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교 3학년입니다, 저만 돈이 없나요?
고물가에 식비, 교통비 늘어 부담... 알바 구하기도 어렵고 시급도 낮아
뉴스를 보니 국민이 느끼는 경제적 어려움이 나아졌대요. '국민체감경제고통지수'란 '체감실업률과 체감물가상승률을 합산한 수치'인데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완화됐다고 하더라고요(관련기사 : '체감경제고통지수' 코로나 이전 수준…국민은 왜 체감 못하나).
그런 분위기를 저만 모르겠나 봐요. 아니 오히려 아닌 것 같아요. 친구들과 얘기하다 보면 학생들의 재정난이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고 느끼거든요. "우리 시급 빼고 다 오른다"는 말이 입버릇처럼 뱉어져요. "사과값이 올랐다", "채솟값이 올랐다"라고 하는 건 솔직히 크게 와닿지 않아요. 대학생이 장 보는 일은 많이 없으니까요.
교통비 지원 찾는 일은 필수
대신 대학교 후문에서 밥을 먹을 때면 깨닫게 돼요. 물가가 계속 오르고 있다는 걸요. 제가 좋아하는 보쌈 가게가 있어요. 8500원이라는 합리적인 가격에 기분 좋게 즐길 수 있었어요. 그런데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자 올해 들어 9500원으로 올랐어요.
사장님 사정은 충분히 이해되요. 하지만 이해가 되는 거랑 속상한 건 다른 것 같아요. 식당들의 가격이 하나둘 오르면서 한 달 식비가 정말 늘었어요. 매 끼니를 사 먹기 부담스러울 정도에요. 친구들과 도시락을 싸 와서 먹기도 해요. 지출도 줄고 친구들과 같이 앉아 먹으니 재밌더라고요.
오르는 건 식비만이 아니에요. 교통비도 많이 늘었어요. 저는 집과 학교 거리가 지하철로 20분 정도 걸려요. 교통비가 3만 원대에서 4만 원대가 되었어요. 겨우 만 원이 아니에요. 만 원 차이는 학생들에게 많이 커요.
매달 10일 교통비가 빠져나갈 때면 놀라곤 하죠. 교통비가 오른 지 얼마 되지 않은 것 같은데 또 오른다고 하니, 벌써 부담이 돼요. 이젠 교통비 지원 프로그램을 찾는 게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됐어요. 저는 집이 가까운 편인데도 이런데 거리가 먼 친구들은 얼마나 큰 변화를 체감할까요.
스스로 자립하려고 노력하지만 현실은
알바를 구하는 것도 일이에요. 알바몬, 알바천국 등에 들어가면 올라오는 알바도 줄어들었어요. 할 만한 알바를 찾기가 쉽지 않아요. 자영업자들의 소득이 넉넉하지 않다 보니 고용에 대한 비용을 줄이고 있어요. 매일 앱에 들어가지만, 새롭게 추가되는 일자리가 많이 없어요. 일 자체의 감소도 있지만 공장같이 힘든 알바를 피하려고 하는 분위기도 큰 것 같아요.
어렵게 알바를 구해도 끝이 아니에요. 학생들의 알바 시급은 턱없이 부족해요. 물가가 오르면서 실질적으로 최저임금은 너무 모자라게 느껴져요(2024년 기준 9860원).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곧 시작된다는데 최저임금이 만 원을 넘었으면 좋겠어요.
어른이 되고 세상이 살기 쉽지만은 않다는 걸 체감하게 됐어요. 부모님에게 용돈을 받기보다 스스로 자립하려고 노력하고 있거든요. 이런 경제적 부담들이 저출산, 비혼을 많이 야기하는 것 같아요.
나 혼자 생활하는 것도 부담스러운 상황에서 누군가의 인생을 책임진다는 게 정말 막연하게 느껴져요. 물론 전 아직 대학생이지만요. 사회에 나가면 달라질까요? 사실 잘 모르겠어요.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 같은 기분이 들어요.
그런 분위기를 저만 모르겠나 봐요. 아니 오히려 아닌 것 같아요. 친구들과 얘기하다 보면 학생들의 재정난이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고 느끼거든요. "우리 시급 빼고 다 오른다"는 말이 입버릇처럼 뱉어져요. "사과값이 올랐다", "채솟값이 올랐다"라고 하는 건 솔직히 크게 와닿지 않아요. 대학생이 장 보는 일은 많이 없으니까요.
대신 대학교 후문에서 밥을 먹을 때면 깨닫게 돼요. 물가가 계속 오르고 있다는 걸요. 제가 좋아하는 보쌈 가게가 있어요. 8500원이라는 합리적인 가격에 기분 좋게 즐길 수 있었어요. 그런데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자 올해 들어 9500원으로 올랐어요.
사장님 사정은 충분히 이해되요. 하지만 이해가 되는 거랑 속상한 건 다른 것 같아요. 식당들의 가격이 하나둘 오르면서 한 달 식비가 정말 늘었어요. 매 끼니를 사 먹기 부담스러울 정도에요. 친구들과 도시락을 싸 와서 먹기도 해요. 지출도 줄고 친구들과 같이 앉아 먹으니 재밌더라고요.
▲ 학교에 챙겨간 도시락식비를 절약하기 위해 학교에 챙겨간 도시락이다. ⓒ 손정아
오르는 건 식비만이 아니에요. 교통비도 많이 늘었어요. 저는 집과 학교 거리가 지하철로 20분 정도 걸려요. 교통비가 3만 원대에서 4만 원대가 되었어요. 겨우 만 원이 아니에요. 만 원 차이는 학생들에게 많이 커요.
매달 10일 교통비가 빠져나갈 때면 놀라곤 하죠. 교통비가 오른 지 얼마 되지 않은 것 같은데 또 오른다고 하니, 벌써 부담이 돼요. 이젠 교통비 지원 프로그램을 찾는 게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됐어요. 저는 집이 가까운 편인데도 이런데 거리가 먼 친구들은 얼마나 큰 변화를 체감할까요.
스스로 자립하려고 노력하지만 현실은
알바를 구하는 것도 일이에요. 알바몬, 알바천국 등에 들어가면 올라오는 알바도 줄어들었어요. 할 만한 알바를 찾기가 쉽지 않아요. 자영업자들의 소득이 넉넉하지 않다 보니 고용에 대한 비용을 줄이고 있어요. 매일 앱에 들어가지만, 새롭게 추가되는 일자리가 많이 없어요. 일 자체의 감소도 있지만 공장같이 힘든 알바를 피하려고 하는 분위기도 큰 것 같아요.
▲ 텅 빈 알바 스크랩 목록새로운 알바가 늘지 않고 할 만한 일을 마땅히 찾지 못해 '빈 스크랩' 사진이다. ⓒ 손정아
어렵게 알바를 구해도 끝이 아니에요. 학생들의 알바 시급은 턱없이 부족해요. 물가가 오르면서 실질적으로 최저임금은 너무 모자라게 느껴져요(2024년 기준 9860원).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곧 시작된다는데 최저임금이 만 원을 넘었으면 좋겠어요.
어른이 되고 세상이 살기 쉽지만은 않다는 걸 체감하게 됐어요. 부모님에게 용돈을 받기보다 스스로 자립하려고 노력하고 있거든요. 이런 경제적 부담들이 저출산, 비혼을 많이 야기하는 것 같아요.
나 혼자 생활하는 것도 부담스러운 상황에서 누군가의 인생을 책임진다는 게 정말 막연하게 느껴져요. 물론 전 아직 대학생이지만요. 사회에 나가면 달라질까요? 사실 잘 모르겠어요.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 같은 기분이 들어요.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