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기후정의를 위해 부산도 14일 파업합니다"

전국서 이어지는 참여선언... 이들이 세종으로 모이는 까닭

등록|2023.04.10 13:34 수정|2023.04.10 13:35

▲ '함께살기 위해 멈춰'를 내걸고 14일 진행되는 4.14기후정의파업. ⓒ 기후정의파업 홈페이지


"함께 살기 위해 멈춰!"라는 구호를 내걸고 오는 정부 세종청사 앞에서 기후정의 파업이 진행되는 가운데, 부산 등 지역도 줄줄이 동참에 나섰다. 지난해 9월에 이어 반년 만에 다시 거리에서 파업이 펼쳐지는 건 "윤석열 정부의 친자본, 반기후 정책을 더는 좌시할 수 없다"라는 이유에서다.

"윤석열 정부 친자본·반기후 정책 멈춰"

414기후정의파업부산참가단, 가덕도신공항반대시민행동, 부산기후정의학교, 탈핵부산시민연대는 10일 부산시청 앞 공동기자회견에서 "기후부정의를 바로 잡기 위해 14일 부산도 하루 파업에 참여한다"라고 발표했다. 지역별 파업 선언은 벌써 여러 번째다. 앞서 경남·창원(4일), 대전·충남(5일), 울산(6일) 등이 릴레이로 기자회견을 열었고, 이들의 외침은 이날 부산까지 다다랐다.

부산의 4개 단체는 공동성명서에서 "정부의 기후위기 비상선언은 거짓말"이라며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상향 조정했지만 이는 문구로만 존재할 뿐 현실은 정반대로 가고 있다"라고 비판했다. 특히 제주2공항·가덕도신공항 건설계획, 고리2호기 계속운전 등을 모두 기후위기 가속화 정책으로 규정하며 "더 심각한 기후재앙, 불평등 악화를 초래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번 파업은 지난해 9월 기후정의행진의 연장선이기도 하다. 당시 3만여 시민이 모여 "기후재난, 이대로 살 수 없다"를 외쳤다. 이후 '대정부투쟁'의 하나로 추가 행동을 기획했다. 전국 300여 개 단체가 모인 414기후정의파업 집행위원회는 닷새 전 기자간담회에서 "현 정부의 정책엔 브레이크가 없다"라며 제동 의지를 분명히 했다.
 

▲ 414기후정의파업부산참가단, 가덕도신공항반대시민행동, 부산기후정의학교, 탈핵부산시민연대가 10일 부산시청 광장에서 기후정의파업 참가선언을 발표하고 있다. ⓒ 414기후정의파업부산참가단


이에 동의하는 부산지역 참가자들은 저마다 위치에서 동참 의견을 밝혔다. 원전 문제를 지적한 남영란 노동해방 마중(준) 활동가는 "핵부흥 정책으로 우리의 생명안전은 물론 지구까지 위태롭게 만들고 있다. 노후원전 수명연장 철회는 이번 파업의 주요한 구호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극단새벽 단원인 연극인 최지선씨는 "기후위기는 사람의 욕심 때문에 생겼다. 더 파괴하지 않기 위해 세종으로 간다"라고 말했다. 임미화 시민행동 집행위원은 "가덕도가 터전인 상괭이, 수달, 100년 동백숲의 이름으로 파업에 함께한다"라고 외쳤다.

각계각층의 다양한 목소리도 쏟아진다. 414기후정의파업 홈페이지에는 강사, 약사, 농민, 화물노동자, 장애인, 청소년들이 직접 만든 대표 참여선언 영상이 잇따라 올라왔다. 개인 참가자들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나의 하루를 멈추겠다"라는 인증샷을 올리고 '#414기후정의파업' 해시태그를 달았다.

파업 당일 참가자들은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앞에서 1차로 모여 본 집회를 한 뒤 행진을 통해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국토교통부로 향한다. 전체 참가자들은 이 과정에서 '멸종'을 상징하는 '다이인(Die-in) 퍼포먼스'로 거리에 드러누워 기후위기에 대한 분노와 항의를 표출한다.

이번 파업의 대정부 6대 핵심 요구안은 ▲에너지 공공성 강화 ▲에너지기업 초과이윤 환수와 탈석탄, 탈핵 추진 ▲공공교통 확충으로 기후위기 대응 ▲노동자·농민·지역주민·사회적 소수자들의 주도적 참여로 정의로운 전환 ▲광범위한 환경파괴와 생태학살 중단 ▲자본결탁 난개발과 부동산 투기 철회 등이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