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22대 국회 첫 청원... "디지털기기 가정불화 심한데, AI교과서?"

백승아 민주당 의원도 "매년 천문학적 혈세 낭비하는 사업될 것, 도입 유보" 요구

등록|2024.06.11 10:19 수정|2024.06.11 10:19

▲ 이주호 교육부장관이 2023년 6월 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AI(인공지능) 디지털 교과서 추진방안을 발표하는 모습이 기자회견장 화면에 투영돼 있다. ©연합뉴스 ⓒ 교육언론창


교육부가 내년부터 초·중·고등학교에 AI(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아래 AI교과서) 도입을 결정한 가운데, 국회 '국민동의청원' 게시판에 '교육부의 2025 AI 디지털교과서 도입 유보에 관한 청원'이 올라왔다. 22대 국회 개원 뒤 교과서 관련 첫 청원이다.

"과연 누구를 위한 사업인가?"

10일 오후 6시 20분 현재 국회 청원게시판에 'AI교과서 도입 유보 청원'(연결 주소: https://petitions.assembly.go.kr/status/onGoing/14E2C31290CB691FE064B49691C1987F )에 동의한 국민들은 1721명이다. 지난 5월 28일 시작된 이 청원의 마감일은 오는 27일까지. 이 청원의 동의 숫자는 2023년 12월 15일에 마감된 비슷한 내용의 청원 동의 숫자 1056명보다 많은 수치다.

청원인은 청원 글에서 "교육부의 2025년 AI교과서 도입 방침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 교육계 전문가들의 우려의 목소리가 매우 크다"면서 "우리 학부모들은 자녀의 과도한 스마트기기 사용으로 이전에 없던 가정불화를 거의 매일 겪으며 살아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하루 일과의 절반 이상 시간을 보내는 학교에서조차 스마트기기를 이용해야 하는가?"라고 물었다.

이어 청원인은 "준비도 미흡하고 그 효과 역시 미지수인 상황에서 무조건적으로 밀어붙이는 것은 과연 누구를 위한 '사업'인지 의구심을 갖게 하는 일이 아닐 수 없다"면서 "교육부는 2025년 AI교과서 도입 방침에 대해 전면 취소할 수 없다면 적어도 '도입 유보'를 발표하고, 전면적인 디지털교과서 사용이 서면(종이) 교과서를 사용하는 것보다 객관적·과학적으로 더 효과적인 교육방식이 맞는지 검증하는 과정을 거친 후 이 정책에 관해 다시 논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김헌용 함께하는 장애인교원노조 위원장도 교육언론[창]에 "요즘 AI교과서 관련해서 여러 회의를 다니는데 현장은 물론 개발 업체들도 거의 준비가 안 돼 있는 상황"이라면서 "이렇게 날림으로 교과서를 개발해서 도입한다는 게 말이 안 된다. AI교과서는 현장에 큰 혼란을 초래할 것이 거의 분명해 보인다"고 내다봤다.

평교사 출신인 백승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원내부대표)도 지난 9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AI 교과서 시제품을 본 교육 전문가 중 상당수는 '사교육 문제 풀이 교재와 크게 다른 게 없다'고 평가하고 있다"면서 "검증 안 된 AI 교과서에 연 구독료 기준 권당 6~10만 원 수준으로 조 단위 교과서 예산이 추가되면, 천문학적 혈세를 매년 사용하게 되는 예산 낭비"라고 짚었다.

현재 종이교과서의 권당 가격은 6000원~1만 원인데, AI교과서는 이보다 10배가량 돈이 더 드는 것이다.

백 의원은 "결국 대규모 에듀테크 업체에게 공교육이라는 새로운 거대한 시장을 열어주고 있는 모양새"라고 강조했다. AI교과서를 만드는 상당수의 에듀테크 업체는 현재 학생들을 상대로 인터넷 학습지 판매 사업을 벌이는 사교육업체다.

종이 교과서보다 10배 비싼 AI교과서, 사교육업체들이 제작

백 의원은 "교육부는 2025년 AI교과서 도입을 유보하고 디지털교과서 사용이 종이 교과서를 사용하는 것보다 객관적, 과학적으로 더 효과적인 교육방식인지 증명한 후 전면 도입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 5월 27일 강경숙 조국혁신당 의원과 교사노조연맹,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 새로운학교네트워크, 실천교육교사모임,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조국혁신당교육특별위, 좋은교사운동 등 교원7단체도 공동 기자회견을 갖고 "부실·급조·일방적으로 추진하는 AI교과서 사업을 전면 재검토하라"고 요구한 바 있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교육전문언론 교육언론[창](www.educhang.co.kr)에서 제공한 것입니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