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소도둑 출몰하고 밀도축 성행했던 강남

지금은 전국에서 세금 체납이 가장 많아

등록|2022.10.22 14:18 수정|2022.10.22 14:18
강남에 소도둑이 나타났다. 상징적 의미의 소도둑이 아니라 살아 있는 황소를 훔친 진짜 소도둑이었다. 그런데 서초동 주민 수십 명이 합심해 소도둑을 잡았다고 해서 화제가 되었다. 물론 현재가 아니라 50년 전 이야기다.

농촌 강남에 발생한 강력 사건

서울시는 1963년에 '축산 장려 오개년 계획'을 수립했다. 이때 낙농 장려 지역으로 당시 성동구였던 신사동과 내곡동, 영등포구였던 잠실동, 지금의 잠원동을 선정한다. 강남 일대가 곡식과 채소 농사는 물론 가축을 기르는 농촌 지역이었다.

과거 기사를 검색하면 사건 사고가 지역 특성을 반영하는 경향을 알 수 있다. 1960년대를 예로 들면 강남 지역에 농산물 절도가 성행한다거나 저수지나 하천의 물길 방향을 놓고 마을 간에 패싸움이 벌어졌다는 식이다.

그런데 한 사건이 눈에 띄었다. <경향신문> 1967년 2월 17일의 '도끼에 뒷머리 맞아 쇠고기 여행상(女行商) 중태'라는 기사였다. 쇠고기를 파는 여자 행상이 강도를 당해 큰 상해를 입었다는 것.
 

1972년 강남대로 일대빨간 원이 지금의 논현역, 파란 원이 신논현역이다. 사진의 왼쪽 지역에서 사건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개발이 진행되던 지역이지만 야산과 농지가 보인다. 야산은 현재 논현역 인근 반포동의 고지대 주택가가 되었다. 아래에서 언급할 소도둑도 사진 왼쪽 지역을 통해 도망했다. ⓒ 국토지리정보원


사건 발생 지역은 영등포구 반포동 91번지로 현재 논현역 인근 반포동을 말한다. 지금은 주택들이 빽빽이 들어섰지만 당시는 야산에 가까운 외진 곳이었다.

기사에서 그 지역을 "밀도살이 성행"하는 곳이라고 했다. 그러니까 지금의 강남대로 주변에서 가축 밀도축이 벌어졌다는 것이다. 기사에 따르면 흉기도 소를 잡을 때 쓰는 도끼였고 피해자의 직업도 쇠고기 행상이어서 경찰은 사건을 밀도살과 관계가 있다고 의심했다.

당시 밀도축을 다룬 기사들을 종합하면 서울 시내 연간 쇠고기 수요량의 40%에 해당하는 3만 6천여 마리의 소가 서울 변두리에서 밀도살되어 시내 정육점을 통해 유통되고 있었다.

특히 <경향신문> 1968년 8월 6일의 '쇠고기 밀도살 성행' 기사는 강남 지역에 밀도축 조직이 있다며 신사동의 '천택파'를 지목했다.

서초동에 출몰한 소도둑 

밀도살 관련 기사들을 보면 주로 축산업자들이 무허가 도축업자와 짜고 가축을 도축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훔친 가축을 도축할 때도 있다. <조선일보> 1972년 6월 16일의 '황소 도둑 잡자. 새벽 마을 비상' 기사는 소도둑과 밀도살 사례를 함께 보여준다.

그날 새벽 서초동 62번지에 사는 어느 주민이 황소를 도둑맞았는데 마을 주민들이 소도둑을 추적해 밀도축 소굴에 숨은 범인을 잡게 되었다는 사연이다.

기사는 서초동 주민들이 1972년의 강남대로 일대를 샅샅이 수색하며 소도둑을 추적하는 과정을 중계하듯 묘사한다. 그 장면을 따라가다 보면 과거 강남의 모습이 떠오른다.
 

서울 서초동에 소도둑이 출몰했는데 주민들이 잡았다는 내용의 기사조선일보 1972년 6월 16일 기사다. ⓒ 조선일보


우선 1972년의 강남에는 아직 농촌의 모습이 남은 곳이 있었다. 사건이 일어난 서초동 62번지는 지금의 교대 근처다. 그곳에 황소를 기르는 집이 있었다는 것은 그 일대가 농촌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인에 따르면 도둑맞은 황소는 "수원서 28만 원에 사들여 동네 논의 모내기 작업을 도맡았던" 일꾼이었다고.

주민들이 추적의 단서를 찾은 것도 소도둑이 개발이 한창이던 지역이 아니라 농촌 지역으로 도망했기 때문이다. 소도둑은 "인가를 피하려고 논, 밭, 개울, 산을 마구 가로질러" 도망갔다. 그래서 황소 발굽 자국은 물론 소도둑이 신은 장화 자국도 흔적으로 남았다고.

기사에서 언급한 지명으로 유추하면 소도둑은 지금의 교대 근처에서 서초동 롯데칠성 부지를 거쳐, 신논현역 인근의 야산이었던 언구비 공원 근처를 지나서 반포동 일대로 도망한 것으로 보인다. 당시 그곳은 논과 밭 그리고 개울과 산이 있던 곳이었다.

공교롭게도 '언구비(彦九碑)'는 이 지역에 출몰한 도적을 퇴치한 것을 기념하는 비석이다.
 

1972년 강남역 일대 항공사진파란 원이 지금의 강남역, 빨간 원이 당시 칠성사이다 공장으로 현재는 롯데칠성 부지로 알려진 곳이다. 1972년 당시 이 일대가 개발이 진행되고 있었지만 아직 농지가 보인다. ⓒ 국토지리정보원

 

반포동의 언구비 어린이 공원언구비는 오래 전에 이 지역에 출몰한 도적을 퇴치한 기념비다. 논현역 인근의 반포동 주택가로 예전에는 야산이었다. ⓒ 강대호


그리고 농촌이었던 강남에는 '마을 공동체 의식'도 남아있던 것으로 보인다. 전화 시설이 변변치 않던 시절에 새벽인데도 마을 주민 칠십여 명이 소도둑 추적에 참여했다. 모내기와 추수 때 서로 돕는 농촌 마을의 특성인 공동체 의식을 엿볼 수 있다.

수색대는 마침내 전나무골 인근에서 소도둑의 소굴을 발견하게 된다. 전나무골은 주흥동으로도 불렸던 반포1동 일대를 일컫는다.

주흥동은 잠원동에 살던 주민들이 1925년의 을축년 대홍수로 집을 잃자 대부호 김주용이 전나무골에 집을 지어준 것에서 지명이 유래한다. 김주용이 부흥시켰다는 뜻을 가졌다.
 

반포동의 주흥교 고가주흥동은 원래 전나무골이었다. 지금의 반포1동 일대를 말한다. 주흥교 고가는 논현역에서 고속터미널 방향의 도로에 있는 다리로 경부고속도로가 아래도 지난다. ⓒ 강대호


소도둑 소굴은 야산에 자리한 외진 집이었다. 수색대가 그곳을 덮쳤지만 황소는 이미 도축된 후였다. 황소 주인은 망연자실했지만 "서울 청년들이 보여준 협동 정신은 정말 흐뭇한 것이었다"고 마을 주민들에게 감사를 표했다.

이 소식이 화제가 되었는지 이틀 후 소도둑 검거에 공을 세운 마을 주민들에게 표창과 함께 금일봉이 전달되었다는 신문 기사들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약 한 달 후인 <조선일보> 1972년 7월 14일의 '서초동, 새마을자치방범대' 기사에서도 이 마을과 관련한 다른 소식을 확인할 수 있다.

기사는 이렇게 시작한다. "마을 사람들이 총동원하여 도둑 잘 잡기로 이름난 서울 영등포구 서초동에 새마을 자치방범대가 발족되었다"고.

기사에 따르면 6월 16일에 소도둑이 출몰했던 이 마을에 6월 28일에는 전봇대의 전선을 끊어가는 도둑도 나타났다고. 물론 마을 주민들이 합세해 전선 도둑을 잡았다. 경찰은 감사장과 함께 공을 세운 주민들을 명예 경찰관으로 임명했다.

농촌 마을이라 소도둑이 출몰했고 도시로 개발되는 중이라 전기선과 전화선 도둑이 출몰하는 강남이었다. 아직은 치안력이 제대로 미치지 않아 주민들이 나설 수밖에 없던 시절이기도.

오늘날 소도둑은?

농사를 황소에 의지하던 시절 농민에게 황소는 큰 재산이었다. 황소를 팔면 등록금을 댈 수 있어 대학을 우골탑(牛骨塔)으로 부르던 시절도 있었다. 그래서 농부에게 전부일 수도 있는 황소를 훔친다는 것은 절도 중에서도 질이 나쁜 절도에 속할 것이다. 그래서 소도둑은 큰 도둑을 상징하기도 한다.

그런데 오늘날의 소도둑은 누구일까? 회사 자금을 횡령한 경리사원이나 고객 자금을 편취한 금융회사 직원? 아니면, 다른 이의 눈물을 자기 이익으로 만드는 세력들? 혹은, 그런 범죄를 권력을 이용해 숨겨주는 부류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1년 말 기준 전국에서 체납이 가장 많은 지역이 강남구와 서초구였다. 그중에서도 강남세무서가 체납액 약 2조3800억 원으로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서초세무서로 체납액이 약 2조 3700억 원이었다. 4위는 삼성세무서, 5위는 반포세무서였다.

전국 체납액 순위 5위 안에 강남 지역 세무서 4곳이 포함된 것이다. 이들 세무서의 전체 체납액은 9조 원이 넘었다. 그리고 체납액의 절반 정도를 소득세와 양도소득세가 차지했다.

아무튼 소도둑이 출몰하던 농촌 강남은 오래전에 사라졌다. 대신 강남 지역이 소도둑들이 모여드는 곳이 된 것은 아닐까. 물론 선량한 시민도 많이 살고 있겠지만.
덧붙이는 글 이 글은 브런치에도 실릴 예정입니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