 자료가 기사화된 적이 있다. 그것은 바로 젊은 시절 호치민이 대한민국임시정부 인사들과 프랑스 파리에서 교류했던 행적이다. 프랑스 경찰이 작성한 자료에 따르면 호치민은 한국 임시정부 파리위원부 소속의 김규식을 비롯해 황기환, 조소앙, 윤해 등과 교류했으며, 이들과의 교류를 통해 일본 제국주의의 실상을 알았다고 한다.

당시 호치민이 교류했던 임시정부 인사들은 우드로 윌슨의 민족자결주의에 영향을 받아 독립을 청원하기 위해 파리로 왔던 한국의 독립운동가들이었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호치민은 일본 제국주의의 실상을 제대로 알 수 있었던 것이다. 그 외에도 호치민은 1926년 1월 광저우에서 열린 중국 국민당 제2차 전국대표대회에서 몽양 여운형과 더불어 아시아인 대표 중 한 사람으로서 연설에 참여했었다.
 

베트남 독립 선언문을 낭독하는 호치민의 상상화1945년 9월 2일 호치민은 하노이 바딘광장에서 베트남 독립을 선언했다. ⓒ tapchicongsan


호치민을 연구한 미국의 역사학자 윌리엄 J. 듀이커는 <호치민 평전>을 2000년에 출간했다. 국내에는 2003년에 푸른숲에서 번역했다. 듀이커가 쓴 <호치민 평전>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온다.
 
"안남애국자 연합은 표면적으로는 급진적 목표를 내걸지 않았다. 실제로 조직의 창립자들은 베트남인 공동체 내에서 광범위한 지지를 얻고 당국의 의심을 피하기위해 그런 방향으로 가지 않으려 했다. 조직의 명칭에 전통적인 '베트남' 대신 '안남'이라는 말을 쓴 것도 정부에 이 조직이 식민지 체제에 심각한 위협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신호를 보내려는 의도였을 것이다. 그러나 타인(호치민 예전 이름)은 처음부터 이 연합을 이용하여 베트남인 공동체를 인도차이나 식민지 체제에 대항하는 효율적인 세력으로 전환하려고 마음먹고 있었다. 그는 이미 조선인이나 튀니지인 등, 식민지 통치로부터 독립하기 위해 그들 나름으로 비슷한 조직을 세운 다른 민족 단체와 접촉하고 있었다."

- 호치민 평전 p.108  

듀이커는 당시 호치민이 '인도차이나와 조선'이라는 글을 르 포퓔레르에 기고했으며, 프랑스의 식민주의를 비판했다고 한다. 아래의 내용은 책에 있는 내용을 인용한 것이다.
 
"응우옌 아이 쿠옥은 이 글에 이어 '인도차이나와 조선'이라는 글을 르 포퓔레르(Le Populaire)에 실었고, 이어 10월에 같은 잡지에 '우트레 씨에게 보내는 편지'를 실었다. 앞의 글과 마찬가지로 이 두 글 역시 프랑스의 몇몇 정책을 호되게 비판하면서도, 제시하는 해결책은 기본적으로 온건했다."

- 호치민 평전 p.120

듀이커의 <호치민 평전>에 나오는 통해 당시 호치민이 일본의 식민지 지배가 어떠한 상황인지 알고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호치민이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다른 동남아시아의 독립운동가들과 달리 처음부터 일본에 저항하는 노선을 선택했던 이유에는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였고,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독립운동가들과의 교류는 그만큼 현명한 선택을 호치민으로 하여금 하게 만들었다고 할 수 있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