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지난해 1만2906명 극단적 선택... 40대·10대 늘고, 70대·20대 감소

전년 대비 3.3% 감소...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사회적 고립 완화 등 긍정 영향 추정

등록|2023.09.21 14:17 수정|2023.09.21 14:17

▲ 서울 한강 한강대교 보도 난간에 '누군가 내 곁에 있어'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 ⓒ 연합뉴스


지난해 극단적 선택으로 사망한 수가 1만2906명으로 전년(2021년) 대비 3.3%(446명) 줄었고, 2022년 자살사망률(인구 10만 명당 명, 이하 자살률)도 25.2명으로 2021년 대비 3.2%(26.0명)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2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사망원인통계' 내용을 인용해 이같이 전하면서 "지난해 대비 소폭 감소했으며, 사회안전망을 더욱 강화해 자살위험으로부터 국민의 생명을 지키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통계청이 이날 발표한 '2022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2022년도 자살사망자 1만2906명, 자살률 25.2명은 2018년 이후 제일 낮은 수치이다. 지난 5년간 연도별 자살률은 ▲2018년 26.6명 ▲2019년 26.9명 ▲2020년 25.7명 ▲2021년 26.0명 ▲2022년 25.2명으로 집계됐다.

성별로는 지난해 대비 남성과 여성 자살률 모두 감소했다. 남성의 경우 2021년 자살사망자 9193명·자살률 35.9명에서 2022년 자살사망자 9019명·자살률 35.3명으로 줄었고, 여성의 경우도 2021년 자살사망자 4159명·자살률 16.2명에서 2022년 자살사망자 3887명·자살률 15.1명으로 감소했다.

연령대별로도 자살률이 대부분 연령대에서 지난해 대비 줄었다. 특히 70대(-9.6%), 20대(-9.2%), 30대(-7.2%) 순으로 감소 폭이 컸으며, 반면에 40대(2.5%), 10대(0.6%)는 전년 대비 다소 증가했다. 자살률은 80세 이상(60.6명)이 가장 높았고, 뒤이어 ▲70대 37.8명 ▲50대 29.0명 ▲40대 28.9명 ▲60대 27.0명 ▲30대 25.3명 ▲20대 21.4명 ▲10대 7.2명 순이었다.
 

▲ 연도별 자살사망자 수 및 자살률 ⓒ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는 "자살은 사회구조적, 개인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므로, 자살률 증감의 원인을 어느 하나로 설명하긴 어렵다"면서 "지난해 자살률 감소는 코로나19 유행 이후 등교, 출근, 영업시간 정상화 등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일상회복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덧붙여 전문가들의 의견으로 "20대 자살률 감소(-9.2%)는 사회적 고립감 완화, 30대 여성 감소(-19.6%)는 부양부담 완화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 내용을 소개했다.

이처럼 지난해 자살률은 감소했지만, 경제협력개발국(OECD) 회원 38개국 중에서는 여전히 우리나라가 가장 높다. OECD 평균(10.6명)과 비교해봤을 때, 2배를 웃도는 수치로 회원국 중 유일하게 20명을 넘었다. 두 번째로 높은 리투아니아의 자살률은 18.5명이며, 자살률이 가장 낮은 국가는 그리스 3.9명이다.
 

▲ OECD 국가 연령표준화 자살률 비교 ⓒ 보건복지부


복지부는 "정부는 OECD 최고 수준인 자살률 감소를 위해 총력을 다 하고 있다"면서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우울감 증가 등에 따른 자살 증가 우려에 대응해 자살예방 정책을 강화해 왔으며, 2022년에는 자살시도자, 자살유족 등 자살 고위험군에 대한 상담‧치료지원을 확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전 국민 마음건강 투자를 핵심 국정과제로 선정하여 예방부터 자살고위험군 선제적 발굴‧지원, 생명존중문화 확산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올해는 자살시도자, 유족 등의 신체 손상치료비, 심리검사 등을 받을 수 있도록 자살고위험군 치료비 지원을 시작했다.

지난 4월에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제5차 자살예방기본계획'(2023~2027)을 발표해 코로나19 이후 사회적 고립과 경제적 어려움 등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른 자살위험이 급증할 것에 대비해 자살예방정책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이외에도 지자체와 각급 학교, 사업장 등에 자살예방 교육을 의무화하는 자살예방법 개정안이 올해 7월 공포돼 내년 7월부터 시행될 계획이다.

곽숙영 복지부 정신건강정책관은 "지난해 자살률이 소폭 감소하였으나 올해부터 코로나19 이후 상대적 발탁감, 정신건강문제 등이 본격적으로 나타나면서 자살률 증가 우려에 적극 대응이 필요하다"면서 "자살의 가장 큰 동기가 정신적인 부분임을 고려해 정신건강혁신방안을 연내 마련하여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사회안전망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전했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