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기도 안 쓰던 제가 나이 일흔에 소설책을 냈습니다
[책이 나왔습니다] 우연한 깨달음에서 시작된 <한글꽃을 피운 소녀 의병>
재 '책이 나왔습니다'는 저자가 된 시민기자들의 이야기입니다. 저자 혹은 편집자도 시민기자로 가입만 하면 누구나 출간 후기를 쓸 수 있습니다.[편집자말]
▲ 한글꽃을 피운 소녀 의병 북토크왼쪽 권오준 생태동화작가. 오른쪽이 필자. ⓒ 권해진
나이 일흔에 그만, 사고를 하나 쳤습니다. 아이들이 읽는 얘기책을 펴냈거든요.
<한글꽃을 피운 소녀 의병>이라고 임진왜란을 다뤘습니다. 세종임금이 온 힘을 기울여 만들었으나 가장자리로 떠밀린 한글이 나라를 살리는 데 한몫을 톡톡히 한다는 얘기입니다. 한글뿐 아니라 백정을 비롯해 놀이패나 방물장수, 늙은이 거기에 조선으로 귀화한 일본 군인들까지 나라 살리는 데 팔 걷고 나섭니다.
비밀병기 한글은 붓에 실려 사람을 살리고 나라를 살리는 연장으로 싸움터에 나섭니다.
"하얀 해 검 하늘 어울리어 낳은 땅 / 어우렁더우렁 서로 살려라 / 일깨우신 큰 뜻, 품어 새긴 그 이름 / 아사달 아사달! // … 동무야 모여라! 내남없이 나서자! / 우리나라 사람 힘껏 지키자! / 어울려 나서는 우리가 곧 담이다 / 무찔러 일본군..."
"...이 원수들을 어찌 그냥 둘 수 있겠습니까? 내남직없이 나서서 온 힘을 기울여 야차 같은 왜적들을 남김없이 밀어내야 합니다. 싸울 사람뿐 아니라 다친 사람을 살리거나 땔감을 하고 밥을 짓는 이들도 다 의로운 맞싸울이들입니다. 뜻이 있는 분들은 의령에 있는 홍의부대로 달려오십시오."
아울러 "오월 스무나흗날 새벽에 기마병 스물, 철포 부대 이백 사람을 비롯해 일본군 이천 사람이 남강을 건너 진주로 쳐들어온다" 하는 이 말을 "남강 아무개, 스무나흗날 일찍, 오이 스무 접, 가지 두 접, 소 두 필"이란 암호입니다.
사실 저는 글과는 담쌓은 사람 가운데 하나였습니다. 초등학교 다닐 때 방학 숙제 일기를 벼락치기로 써내고 날씨가 틀려서 담임선생님에게 되게 혼이 난 뒤로 쉰 살이 넘도록 일기도 써본 적이 없을 만큼 글쓰기와는 거리가 멀었어요.
그러다가 모시던 법정 스님 곁을 스치기만 해도 베일 것 같다고 생각하는 이들이 많아 스님이 얼마나 따뜻한 분인지 드러내 보이겠다면서 다섯 해 동안 글쓰기를 익혀 예순 언저리에 책을 냈습니다. 그 뒤로 심심치 않게 책을 냈으나 소설은 처음입니다.
한글의 힘이 이렇게 대단합니다
▲ <한글꽃을 피운 소녀 의병> 앞표지 ⓒ 한솔수북
꿈에도 생각지 않던 일을 저지른 데는 검색하다가 "임진왜란이 조선 백성을 '민족'으로 만들었다"란 글이 눈에 들어왔기 때문입니다. 따라 들어가니 <임진전쟁, 민족의 탄생>이란 책 소개로 "창제한 지 150년이 지나도록 '지방적이고 사적이며 여성적인 언어'로 여겨지던 한글은 전란 와중에 '우리끼리' 통하는 언어로서 특별한 지위를 갖게 됐다" 하는 글월이 제 눈길을 붙잡았습니다.
우리끼리 뜻을 나눌 수 있다는 말은 일본 사람은 뜻을 알기 어렵다는 말씀이잖아요. 흥미가 일어 바로 사보니 "한글로 쓴 왕실 문서를 사람들이 많이 모이거나 지나다니는 장소에 게시했다"란 말씀이 나오더군요. 바로 이 말씀이 <한글꽃을 피운 소녀 의병>을 낳았습니다.
사실 처음에는 책을 펴낼 생각은 하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생태동화작가인 권오준 선생하고 전화 통화를 하다가 "임진왜란 때 한글이 아니었으면 나라를 살리지 못했을 수도 있었답니다"라고 하면서 "한글이 없었더라면 우리는 일본 말을 쓰고 살아야 할지도 모르겠어요" 했어요.
그랬더니 대뜸 권 선생이 "그 이야기를 동화로 한 번 써보세요" 하지 않겠어요? 남이 한 말을 옮기는 것도 우격다짐으로 하는 처지에 무슨 동화냐고 손사래를 쳤어요. 권오준 선생은 제 말을 아랑곳하지 않고 출판사와 다리를 놓아주었어요. 그렇게 떠밀리다시피 계약을 했으나 어찌해야 할지 몰랐습니다.
엎질러진 물 써야 했으나 어디로 가야 할지 알 수 없었습니다. 하는 수 없이 임진왜란 언저리에 있는 책들을 사 모았습니다. <쇄미록>, <조선왕조실록>, <광해군>, <선조 나는 이렇게 본다> 같은 책부터 <바다의 가야금>, <임진무쌍 황진> 같은 소설을 비롯해 한 백여 권 읽었습니다. <쇄미록> 같은 책은 읽고 또 읽었어요.
▲ 줄넘기하며 노래 부른느 삽화 ⓒ 김옥재
어찌어찌 펜을 들었으나 대사는 그려내겠는데 이야기를 풀어내거나 풍경을 그려내기 어려웠습니다. 하는 수 없이 조선이나 고려 또는 고구려나 백제·신라 시대를 그린 드라마나 영화를 보기 시작했습니다. 우리나라 드라마나 영화는 온건해 전쟁이 주는 아픔을 실감하기 어려워 훨씬 잔인한 왕좌의 게임이나 바이킹을 다룬 드라마들을 눈이 짓무르도록 열 달 동안 1.5배속으로 봤습니다.
이런저런 몸부림 끝에 허술하기 그지없는 원고지 880매를 넘겼습니다. 이만큼이면 어른 장편소설 분량입니다. 다시 낑낑 머리 싸맨 끝에 400매 남짓한 원고로 줄여 <한글꽃이 피운 소녀 의병>이 선보입니다. 이 책을 여는 열쇠는 ①비밀병기 한글 ②여리고 서툰 이들 ③조선 사람이 된 일본군입니다.
지난 7일 온라인에서 책 이야기를 나눴어요. 그때 어떤 분이 이렇게 묻더군요. 이 책에 가장 중요하게 담아내려고 했던 얘기가 무엇이냐고요. '지피지기'입니다. 어째서 손자병법에서는 '적'이란 낱말이 뻐젓이 있는데 '피'라고 했을까요? 저는 저쪽을 적으로 만들지 않아야 한다는 깊은 뜻이 숨어 있다고 봤습니다.
지피지기 백전불태 잘 아시지요? 저쪽을 알고 나를 알면 백 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는 말입니다. 지피지기를 잘하면 어떻게 될까요? 싸울 일이 없어집니다. 그러면 지피지기를 깊이 하면 어찌 될까요? 동무가 됩니다. 평화로 가는 길, 지피지기로 열 수 있다고 알려드리고 싶어서 이 소설을 썼습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