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티아고 800km 길을 걸어야 볼 수 있는 장면
[인터뷰] 세종대 김상국 명예교수
▲ 산티아고 순례길의 뜨거운 태양 아래 선 김상국 교수. ⓒ 김상국 제공
지난 시대와는 비교할 수 없이 평균 수명이 길어진 21세기. 그에 발맞춰 많은 이들이 '걷기 운동'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지 이미 오래다. 동시에 주목받고 있는 국내외의 '걷기 좋은 길들'.
그 가운데 정점을 찍는 걷기 코스는 산티아고 순례길(El Camino de Santiago)이 아닐까 싶다. 이 길은 유럽에 산재한 여러 가지 루트로 출발해 최종 목적지인 스페인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Santiago de Compostela) 성당에 도착하는 유명한 도보 순례 코스.
자그마치 800km에 이르는 이 순례길에선 저마다의 사연과 이유를 가지고 묵묵히 발걸음을 옮기는 이들을 볼 수 있다고 한다.
종교적 신념, 삶의 본질에 대한 고민, 미래에 관한 불안, 실패한 연애가 준 절망감, 희망과 꿈을 향한 도전…. 산티아고 순례길을 걷는 이들의 가슴 안에는 수만 가지 사연이 담겨있을 터.
경북 포항의 조그만 시골마을 청하에서 태어나 미국 컬럼비아대학에서 공부를 마치고 세종대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던 김상국 명예교수는 어린 시절부터 새로운 시도와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았던 사람.
바로 이 김 명예교수가 자신의 산티아고 순례길 완주 체험을 담은 책을 최근 출간했다. 이름하여 <잊혀진 나를 찾아가는 길>.
▲ 김상국 교수의 산티아고 순례길 체험을 담은 책 <잊혀진 나를 찾아서>. ⓒ 도서출판 지식나무
그는 거기서 무엇을 보고, 누구를 만났으며, 어떤 걸 느끼고 돌아왔을까? 또한, 순례길 체험을 꿈꾸는 다른 이들에겐 무슨 말을 들려주고 싶을까? 그 궁금증을 풀기 위해 제법 긴 질문지를 보냈다.
김상국 명예교수와의 인터뷰는 몇 번의 통화와 이메일 수·발신으로 진행됐다. 아래 그와 주고받은 이야기를 요약해 옮긴다.
무기력해졌을 때, 결심했다
-산티아고 순례길을 걷겠다고 결심한 이유는.
"나이가 들수록 몸과 마음이 무기력해진 시점에서 Y대학 선배 교수의 산티아고 무용담을 듣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결심했다. 당시 나는 체중이 100kg이 넘어있었고 약간의 우울 증세도 있었다. 무기력해진 나를 바로 세울 수 있는 사람은 바로 나 자신이다. 더 나은 나를 만들기 위해 준비해나가기 시작했다. 또한, 젊은 시절의 믿음과 삶에 대한 열정을 되살리고 싶었다. 꿈을 포기하지 않으면 반드시 이루어진다는 신념은 늘 잠재되어 있었다. 그것을 다시 찾고 싶어서 결심했다."
-순례길 800km를 걸었다. 어떤 준비를 했는지.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체력과 정신력이 필요했다. 체력은 하루 6~8시간 활동할 수 있는 적응력이 필수조건이다. 다음엔 지루하고 반복적인 활동을 이겨낼 수 있는 마음가짐을 만들어야 한다. "난, 완주할 수 있다"란 비장한 각오가 필요했다. 이런 습관은 모든 분야에 적용된다."
▲ 산티아고 순례길에서 만난 이들과 함께 한 김상국 교수. ⓒ 김상국 제공
▲ '길은 걷는 자의 것이다'란 문장이 떠오르는 사진. ⓒ 김상국 제공
-가장 힘겨웠던 구간은.
"대부분의 순례자가 첫날 피레네산맥을 넘어오는 과정이 가장 힘들었다고 말한다. 해발 1500m다. 첫째 날 신고식을 혹독하게 치러야 이 산을 넘어간다. 높은 산들로 몇 시간이고 내내 오르막만 전개되기 때문이다. 평야만 있는 곳에서 살아온 순례자들은 특히 힘들게 느껴진다. 한국의 대청봉, 천왕봉, 한라산 정도의 운동량이라고 비교하면 된다."
-반면 가장 감동적이었던 구간은.
"순례길은 매 구간 특색이 있어 감동을 준다. 그러나 많은 순례자가 감격의 눈물을 뿌리는 곳은 두 곳이다. '철의 십자가'와 순례길 종착지다. 철의 십자가는 순례길 중 가장 높은 위치에 있고, 또 3주 이상을 지나야 만날 수 있는 곳이다. 자신의 소중한 물건 하나를 십자가 아래 내려놓고 기도하는 곳이기도 하다. 이곳에 수많은 사연을 놓고 간다. 어떤 순례자가 하늘나라로 간 사랑하는 사람의 사진을 두고 가는 걸 봤다. 이 철의 십자가는 순례자들 소망의 안식처가 되고, 세상의 온갖 죄와 허물을 씻어내는 사랑의 강물이 된다."
-순례길에서 만난 이들 중 기억에 남는 사람은.
"나와 여러 번 대화를 나눈 순례자들이다. 그중 약 500km를 동행한 미국 제임스 목사와 각별했다. 그는 내게 "Are you a Christian?"이라 질문해 그렇다고 대답하자, 다시 "Are you a born again Christian?"이란 질문을 던졌다. 제임스 목사와 긴 구간을 동행하며 많은 것을 배우고 느꼈다. 산티아고의 길과 어우러져 보람과 가치를 느끼게 한 사람이다."
-이번 책 <잊혀진 나를 찾아가는 길>은 어떤 방식으로 썼는지.
"지금까지 산티아고 순례길을 3번 완주했다. 이 책에 실린 이야기는 최초 방문했을 때 메모해둔 기록을 바탕으로 쓴 것이다. 첫 번째 시기는 '코로나19 사태'가 시작되기 전 약 한 달 남짓이었고, 최근 세 번째 다녀온 건 코로나19로부터 자유로워진 2023년 봄이었다. 매번 출발은 설렘 반 긴장 반으로 시작되지만, 일단 길 위에 올라서면 새로운 힘이 솟아난다. 자연이 준 신비한 기운 때문이 아닐까 한다."
-책 제목이 흥미롭다.
"제목은 직접 지은 것이다. 누구에게나 꿈이 있다. 그 꿈이 마음속에서 선명해질 때 '집념과 열정'이 생긴다. 꿈은 가슴에 품는 힘이며, 성공보다는 행복을 만든다. 이러한 에너지, 즉 열정은 인생 후반부터 강도가 떨어지기도 한다. 또한 길들여진 익숙한 프레임 속에서 오래 살아가다 보면 꿈과 열정 없이 무미건조한 삶으로 이어진다. 내가 미국 유학 시절에 꿈과 열정을 쏟았던 모습을 다시 살리고 싶은 생각에 '잊혀진 나를 찾아서'란 주제를 사용했다."
길 위에 삶의 해답이 있다
▲ 산티아고 순례길을 걷는 다양한 국적의 여행자들. ⓒ 김상국 제공
▲ 산티아고 순례길에서 만나는 풍경들. ⓒ 김상국 제공
-산티아고 순례길을 완주하던 날엔 어떤 감정이었나.
"종착지인 산티아고 대성당 앞에 다가가면 "아! 나도 할 수 있어"란 형용할 수 없는 감정이 밀려온다. 자신과의 싸움에서 이긴 결과다. 완주를 끝내고 얻은 성취감은 오랫동안 사라지지 않는다. 안도감과 함께, 건강하게 버터 준 두 다리에 감사를 느꼈다. 체중이 8kg 빠지고 더 건강해진 느낌이었다. 순례길은 신비스러운 바다와 같다. 비가 오면 비를 맞고, 눈이 내리면 눈을 녹인다. 바람이 불면 녹색의 파도가 순례자의 가슴을 요동치게 한다."
-순례길을 걷고자 하는 이들에겐 들려줄 조언은.
"산티아고 순례길 800km는 체력과 마음의 준비가 필수다. 누구나 준비를 잘하면 무사히 완주가 가능하다. 준비 기간은 개인 차이가 있지만 6~12개월이면 충분하다. '길에서 만나는 외국인과 말이 통하지 않으면 어떻게 할까'라는 두려움보다 자신감에 더 큰 무게를 두면 된다."
-앞으로도 길 위에서 삶의 해답을 찾을 생각인지.
"나는 걷기를 무척 좋아한다. 올 봄에는 영국 바스(Bath) 지방을 걸으며 힘을 얻고 왔다. 내년에는 남아메리카 태양의 도시 혹은, 잃어버린 도시라고 알려진 페루 마추픽추에 도전하고 싶다. 자연은 명화(名畫)다. 이것을 깨닫는 자는 자연이 아름답다는 것에 매력을 느낀다, 이게 바로 나를 멈추지 않게 하는 도전의식이다."
-여행에 관해 젊은이들에게 조언한다면.
"여행은 닫힌 마음을 열어주고, 자기주도적 인생 경험을 가능하게 만든다. 요즘 젊은이들은 익숙해진 편리함을 벗어나야 한다. 그 속에 빠질수록 무기력이 찾아온다. 스스로 배낭을 메고 도전하는 습관은 자신의 인생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자발적인 여행 습관은 인생을 성숙하게 만든다."
-마지막으로 덧붙일 말은.
"현대 문명은 인간을 편리함에 익숙하게 만들고, 그 익숙함에 속아 몸과 마음이 점점 무기력해지고 있다. 인생은 단 한 번이다. 건강을 지키는 건 우리들의 고귀한 책무다. 걷기만 잘해도 '생활습관병'을 예방할 수 있다. 걷기는 언제 어디서나 할 수 있고, 돈도 들지 않는다. 건강한 삶을 원한다면 오늘부터 걷기를 시작하면 된다. 건강은 행복의 밑거름이다. 여러분이 찾는 행복은 바로 자신 안에 있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경북매일>에 게재된 것을 일부 보완한 것입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