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시민은 기자다

빛나는 몇몇 별들 빼고 캄캄한 한국 문학계

노벨문학상, 최근의 경향과 한국 문학의 위상 ②

등록|2024.10.12 14:35 수정|2024.10.12 14:40
세계 문학계에 '한글이 온다'(https://omn.kr/2aihx)

인공지능 시대의 한국 문학

AI로 소설까지 집필할 수 있게 된 지금, 한글의 위치는 독특하고 중요하다. 한글은 조사와 어미의 변화를 통해 감정과 상황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는 언어다. "말 한마디로 천 냥 빚을 갚는다"라는 속담처럼, 작은 차이와 소소한 표현으로도 큰 의미를 창출하는 게 한글의 매력이다. 하지만 이런 미묘한 차이를 AI가 완벽히 모방하기는 어렵다. AI는 데이터 속 규칙을 따르지만, 한글은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움을 품고 있다.

소장 중인 작품채식주의자(2024)와 낙원(2021) ⓒ 황융하


한국어는 시적이고 함축적인 표현으로 감정을 전달한다. 이러한 감정은 단어 자체를 넘어서는 것이며, 그 배경에는 한국의 문화적, 역사적 맥락이 깔려 있다. AI가 집필하는 시대에도 한글은 단순한 단어의 조합 이상을 요구한다. AI는 이 '깊이'에서 한계를 드러낸다. 문학에서 중요한 건 표면의 의미가 아니라, 이면에 숨겨진 감정과 여백, 독자의 상상력을 도발하는 공간이다. 이는 AI가 쉽게 구현할 수 없는 영역으로 인간 작가의 창조적 역할이 빛나는 이유다.

반면, 영어는 구조적으로 더 단순하고 규칙적이어서 AI가 다루기 쉬운 언어로 평가된다. 영어의 직관적 문법과 규칙성은 AI가 문장을 조립하는 데 장점이 될 수 있다. 그만큼 영어는 AI가 쉽게 접근할 수 있어, 문학적 차별화가 어렵다는 폐단도 존재한다. AI가 생산하는 영어 문장은 정확하지만, 그 안에 담겨야 할 감정과 인간적인 온기는 부유하는 게 아닐지.

한강이 비서구권 그리고 여성 작가라는 점에서 이번 수상의 의의는 더욱 크다. 서구 중심의 문학 담론에서 비서구권 작가가 주목받는 일은 드문 일이었다. 이제는 세계 문학의 지형도가 다양화되었음을 의미하며, 한국 문학 역시 이 흐름 속에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또한 여성 작가로서 한강의 상징성은, 가부장적 사회 구조에서 억압받는 여성의 내면을 깊이 탐구한 점에서 중요하다. 그녀의 작품은 현대 여성들의 내적 갈등과 감정을 섬세하게 다루며, 이를 세계 문학의 주류로 끌어올리는 데 톡톡하게 작용했다. 이러한 측면에서 한강의 수상은 여성 작가들이 세계 문학 무대에서 목소리를 낼 가능성을 한층 확장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은 당연한 영예를 넘어, 한국 문학의 깊고 어두운 심연을 세계에 드러낸 사건이다. <소년이 온다>는 피로 물든 광주 거리에서 살아남은 이들의 상처와 잊히지 않는 기억의 무게를 담아낸다. 쓰러진 나무가 땅속의 뿌리를 부여잡으며 다시 일어서려는 생명력은 지금도 끊임없이 꿈틀거린다. <흰>에서는 죽음과 상실이 눈처럼 쌓여가는 풍경에서 인간 존재는 바람에 날리는 깃털처럼 덧없으나, 생의 무게를 견디는 작은 빛을 품고 있다.

최신작 <작별하지 않는다>는 제주 4·3 항쟁의 비극 속에서 잊힌 영혼들과 그들이 남긴 상처를 품고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린다. 작품은 죽은 자들과 산 자들이 서로 얽혀 있는 세상을 묘사하며, 이별이 끝내 이루어지지 않는 비극적 현실을 드러낸다. 한강의 글은 고통과 상실을 시어로 엮어낸 듯, 인간 내면의 깊은 상처를 파고든다. 그녀의 문장은 날카로운 칼처럼 아픔을 드러내면서도, 그 위에 내려앉는 눈 부신 빛처럼 치유와 희망을 동시에 품고 있다.

▲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다음 날인 11일 오후 1시께, 한강 작가가 운영하는 서울 종로구 한 책방 앞에 그의 책을 구입하려는 이들이 줄을 서 있다. ⓒ 박수림


한국 문학의 미래를 위해

그러나 한강의 작품이 지닌 미학적 깊이와 성취에도 불구하고, 문단 내부의 음영을 외면할 수는 없다. 오래된 숲속에서 자라난 나무들이 서로 얽히고설켜 새로운 싹이 자라날 공간을 허락하지 않는 것처럼, 한국 문단은 오랜 관습과 파벌로 인해 닫힌 세계를 형성하고 있다. 새로이 돋아날 싹들은 그늘에 가려지고, 문단은 낡은 가지들로만 자라나려 한다.

그 과정에서 몇몇 빛나는 별들만이 하늘에 떠 있지만, 배경 전체는 여전히 캄캄하다. 사회적 문제를 다룬다고 하지만, 종종 겉돌 뿐, 땅속 깊은 곳에서 자라는 뿌리까지 충분한 혜안으로 돌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토양이 바뀌지 않는다면, 한국 문학은 더 이상 새로운 열매를 맺기 어려울 수 있다.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은 한국 문학의 세계적 위상을 재확인시킨 사건으로, 그녀의 작품이 종이책으로 불티나게 팔리는 현상은 이런 상징성을 반영한다. 일시적 반응으로 그칠지, 아니면 문학적 깊이를 향한 독자들의 지속적인 관심으로 이어질지는 더 지켜볼 문제다. 웹소설과 같은 대중적 장르가 빠르고 쉽게 소화되는 서사 구조로 독자들을 끌어들이지만, 한강의 작품처럼 심리적 탐구와 사회적 성찰을 담은 문학은 독자에게 더 큰 지적·정서적 도전을 요구한다. 웹소설 독자들이 갑자기 순수 문학으로 이동할 가능성이야 낮지만, 이번 수상이 문학적 순기능과 깊이에 공감대를 형성했다는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다.

한국 문단이 수상의 의미를 장기적으로 확대하기 위해서는, 순수 문학의 매력을 새로운 독자에게 자연스럽게 전달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 웹소설 같은 대중적 형식에서 문학적 깊이를 추구하는 작품으로 독자들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문학의 접근성을 강화하고, 독자들이 문학을 통해 새로운 감동과 사유를 경험할 수 있는 중계 역할을 해야 한다. 한순간의 빛으로 사라지지 않고, 한국 문학의 성장을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 되기 위해서는 대중성과 문학성을 동시에 아우르는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브런치스토어.블로그에도 실립니다.
원문 기사 보기

주요기사

오마이뉴스를 다양한 채널로 만나보세요.