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녹조독 공기오염이 괴담이라고? "하늘 가릴 수 없는 위험"

환경부와 TV조선의 '녹조 괴담 몰이', 도 넘은 위험 왜곡

등록|2024.09.05 16:15 수정|2024.09.05 16:15

4일 방송 화면 갈무리TV조선은 정부 조사 결과 공기 중 녹조가 검출되지 않았다고 환경단체의 괴담으로 치부했다. 이에 대해 환경운동연합과 낙동강네트워큰 '녹조 괴담 몰이'로는 하늘을 가릴 수 없다며 비판했다. ⓒ TV조선


TV조선이 녹조 독소 공기오염을 '환경 괴담'이라 치부하자, 환경운동연합과 낙동강네트워크는 논평을 통해 "'녹조 괴담 몰이'로 하늘을 가릴 수 없다"며 "도 넘은 녹조 위험 왜곡은 우리 국민을 병들게 할 뿐"이라 비판했다.

4일 <TV조선>은 "'녹조 알갱이가 공기를 오염?'…'환경 괴담' 등장에 정부 반박"이란 보도에서 "폭염이 기승을 부려 심각한데 일부 환경단체가 기름을 끼얹듯 녹조가 독소를 뿜어 공기까지 오염시킨다고 주장한다"며 "또 다른 괴담이 될 듯도 하다"라고 했다. 대규모 녹조(유해 남세균) 창궐에 따른 녹조 독소 공기오염을 '환경 괴담'이라고 치부했다.

TV조선은 '윤석열 정부가 조사했지만, 공기 중에서 녹조 독소가 검출되지 않았다'며 최지용 서울대 그린바이오과학기술연구원과 조영철 충북대 환경공학과 교수 인터뷰를 통해 환경단체가 녹조 독소 위험을 과장하고 있지만, 공기 중 녹조 독소는 분해가 쉬워 별 위험이 되지 않는다는 식으로 보도를 이어갔다.

이에 대한 환경운동연합과 낙동강네트워크는 "우리는 TV조선의 이런 행태를 전형적인 '위험 왜곡 괴담 몰이'라고 본다."며 "4대강사업 이후 대규모 녹조 창궐 현상 증가에 따라 우리 국민건강에 심각한 위협 요인이 되고 있다는 객관적 사실마저 부정하려 하고 있다"라고 TV조선의 행태르 꼬집었다.

이어 단체들은 "해외 연구 결과와 국내 실증적 분석을 통한 합리적·객관적 문제 지적을 괴담으로 치부하는 것은 결국 국민을 기만하려는 꼼수"라며 "이는 4대강사업에 따른 환경재난과 사회재난을 감추려는 윤석열 정부 환경부의 그릇된 의도에서 비롯됐다"라고 비판했다.

윤석열 정부 환경부가 공기 중 녹조 독소가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힌 근거는 지난 2023년 9월 환경부가 발주한 연구 결과였다. 문제는 녹조가 거의 사라진 10월 낙동강에서 단 한 차례 조사만 했다는 점이다. 반면 환경단체는 대기전문가, 독성전문가와 공동으로 2023년 6월부터 10월까지 대조군 설정 등 30여 지점을 반복적으로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녹조가 에어로졸 형태로 확산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단체들은 "녹조가 없는 시기 단 한 차례 조사 결과와 5개월 동안 동일 지점 반복 조사 결과를 비교할 때 어느 연구가 더 객관성과 합리성을 담보했는지는 두말할 필요가 없다"며 "공기 중 녹조 독소 검출은 이미 수많은 해외 연구 결과를 통해 확인됐다"라고 밝혔다.

실제 미국 플로리다에선 녹조 독소가 1마일(1.6km) 거리에서 검출됐다는 연구 결과가 있고, 10마일(16km) 확산을 추정하는 연구도 있다. 녹조 독소가 미세먼지 증가 요인이 된다는 해외 연구 분석도 있다. 단체들은 "윤석열 정부 환경부와 TV조선에 있어 수많은 해외 연구 결과와 자체 조사 과정의 정합성은 중요하지 않았다. 단지 환경단체 분석 결과를 부정하기 위한 결과만 필요했고, 이를 국민 기만의 근거로 삼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TV조선 인터뷰 전문가 발언도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인터뷰에서 최지용 연구원은 "지금 녹조가 엄청난 독소, 다이옥신의 1000배니 청산가리의 1만 배니 이런 소리를 하잖아요. 그건 정말 국민한테 너무 위압감을 주는 거고"라고 말했다. 환경운동연합은 "녹조 독소(마이크로시스틴-LR)가 청산가리 6600배 독성(만성독성)을 띠고 있다는 건 이 분야 전문가의 분석이다. '너무 심한 위압감'이 아니라 최소한 과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분석한 팩트다"라고 지적했다.

녹조 독소는 발암물질이자 간독성, 신경독성을 갖고 있다는 것이 국내외에서 널리 인용되고 있으며, 미국, 프랑스 등은 대표적인 녹조 독소인 마이크로시스틴의 경우 생식독성 등에 따라 기준을 엄격하게 관리하는 추세라는 게 환경단체의 지적이다. 외신 등을 통해 녹조 독소가 사람만이 아닌 반려동물과 야생동물(코끼리, 독수리 등) 폐사 등의 원인이 된다는 사실도 보도된 바 있다.

환경단체는 조영철 충북대 교수의 "공기 중에는 자외선이라든지 아니면 공기 중에 오존이나 그런 물질이 많이 다닙니다. 그런 물질에 의해서 (조류 독소가) 쉽게 분해가 되기 때문에"라는 발언도 비판했다. 이들 단체는 "모든 독성은 언젠가는 반감기를 지나서 분해된다. 문제는 그 독성에 얼마나 노출되느냐 등에 따라 위해성이 달라진다는 점"이라며 "현실에서 발생하고 있는 위험을 왜곡하고 의도된 녹조 독성 저평가를 주장하는 이를 과연 전문가라고 할 수 있을지 회의적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마이크로시스틴의 경우 화학적 결합구조가 매우 안정적이다. 잘 분해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 독소의 특징이다. 쌀에 축적된 마이크로시스틴의 경우 고열로 밥을 지어도 분해되지 않는다는 것이 관련 전문가의 지적이다. 녹조 독소가 오존과 자외선에 의해 일부 분해된다고 해도 독성이 사라질 때까지 위험 노출은 지속될 수밖에 없다고 이들 단체는 지적했다.

환경운동연합 등은 "윤석열 정부 환경부와 TV조선의 상습적 '녹조 괴담 몰이'로는 하늘을 가릴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들 단체는 "윤석열 정부 환경부가 국민건강과 안전을 위해 지금 해야 할 과제는 녹조 창궐의 구조를 개선하는 일"이라며 "녹조 독소의 유해성, 위해성을 부정하며 합리적 문제 제기를 한 환경단체를 악마화하는 것은 사회적, 생태적 약자 배제를 심화할 뿐이다. 또 사회적 이성과 상식을 마비시키면서 국가의 생태적 존속가능성을 심각하게 저해할 뿐"이라 지적했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를 쓴 이철재는 환경운동연합 정책위원입니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