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윤 대통령, '윤핵관' 등 측근과 거리 둬야" 73%

[전국지표조사] "관계 유지" 의견의 약 5.2배, 여당 지지층들도 "거리두기" 주문

등록|2022.08.25 11:46 수정|2022.08.25 11:46

▲ 윤석열 대통령이 8월 24일 오전 서울 서초구 aT센터 농산물수급종합상황실에서 열린 거시금융상황 점검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여당 내 '윤핵관(윤 대통령의 핵심관계자)'들과 거리를 둬야 한다는 의견이 25일 발표된 전국지표조사(NBS) 결과에서 압도적으로 나타났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는 지난 22~24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1명(응답률 19.0%)에게 휴대전화 가상번호(100%)를 이용한 전화면접조사로 "윤 대통령이 (국민의힘) 권성동·장제원 의원 등 이른바 윤핵관이라 불리는 측근 인사들과의 관계를 어떻게 해야 한다고 생각하느냐"고 물었다.

그 결과, "거리를 둬야 한다"는 의견이 73%,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14%로 나타났다. "모름/무응답" 의견은 13%였다. 즉, 대통령이 윤핵관들과 거리를 둬야 한다는 의견이 지금처럼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보다 59%p 높은 셈.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특히 윤핵관들과 거리를 둬야 한다는 의견은 대통령 국정운영 긍정평가자나 여당 지지층에서도 '다수'였다. 대통령 국정운영 긍정평가자(n=319)에선, "거리를 둬야 한다"는 의견이 58%,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30%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층(n=388)에서도 "거리를 둬야 한다"는 의견이 63%로,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25%)보다 약 2.5배 높았다.

연령별로 봤을 땐, 30·40·50대에서 "윤핵관들과 거리를 둬야 한다"는 의견이 80%대에 달했다. "거리를 둬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낮은 연령대는 70세 이상(53%)였고, 그 뒤는 18·19세 포함 20대(63%), 60대(78%) 순이었다. 대구·경북(TK)과 부산·울산·경남(PK) 지역에서 "거리를 둬야 한다"는 의견은 각각 66%, 68%였다.

고령층·영남 반등 힘 입은 윤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율 32%

한편, 이번 조사에서 윤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은 소폭 상승해 30%대를 회복했다.

윤 대통령의 국정수행 긍정평가는 직전 조사(8.8~8.10) 대비 4%p 상승한 32%(매우 잘함 12%, 잘하는 편 20%)로 나타났다. 부정평가는 직전 조사 대비 2%p 하락한 63%(매우 잘못함 40%, 잘못하는 편 23%)였다. 모름/무응답 응답은 5%였다.

'매우 잘함' 응답은 직전 조사 대비 3%p 오른 반면, '매우 잘못함' 응답은 직전 조사 대비 3%p 하락했다. 긍·부정평가 간 격차는 직전 조사 대비 6%p 하락한 31%p다.

고령층과 영남에서의 반등이 컸다. 60대의 긍정평가는 직전 조사 대비 13%p 상승한 47%(부정평가 50%), 70세 이상의 긍정평가는 직전 조사 대비 6%p 상승한 56%(부정평가 37%)로 나타났다. TK 지역의 긍정평가는 직전 조사 대비 15%p 상승한 50%로 부정평가(41%)를 앞섰다. PK 지역의 긍정평가도 직전 조사 대비 9%p 상승한 40%(부정평가 57%)로 나타났다.

다만 이념성향별 보수층의 긍·부정평가 변화는 고령층·영남의 경우와 조금 달랐다. 보수층의 긍정평가는 직전 조사 대비 변화 없이 56%였다. 하지만 부정평가는 직전 조사 대비 4%p 상승한 41%였다.

부정평가 사유는 직전 조사 때와 마찬가지로 '경험/능력 부족' 답변이 1순위를 차지했다. 국정수행 부정평가자들을 대상으로 ▲경험과 능력이 부족해서 ▲독단적이고 일방적이어서 ▲적합하지 않은 인물을 내각에 기용하여서 ▲정책 비전이 부족하여서 ▲통합, 협치의 노력이 부족해서 ▲약속한 공약을 실천하지 않아서 ▲기타 등 7가지 이유 중 하나를 고르게 한 결과였다.

해당 조사에서 응답자의 30%가 '경험/능력 부족'을 택했다. 그 뒤는 '독단적/일방적(29%)', '부적합 인사 기용(17%)', '정책 비전 부족(10%)', '공약 미실천(6%)', '통합/협치 노력 부족(5%)' 순이었다.

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전국지표조사 및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