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개발과 혁신, 두 마리 토끼 잡으려했는데... 서울 혁신파크 어떻게 되나

은평 내 진보정당 '재개발 대응 토론'... "혁신사업 주제 모호, 제도화된 혁신 한계"

등록|2023.06.07 09:43 수정|2023.06.07 09:51

▲ 하늘에서 본 서울혁신파크 부지 (촬영 : 은평시민신문) ⓒ 은평시민신문


지난해 12월 서울시는 서울혁신파크 부지에 '코엑스급' 융복합도시를 만들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토지면적만 11만㎡에 달하는 서울혁신파크에 쇼핑몰, 산업 클러스터, 주거단지, 대규모 복합쇼핑몰을 조성하고 서울 서북권 발전을 견인할 새로운 경제생활문화 중심지로 키우겠다는 구상이다. 당시 지역정치인들은 일제히 현수막을 내걸고 환영을 뜻을 밝혔다.

정의당, 진보당, 녹색당 등은 '묻지마, 혁신파크 개발 찬성'에 이의를 제기했다. 이들은 지난 1일 서울 녹번역 은평구사회적경제허브센터에서 '서울혁신파크 재개발 대응 토론'을 열고 사회혁신의 실험공간이 이렇게 사라져도 되는지, 서울시 땅이면 은평구민 의사는 필요 없는 것인지 등 문제를 제기했다.

"시민과 함께 혁신파크 문제 풀어내야"
 

▲ ⓒ 은평시민신문


토론회 발제를 맡은 김상철 시시한연구소 공동소장은 서울 혁신파크 시작 시기부터 일부 개발계획이 있었고 서울혁신파크로의 전환을 힘 있게 추진할 정당성을 만들어내지 못한 한계를 지적했다. ▲서울혁신파크가 어떤 역할을 수행할지 조례에 담지 못한 채 시설운영만 한 점 ▲자체 감사에서 반복적으로 지적된 문제들에 대해 변화를 일으켜 내지 못한 점 ▲서울혁신파크에 입주한 중간지원조직 문제가 곧 혁신파크 문제처럼 비춰진 점도 지적했다.

김 소장은 "혁신파크 운영 주체나 서울시나 혁신파크 운영 조례를 중요하게 여기지 않았던 것 같다. 사회혁신이 무엇인지에 대한 내용을 찾을 수 없고 공간 이용과 관련된 내용만 있어 아쉽다"고 전했다. 결국 사회혁신이 무엇이고 어떻게 만들어낼 수 있는지 제시하지 못한 한계가 지금의 결과로 이어지고 사회문제를 혁신적으로 해결하겠다는 목적에 맞는 지표체계도 개발되지 못했다는 것이다.
 

▲ 김상철 시시한연구소 공동소장 발제문 중에서 ⓒ 은평시민신문


혁신 사업이라고 진행된 것들도 주민과 관련한 문제가 아니라 단체가 해결과제로 놓고 있는 사업으로 결국 제도화된 혁신이 한계에 봉착한 것 아니겠냐는 의견도 나왔다. 김 소장은 "공공재원을 통해 만들어진 경험들이 사회적 경험으로 남을 수 있는 아카이빙 전략도 필요하다. 주민들 간의 갈등과 이해관계를 우회해서 혁신파크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만큼 정치조직들이 책임지고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승국 나우앤 대표는 "혁신파크를 폐쇄하고 복합상업 공간으로 만드는 건 바람직하지 않고 이곳에 복합상업 공간이 들어온다면 재래시장, 롯데몰 등 서울 서북권 상권이 위축될 것"이라 전망했다. 이어 "혁신파크는 은평주민들의 공론장과 휴식 공간으로 이용돼 왔고 혁신에 대한 가능성을 만들어 낸 공간으로 시민사회와 함께 혁신파크 문제를 풀어가야 한다"고 전했다.

김병권 전 서울혁신센터 센터장은 "비즈니스로 잘 활용되지 않는다고 해서 공공부지 용도를 바꾸지는 않는데 왜 혁신파크만 유독 저개발 됐다고 문제를 제기하는지 이해되지 않는다"며 "만약 3만 3000평 공간에 혁신공간과 함께 복합공간이 만들어졌다면 존속 가능하지 않았을까 싶은 생각도 든다"고 말했다.

이어 "투자하지 않고 즉 돈을 들이지 않고 혁신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결국 저투자 된 것이 문제였고 2,3년간의 혁신 실험 이후 도약을 할 수 있도록 서울시 지원이 없었다"며 "사회혁신 정의부터 폐기하고 다른 방식의 실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공공성을 극대화하는 방식의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김종민 정의당 은평을당협위원장은 "혁신센터는 적극적인 혁신센터의 변화와 범주를 위한 구체적인 고민을 시작하고 은평시민사회는 혁신파크의 공공 이용방안에 대한 공론장을 시작하며 서울지역의 시민사회단체는 혁신파크 문제해결을 위한 네트워크 구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어 "혁신모델을 만들고 모델링을 명확히 하는 방안과 공공의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고민할 필요가 있고 시급성을 다투는 문제인 만큼 관련 네트워킹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서울혁신파크 입주자 입장에서 서울혁신파크 운영에 대한 그동안의 실망감과 혁신파크를 지켜야 되는 당위성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인동준 공동체IT사회적협동조합 이사는 "사회혁신에 대해 이야기하려면 혁신가 이야기를 해야 하는데 과연 시민사회 활동가들과 진보정당 활동가들은 혁신적이었는지 되돌아 볼 필요가 있다"며 "행정에서 하는 일이 시민사회로 대체됐는데 시민사회 자체는 혁신되지 않았고 결국 운영 주체만 바뀐 거지 달라지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이어 "주민들과 함께 할 사업이 충분히 개발되지 않고 열린 마음으로 공공 자산을 키워나갔나 되돌아봐야 한다"고 쓴소리 했다.

인동준 이사는 "그럼에도 혁신파크를 지켜나가기 위한 활동을 이어나갈 것"이라며 "그러기 위해서는 앞으로 혁신파크 십 년 이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그림이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시민들은 "혁신파크와 외부의 단절은 코로나의 영향이 컸기 때문에 그 걸 제외하고 내부문제를 이야기하기 어렵다. 어떻게 주민참여를 증진시켜 주민들의 의견을 혁신파크 재구조화에 반영할 수 있는지 구체적인 이야기가 필요하다. 혁신이라는 주제가 광범위한 상황에서 사업연장을 요구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 6월 1일 열린 ‘서울혁신파크 재개발 대응 토론’ ⓒ 은평시민신문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은평시민신문에도 실렸습니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