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와 사회정의 실현에 몸 바친 큰 어른
[김삼웅의 인물열전 - 실천적 역사학자 강만길 평전 1] 대한민국 현대사의 기록자이자 증인
▲ 2003년 6월 <오마이뉴스>와 인터뷰하고 있는 강만길 상지대 총장. ⓒ 권우성
나랏일이 크게 헝클어지고 민주주의가 역진하고 있는데 우리 사회의 큰 어른 강만길 선생이 2023년 6월 23일 별세했다. 몇 년 전부터 건강이 좋지 않아 활동을 접고 계셨으나, 존재만으로 깨어있는 시민들에게 큰 힘이 되었다. 그 와중에 들려온 갑작스러운 부음에 황망하기 그지없었다.
향년 91세, 직접 쓰신 글에서 말한 대로 그는 "한 번도 겪기 어려운 역사의 실험장, 즉 식민 통치의 경험, 8·15의 격동, 민족상잔의 6·25 전쟁, 4·19 혁명, 5·16 쿠데타, 5·18 민중항쟁 등을 자기의 세대로 겪고 잠깐이나마 그 바퀴에 깔려 보기도 한" 역사학도이다.
한국 사회의 발전 동력을 반독재 민주화운동과 통일운동에서 찾은 고인은 '역사의 현재성'을 중시했다. 이에 따라 배운대로 실천하는 삶을 살고자 했고, 자신이 추구하던 가치에서 벗어나지 않으려고 무던히 노력하고 실천했다. 역사를 "인간 이상의 현실화 과정"이라 정의하면서 연구를 거듭하고, 필요하면 행동에 나섰다. 그때마다 법비(法匪)와 학기(學技)들의 모함과 질시가 따랐으나 크게 위축되거나 괘념치 않았다. 민주정부에서 10년간 통일원 고문, 남북역사학자협의회 남측위원회 위원장,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위원장, 광복60주년기념사업추진위원회 공동위원장 등을 지냈다.
고인께서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위원장이던 시절에 필자는 같은 위원회 위원의 한 사람으로 일하면서 곁에서 선생을 지켜볼 수 있었다. 해방 후 반민특위가 이승만 세력에 의해 붕괴하고, 60여 년 만에 재개된 친일반민족행위자에 대한 단죄는 다시 그 후예들의 거센 도전에 직면해야 했다. 특히 거대 족벌신문 사주 측이나 대학 총장 출신이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기념사업회 등의 위협·음해·모략 등은 견디기 어려울 지경이었다.
웬만한 사람이라면 위축되거나 기가 죽을 법도 하지만 강만길 선생은 이런 외압이나 압박에 조금도 굴하지 않고 당당하게 친일행위자들의 죄상을 역사의 기록으로 남기는 데 중심이 되었다. 역사를 바르게 공부한 사학자이기에 가능했을 터이다.
선생은 자신이 살고 있는 시대를 '분단시대'라 이름 짓고, 분단시대에 현실 도피를 거부하면서 현재 맞닥뜨린 불행의 원인을 찾고자 끊임없이 노력했다. 그 결과 불행의 원인은 '냉전수구세력'에 있었다. 그는 냉전세력의 본질을 '① 민주주의 왜곡·역행, ② 반민족세력이면서 스스로 민족세력인양 탈바꿈 변신, ③ 외세와의 결탁, ④ 평화통일 거부를 적시하고, 남북화해를 가로막는 것' 등이라 규정하고, 우리 사회는 냉전수구세력을 극복해야 한다고 줄기차게 주창했다.
▲ '제2의 반민특위' 친일규명위원회참여정부 시절인 2005년 5월 31일 출범한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의 출범식 장면. 오른편에 선 여성이 특별법을 발의한 김희선 전 의원 ⓒ 정운현
선생은 1999년에 쓴 <21세기 한국과 일본의 선택>에서 마지막에 다음과 같이 말했다.
"21세기에 들어가서 한반도 지역의 평화로운 통일과 나아가서 동아시아 전체의 평화로운 발전을 위해 동아시아 지역의 새로운 결속이 필요하다. 그것을 위해서는 일본이 다시 확실한 동아시아 국가로 돌아오는 일과 한반도 지역의 '균형성 있는' 통일, 구체적으로 말해서 한반도 지역이 해양세력 미·일 쪽에도 치우치지 않고 대륙세력 중·러 쪽에도 치우치지 않게 통일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늘날 한국의 위정자들이 석학의 이 같은 균형적인 시각과 견해를 배웠으면 한다. 그런 의미에서 선생의 글을 꼭 한번 읽어 보기를 권한다(이 글은 <21세기의 서론을 어떻게 쓸 것인가>에 실려 있다).
강만길 선생은 2000년부터 역사의 대중화를 위해 계간지 <내일을 여는 역사>를 창간해서 발행해 오다 최근 경영난으로 문을 닫았다. 2007년부터는 재단법인 '내일을 여는 역사 재단'을 설립해 젊은 한국 근현대사 전공자들의 연구를 지원해 왔다.
4·19 세대는 4월 혁명의 정신적·이념적 지침이 되었던 <월간 사상계>를 지키지 못했고, 학생운동과 노동운동 세대는 6월 항쟁과 남북 화해의 물꼬를 튼 <월간 말>을 지키지 못했으며, 오늘의 민주화 세대는 21세기 역사의 문을 여는 <내일을 여는 역사>의 폐간을 막지 못했다. 역사의 큰 물결과 작은 소용돌이가 겹치고 있는 한반도의 위상을 제대로 알고 대처하기 위해서는 균형 잡힌 시각과 목표를 지닌 역사 계간지 하나는 필요하다. 그래서 고인의 생애 마지막 정성과 노고가 담겼던 잡지가 더 이상 명맥을 이어가지 못하는 것이 더욱 안타깝다.
강만길 선생은 생전에 18권의 저서를 남겼다. 식민사학 정체성론을 극복하고, '자본주의 맹아론'을 실증 연구하고, 분단시대를 극복하기 위한 사론을 쓰고, 광박한 지식으로 한반도의 울타리를 넘어 노령 지역 고려인들의 역사를 탐구하는 '역사기행'을 쓰는 등 그의 글에는 혼과 정성이 담겼다.
평생을 나라의 민주화와 평화통일 운동에 앞장서고 역사와 사회정의 실현에 헌신하신 강만길 선생의 영전에 명복을 빈다. 사마천의 <사기>에 나오는 말로 갈음하고자 한다.
"어떤 죽음은 태산보다 무겁기도 하고 어떤 죽음은 터럭만큼이나 가볍기도 하다." (주석 1)
주석
1> 김삼웅, <강만길 선생 영전에… 역사와 사회정의 실현에 몸 바친 정신 기억하겠습니다>, <경향신문>, 2023년 6월 25일 자.
덧붙이는 글
[김삼웅의 인물열전 - 실천적 역사학자 강만길 평전]은 매일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